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구직자 “대기업-중소기업 근로조건 격차 해소 1순위”

입력 2016.12.07 (12:02) 수정 2016.12.07 (13: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 구직자들은 임금 격차 등 대기업-중소기업 간 근로조건 차이 해소를 가장 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노동부가 7일 대학생과 미취업청년 등 청년 1,600명을 대상으로 청년고용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청년 고용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해야 할 1순위로 '대기업-중소기업 간 지나친 임금 등 근로조건 격차 해소(25.3%)'를 꼽았고, '능력중심 채용문화 확산(22.7%)', '장시간 근로문제 개선 (13.2%)'의 순서로 응답했다.

또, 청년 77.3%는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고, 직장 선택 시 회사규모와 인지도(5.2%) 보다는 임금과 복지수준(30.9%)을 중시한다고 답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청년정책서비스별 인지도는 48.3%로 나타나 지난해 하반기 27.3%에 비해 대폭 상승했다. '워크넷'과 '취업상담' 등에 대한 인지도는 각각 75.7%와 71.7%로 대체로 높았지만, 고용노동부의 청년 일자리 정책 핵심사업인 '일 학습 병행제(31.2%)'와 'K-MOVE 등 해외 취업지원 프로그램(32.5%)', 청년취업 아카데미(39.6%)', 내일배움카드(35.9%)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훈련(23.4%)', '사회적기업가 육성(25.3%)', '고용디딤돌(32.4%)' 등의 인지도는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청년들은 또, 취업성공패키지(89.9%)와, 취업컨설팅과 상담(89.8%), 고용지원금(90.8%), 직업진로지도서비스(88.9%), 대학창조일자리센터 등을 통한 대학 내 취업지원서비스(88.4%) 등과 같은 실질적인 취업지원 서비스가 청년고용을 위해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봤다.

이번 조사는 8개 고용지청을 중심으로 권역별로 200명씩 조사했고 만 18세~34세의 대학생과 미취업청년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와 방문조사를 함께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년구직자 “대기업-중소기업 근로조건 격차 해소 1순위”
    • 입력 2016-12-07 12:02:48
    • 수정2016-12-07 13:44:21
    사회
청년 구직자들은 임금 격차 등 대기업-중소기업 간 근로조건 차이 해소를 가장 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노동부가 7일 대학생과 미취업청년 등 청년 1,600명을 대상으로 청년고용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청년 고용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해야 할 1순위로 '대기업-중소기업 간 지나친 임금 등 근로조건 격차 해소(25.3%)'를 꼽았고, '능력중심 채용문화 확산(22.7%)', '장시간 근로문제 개선 (13.2%)'의 순서로 응답했다.

또, 청년 77.3%는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고, 직장 선택 시 회사규모와 인지도(5.2%) 보다는 임금과 복지수준(30.9%)을 중시한다고 답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청년정책서비스별 인지도는 48.3%로 나타나 지난해 하반기 27.3%에 비해 대폭 상승했다. '워크넷'과 '취업상담' 등에 대한 인지도는 각각 75.7%와 71.7%로 대체로 높았지만, 고용노동부의 청년 일자리 정책 핵심사업인 '일 학습 병행제(31.2%)'와 'K-MOVE 등 해외 취업지원 프로그램(32.5%)', 청년취업 아카데미(39.6%)', 내일배움카드(35.9%)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훈련(23.4%)', '사회적기업가 육성(25.3%)', '고용디딤돌(32.4%)' 등의 인지도는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청년들은 또, 취업성공패키지(89.9%)와, 취업컨설팅과 상담(89.8%), 고용지원금(90.8%), 직업진로지도서비스(88.9%), 대학창조일자리센터 등을 통한 대학 내 취업지원서비스(88.4%) 등과 같은 실질적인 취업지원 서비스가 청년고용을 위해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봤다.

이번 조사는 8개 고용지청을 중심으로 권역별로 200명씩 조사했고 만 18세~34세의 대학생과 미취업청년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와 방문조사를 함께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