[추적60분] 세월호 인양 지연, 우연인가 고의인가

입력 2016.12.07 (11: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국 이래 최악의 해상사고였던 세월호 참사. 온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304명의 안타까운 목숨이 사라진지도 벌써 2년 8개월이 흘렀지만 아직 세월호 선체는 차가운 바다 속에 그대로 잠겨있다.

세월호 인양 작업이 본격화 된 것은 참사 2년이 지난 올 4월. 당시 해양수산부는 7월 안에는 세월호 선체가 물 밖으로 인양될 것으로 전망했지만 동절기가 다가오면서 결국 올해 안 인양은 불가능하며 일러도 내년 4월에나 인양이 가능하다고 인양 계획을 번복했다.

세월호는 왜 지금껏 인양되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정말 해수부의 발표대로 날씨의 영향 뿐일까.

KBS '추적 60분'이 세월호 인양을 둘러싸고 제기된 각종 의혹들을 들여다봤다.

인양업체 선택, 기술보다 돈이 우선?


지난해 8월, 치열한 입찰 경쟁 끝에 세월호 인양업체로 선정된 곳은 중국의 상하이샐비지 컨소시엄이었다. 이 업체에서 내세운 건 해상 크레인과 플로팅 독을 이용한 인양방식. 하지만 난항을 거듭한 끝에 지난 11월 해수부는 인양방식을 변경했다. '해상 크레인'은‘잭킹 바지선'으로, '플로팅 독'은 '반잠수식 선박'으로 바꾸기로 한 것이다. 이는 입찰과정에서 떨어진 기술평가 1위 업체의 인양방식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애초 왜 1위 업체를 선정하지 않은 것일까.

취재진은 정부의 업체 선정 과정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입찰 전에 작성된 해수부 TF팀의 기술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상하이샐비지가 내세운 인양 방식은 다른 업체들의 인양방식에 비해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상하이샐비지의 인양방식인 부력재, 즉 대형 공기튜브를 사용할 경우 불안정성 때문에 선체가 손상될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세월호가 가라앉은 해저 지면의 지질이 단단해 리프팅빔 설치를 위한 굴착작업이 어렵다는 것 역시 이미 TF팀의 연구 결과로 나와 있었다. 그렇다면 정부는 이 사실을 알고도 왜 굳이 상하이 샐비지에게 인양을 맡긴 것일까.

대통령의 7시간 “조사를 막아라”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가 있던 바로 그 날. 국정 최고 책임자인 박근혜 대통령은 어디에서 무엇을 했을까. 최근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계기로 당시 '대통령의 7시간'에 대한 의혹이 재점화됐다.


취재진이 입수한 故 김영한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 작성한 비망록 전문을 보면 2014년 6월부터 2015년 1월까지 김기춘 비서실장과 대통령의 지시사항 가운데 유독 자주 눈에 띄는 단어가 바로 '세월호'였다.

김기춘 비서실장의 지시사항으로 보이는 내용 중에는 김재원 의원을 통해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메이저 언론을 상대로 설득하고 홍보하라는 내용도 포함돼 있었는데, 실제로 2014년 10월 청와대 비서실을 대상으로 열린 국정감사에서는 김재원 의원이 김기춘 비서실장을 상대로 마치 변호를 해주듯 질의를 주고받기도 했다.


취재진은 故 김영한 민정수석의 비망록을 통해 청와대가 세월호 참사를 어떻게 바라봤는지, 그리고 대통령의 7시간 논란에 어떻게 대응해왔는지 전격 분석했다.

청와대 지시대로 움직인 해수부


진상 규명을 위해 구성된 '4.16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는 난항을 거듭했다. 특조위의 여당 추천위원들은 도중에 사퇴했고 여당 의원이 특조위를 세금 도둑이라고 비난하는가 하면 보수단체들의 시위도 이어졌다. 결국 지난 9월 30일, 기한 만료를 주장하는 정부에 의해 특조위는 강제로 해산됐다.

그런데 특조위를 향한 꾸준한 비난과 방해 공작, 그 뒤에는 놀랍게도 청와대가 있었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청와대를 조사 대상에서 제외해주면 (특조위의) 조사 기간을 연장해주겠다는 제안을 받았는데 거부했다"고 밝혔고 지난해 공개된 해부수 내부 문건에도 특조위의 청와대 조사를 막기 위한 대응 방안이 구체적으로 담겨 있었다.

해수부의 특조위 방해공작은 다른 곳에서도 확인된다. 특조위 사무실에 난입해 난동을 피웠던 한 보수단체 대표가 해수부 간부로부터 사주를 받고 한 일이었다며 양심고백을 한 것이다. '추적 60분' 취재진은 특조위 활동을 방해하기 위해 공모하는 순간이 담긴, 두 사람의 실제 통화내용 녹취를 전격 입수해 공개한다.


참사 당시의 미숙한 대응에 더해 진상규명을 밝히는 과정에서도 납득하기 힘든 태도를 보인 청와대와 해수부. 도대체 무엇 때문에 그렇게까지 한 것일까.

12월 7일(수) 밤 11시 10분에 방송되는 KBS 2TV '추적 60분'에서는 세월호 인양과 진상 규명을 조직적으로 방해해온 정부의 민낯을 낱낱이 파헤친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추적60분] 세월호 인양 지연, 우연인가 고의인가
    • 입력 2016-12-07 11:18:47
    방송·연예
건국 이래 최악의 해상사고였던 세월호 참사. 온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304명의 안타까운 목숨이 사라진지도 벌써 2년 8개월이 흘렀지만 아직 세월호 선체는 차가운 바다 속에 그대로 잠겨있다.

세월호 인양 작업이 본격화 된 것은 참사 2년이 지난 올 4월. 당시 해양수산부는 7월 안에는 세월호 선체가 물 밖으로 인양될 것으로 전망했지만 동절기가 다가오면서 결국 올해 안 인양은 불가능하며 일러도 내년 4월에나 인양이 가능하다고 인양 계획을 번복했다.

세월호는 왜 지금껏 인양되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정말 해수부의 발표대로 날씨의 영향 뿐일까.

KBS '추적 60분'이 세월호 인양을 둘러싸고 제기된 각종 의혹들을 들여다봤다.

인양업체 선택, 기술보다 돈이 우선?


지난해 8월, 치열한 입찰 경쟁 끝에 세월호 인양업체로 선정된 곳은 중국의 상하이샐비지 컨소시엄이었다. 이 업체에서 내세운 건 해상 크레인과 플로팅 독을 이용한 인양방식. 하지만 난항을 거듭한 끝에 지난 11월 해수부는 인양방식을 변경했다. '해상 크레인'은‘잭킹 바지선'으로, '플로팅 독'은 '반잠수식 선박'으로 바꾸기로 한 것이다. 이는 입찰과정에서 떨어진 기술평가 1위 업체의 인양방식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애초 왜 1위 업체를 선정하지 않은 것일까.

취재진은 정부의 업체 선정 과정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입찰 전에 작성된 해수부 TF팀의 기술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상하이샐비지가 내세운 인양 방식은 다른 업체들의 인양방식에 비해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상하이샐비지의 인양방식인 부력재, 즉 대형 공기튜브를 사용할 경우 불안정성 때문에 선체가 손상될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세월호가 가라앉은 해저 지면의 지질이 단단해 리프팅빔 설치를 위한 굴착작업이 어렵다는 것 역시 이미 TF팀의 연구 결과로 나와 있었다. 그렇다면 정부는 이 사실을 알고도 왜 굳이 상하이 샐비지에게 인양을 맡긴 것일까.

대통령의 7시간 “조사를 막아라”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가 있던 바로 그 날. 국정 최고 책임자인 박근혜 대통령은 어디에서 무엇을 했을까. 최근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계기로 당시 '대통령의 7시간'에 대한 의혹이 재점화됐다.


취재진이 입수한 故 김영한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 작성한 비망록 전문을 보면 2014년 6월부터 2015년 1월까지 김기춘 비서실장과 대통령의 지시사항 가운데 유독 자주 눈에 띄는 단어가 바로 '세월호'였다.

김기춘 비서실장의 지시사항으로 보이는 내용 중에는 김재원 의원을 통해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메이저 언론을 상대로 설득하고 홍보하라는 내용도 포함돼 있었는데, 실제로 2014년 10월 청와대 비서실을 대상으로 열린 국정감사에서는 김재원 의원이 김기춘 비서실장을 상대로 마치 변호를 해주듯 질의를 주고받기도 했다.


취재진은 故 김영한 민정수석의 비망록을 통해 청와대가 세월호 참사를 어떻게 바라봤는지, 그리고 대통령의 7시간 논란에 어떻게 대응해왔는지 전격 분석했다.

청와대 지시대로 움직인 해수부


진상 규명을 위해 구성된 '4.16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는 난항을 거듭했다. 특조위의 여당 추천위원들은 도중에 사퇴했고 여당 의원이 특조위를 세금 도둑이라고 비난하는가 하면 보수단체들의 시위도 이어졌다. 결국 지난 9월 30일, 기한 만료를 주장하는 정부에 의해 특조위는 강제로 해산됐다.

그런데 특조위를 향한 꾸준한 비난과 방해 공작, 그 뒤에는 놀랍게도 청와대가 있었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청와대를 조사 대상에서 제외해주면 (특조위의) 조사 기간을 연장해주겠다는 제안을 받았는데 거부했다"고 밝혔고 지난해 공개된 해부수 내부 문건에도 특조위의 청와대 조사를 막기 위한 대응 방안이 구체적으로 담겨 있었다.

해수부의 특조위 방해공작은 다른 곳에서도 확인된다. 특조위 사무실에 난입해 난동을 피웠던 한 보수단체 대표가 해수부 간부로부터 사주를 받고 한 일이었다며 양심고백을 한 것이다. '추적 60분' 취재진은 특조위 활동을 방해하기 위해 공모하는 순간이 담긴, 두 사람의 실제 통화내용 녹취를 전격 입수해 공개한다.


참사 당시의 미숙한 대응에 더해 진상규명을 밝히는 과정에서도 납득하기 힘든 태도를 보인 청와대와 해수부. 도대체 무엇 때문에 그렇게까지 한 것일까.

12월 7일(수) 밤 11시 10분에 방송되는 KBS 2TV '추적 60분'에서는 세월호 인양과 진상 규명을 조직적으로 방해해온 정부의 민낯을 낱낱이 파헤친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