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세계경제 떨고 있나?

입력 2016.12.15 (14:03) 수정 2016.12.15 (14: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마침내 금리를 인상했다. 그동안 '양치기 소년'처럼 '금리를 올린다, 만다.' 하면서 시장의 동향을 살펴가며 말풍선을 날리던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위원들이 이번에는 만장일치로 인상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미국의 연방 기준금리는 1년 만에 0.25%p 인상됐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14일(현지 시각), 전날부터 이틀 동안 진행한 올해 8번째이자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0%∼0.75%로 올리기로 했다.

그동안 미국의 금리 추이를 보면 2007년까지 5%대를 유지하다 2008년 금융위기와 함께 0~0.25%로 금리가 떨어졌다. 이후 무려 9년 동안 제로금리 수준을 유지했다. 그리고 2015년 12월 금리를 0.25%~0.50%로 인상했고, 올해 여러 차례 올릴다, 만다는 숱한 논란 끝에 12월 14일 인상을 단행한 것이다.


미국 경제 회복의 자신감 표현

이번에 미국이 기준 금리를 올린 것은 최근의 고용시장 개선과 물가상승 전망, 소비심리 개선, 기업인 출신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경제성장의 기대감 등이 두루 반영된 것으로 이미 상당히 예고된 것이었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미국 경제 회복에 대한 자신감의 표시라고 주장했다.

옐런 의장은 14일(현지 시각) 열린 기자회견에서 "금리 인상 결정은 분명히 (미국) 경제의 진전에 대한 자신감과 그런 진전이 계속될 것이라는 점, 그리고 (미국) 경제가 탄력적으로 회복되고 있다는 데 대한 반영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밝혔다.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옐런 의장의 발언은 연준이 통화정책회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기준금리를 0.5∼0.75%로 전보다 0.25%포인트 올리겠다고 결정한 직후에 나왔다.

옐런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나와 위원들은 고용 극대화와 물가안정이라는 연준의 양대 목표를 향해 미국의 경제가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금리 인상의 이유를 설명했다.

또 그는 "고용시장 여건이 어느 정도 더 강화될 것"이라고 기대하며 "실업률은 앞으로 몇 년 동안 적정 수준을 다소 밑돌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미국의 일자리는 지난 74개월 연속 증가했다. 실업률도 연준의 장기목표치보다 약간 낮으며 2007년 이래 최저 수준인 4.6%로 떨어졌다.

경제 규모는 7년 연속 성장했다. 이번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선진국 돈줄 죄기가 본격화할지 주목된다.

선진국 돈줄 죄기의 신호탄

미국의 경제회복을 반영한 연준의 이번 금리 인상은 '선진국 돈줄 죄기'의 신호탄으로 풀이되고 있다.

연준 위원들은 앞으로 금리가 얼마나 오르고 내릴 것인지 개인적인 생각을 담은 표인 '점도표'를 통해 내년 1년 동안 3차례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을 시사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위원들이 점으로 예상 기준금리 일정을 제시한 점도표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위원들이 점으로 예상 기준금리 일정을 제시한 점도표

연준은 회의 후 성명에서 "현실화하고 예상된 노동시장 조건과 물가상승을 고려해 위원회는 목표금리를 올리기로 했다"며 "일자리 증가가 최근 몇 달 동안 견고했으며 실업률은 낮아졌다"며 배경을 밝혔다.

특히 옐런 의장은 트럼프 당선인의 경제정책을 겨냥해 "미국 경제는 경기부양책이 필요 없다"라며 감세와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를 골자로 한 '트럼프노믹스'의 경제성장정책에 부정적 태도를 드러냈다.


그렇지만 옐런 의장은 FOMC 위원들의 경제전망을 통해 앞으로의 금리 인상 속도가 더 빨라질 가능성이 제기된 데 대해 "2017년 금리 인상 움직임은 매우 완만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연준은 지난 9월에는 내년에 2차례 금리 인상을 전망한 바 있다. 적지 않은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인이 내년부터 대대적 인프라 투자를 본격화하면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그 폭도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한다.

경기 과열로 자칫 인플레이션이 유발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서다.

금리 인상 영향은 주택시장부터 가계부채 문제로

연방준비제도가 1년 만에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자 저금리와 함께 성장해 온 전 세계 부동산 시장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연준의 금리 인상은 주택담보대출금(모기지)과 자동차 할부금, 신용카드 대출금 이자 등의 부담을 늘리면서 실생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


특히 가계부채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금 상환이 가장 큰 부담이 된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집계로는 올해 3분기 말 미국 가구의 부채 규모는 전 분기보다 0.5% 늘어난 12조 3천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8조 3천500억 달러가 주택담보대출금인 주택담보대출에 해당했다.

미국의 모기지 금리는 이미 대선 이후로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국책 주택담보대출 보증 기관인 프레디 맥의 집계로는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지난주 4.13%까지 치솟으며 올해 최고를 기록했다.

미국의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올해 7월 3.41%까지 내렸다가 이후 대선을 기점으로 급등했다.

미국 국민도 이번 연준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시장이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부동산 시장이 최근 얼어붙기 시작한 가운데 미국의 금리 인상이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최근 11·3 부동산 대책과 잔금대출 규제 등으로 주택가격 상승 폭이 둔화하고 있다. 한국감정원의 조사 결과 12월 둘째 주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 주 대비 0.01% 상승했으며, 전셋값은 0.03%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서초, 강남, 송파구 등의 아파트 매매가는 0.05∼0.07%씩 하락했다. 아파트값 상승의 진원지인 강남의 매매가가 꺾이면 이는 전 지역으로 확산하는 신호탄이다.

여기에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한국은행도 머지않아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얼마든지 생기면서 부동산 시장의 우려가 커졌다.

국제결제은행(BIS)의 최근 집계 자료를 보면 가계부채비율이 높은 나라들의 부채비율은 상당히 부담스럽다.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집계 대상인 42개국 가운데 스위스가 127.7%로 가장 높았고, 덴마크 123.6%, 호주 123%, 네덜란드 111.3%, 캐나다 99.8%, 노르웨이 98.9%, 뉴질랜드 94% 순이었고, 다음이 대한민국으로 90%를 기록해 여덟 번째로 높은 국가였다.

특히, 한국은 부채 증가속도가 빠른 편이다. 2015년 2분기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5.7%에 불과했던 것을 고려하면 단 1년 사이에 부채 비중이 4.3% 포인트 올랐다.

한국은 1,300조 원 규모의 가계부채 문제가 늘 뇌관으로 지적돼 금리 인상과 부동산 시장 부진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기업부채도 문제

신흥국 기업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들이 돈을 풀면서 고수익을 좇는 외국인 자금이 대거 몰려오자 달러 등 외화표시 채권을 대거 발행해 자금조달을 했다.

이에 따라 중국의 경우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금융기업부채 비율은 2008년 말 96.3%에 비해 지난 2분기 167.7%까지 폭등했다.

브라질의 기업부채 규모도 같은 기간 GDP 대비 30.9%에서 44.8%로, 터키는 30%에서 58.5%로 각각 뛰었다.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도 같은 기간 99.8%에서 105.7%로 상승했다.

여기에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달러 강세까지 겹치면서 신흥국들은 이중고를 겪고 있다. 6개 주요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지수는 2005년 집계가 시작된 이후 사상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벼랑 끝에 몰리는 신흥국 경제

연방준비제도 기준금리를 올려 돈줄 죄기에 나섬에 따라 신흥국이 벼랑 끝에 몰리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들의 돈 풀기에 빚이 늘어난 신흥국들은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달러화 강세의 영향으로 통화가치까지 급락하는 이중고에 직면해 있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이나 터키, 멕시코 등이 취약 국으로 꼽힌다. 이미 신흥국과 채권에서는 자금이 대거 빠져나가 미국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 가는 등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채권에서 주식으로 자산 이동을 뜻하는 '머니 무브(Money Move)'가 한창이다.


신흥국과 채권에서 빠진 돈은 미국 주식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머징마켓 포트폴리오 리서치(EPFR)에 따르면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앞둔 지난 한 달 동안(11월 8일∼12월 7일) 신흥국 주식펀드에서는 90억 8천100만 달러가, 신흥국 채권펀드에서는 119억 6천500만 달러가 각각 빠져 모두 210억 달러(약 25조 원) 이상이 순유출됐다.

빠진 돈은 대부분 선진국, 특히 미국 주식으로 유입됐다. 선진국 주식펀드로 모두 422억 7천800만 달러가 들어갔는데 이 중 420억 1천500만 달러가 북미주식펀드에 집중됐다.

문제는 이런 자금유출이 계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추가 자금유출의 속도와 규모는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와 달러화의 추가 강세 여부에 달렸다.

이에 따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거 빚더미에 오른 신흥국 기업들의 원리금 상환과 만기 연장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내년에 신흥국 기업들의 달러 부채 중 만기가 돌아오는 것은 1,200억 달러(약 140조 원)에 달한다. 이는 전체 부채 중 10%에 해당한다.

만약 채권금리 상승으로 금리변동에 특히 민감한 신흥국 장기채 투자자들이 대량매도에 나서면 시장의 혼란이 증폭되고 실물경제에도 타격이 갈 수 있고, 신흥국은 달러 강세에 선진국의 채권금리 상승, 자금유출이라는 도전에 직면하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제는 2017년 금리 인상

월스트리트저널(WSJ)이 경제전문가 62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경제전문가들은 내년 12월 미국 기준금리가 현재 수준보다 0.25%포인트씩 네 차례 인상한 평균 1.26%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내년에 기준금리가 3차례 인상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주요 투자은행들 사이에서는 내년 2차례 금리 인상 전망이 유력하다.

씨티와 JP모건, 소시에테제네랄, 노무라, 도이체방크, BNP파리바, 크레디아그리콜, 크레디트스위스, 웰스파고 등이 연준이 2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내다봤고 BoA메릴린치와 스탠다드차타드는 한 차례로 예상했다.

앞서 국제금융센터는 미국의 금리 정상화로 장기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신흥국에서 최대 국내총생산(GDP)의 2.2%에 달하는 자금이 유출될 수 있다고 추산했다.

LG경제연구원이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바탕으로 집계한 바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으로 유입된 외국인 자금은 모두 3조 5천100억 달러(4천105조 원)에 이른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세계 경제의 고민은 깊어질 수밖에 없다. 미국 경제의 회복이 세계 경제의 불안과 고통으로 다가오는 현실은 아무리 부채 더미를 지고 있어도 수그러들지 않는 달러의 역설이 가져오는 아이러니인 셈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금리인상…세계경제 떨고 있나?
    • 입력 2016-12-15 14:03:20
    • 수정2016-12-15 14:21:17
    취재K
 미국이 마침내 금리를 인상했다. 그동안 '양치기 소년'처럼 '금리를 올린다, 만다.' 하면서 시장의 동향을 살펴가며 말풍선을 날리던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위원들이 이번에는 만장일치로 인상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미국의 연방 기준금리는 1년 만에 0.25%p 인상됐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14일(현지 시각), 전날부터 이틀 동안 진행한 올해 8번째이자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0%∼0.75%로 올리기로 했다.

그동안 미국의 금리 추이를 보면 2007년까지 5%대를 유지하다 2008년 금융위기와 함께 0~0.25%로 금리가 떨어졌다. 이후 무려 9년 동안 제로금리 수준을 유지했다. 그리고 2015년 12월 금리를 0.25%~0.50%로 인상했고, 올해 여러 차례 올릴다, 만다는 숱한 논란 끝에 12월 14일 인상을 단행한 것이다.


미국 경제 회복의 자신감 표현

이번에 미국이 기준 금리를 올린 것은 최근의 고용시장 개선과 물가상승 전망, 소비심리 개선, 기업인 출신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경제성장의 기대감 등이 두루 반영된 것으로 이미 상당히 예고된 것이었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미국 경제 회복에 대한 자신감의 표시라고 주장했다.

옐런 의장은 14일(현지 시각) 열린 기자회견에서 "금리 인상 결정은 분명히 (미국) 경제의 진전에 대한 자신감과 그런 진전이 계속될 것이라는 점, 그리고 (미국) 경제가 탄력적으로 회복되고 있다는 데 대한 반영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밝혔다.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옐런 의장의 발언은 연준이 통화정책회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기준금리를 0.5∼0.75%로 전보다 0.25%포인트 올리겠다고 결정한 직후에 나왔다.

옐런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나와 위원들은 고용 극대화와 물가안정이라는 연준의 양대 목표를 향해 미국의 경제가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금리 인상의 이유를 설명했다.

또 그는 "고용시장 여건이 어느 정도 더 강화될 것"이라고 기대하며 "실업률은 앞으로 몇 년 동안 적정 수준을 다소 밑돌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미국의 일자리는 지난 74개월 연속 증가했다. 실업률도 연준의 장기목표치보다 약간 낮으며 2007년 이래 최저 수준인 4.6%로 떨어졌다.

경제 규모는 7년 연속 성장했다. 이번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선진국 돈줄 죄기가 본격화할지 주목된다.

선진국 돈줄 죄기의 신호탄

미국의 경제회복을 반영한 연준의 이번 금리 인상은 '선진국 돈줄 죄기'의 신호탄으로 풀이되고 있다.

연준 위원들은 앞으로 금리가 얼마나 오르고 내릴 것인지 개인적인 생각을 담은 표인 '점도표'를 통해 내년 1년 동안 3차례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을 시사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위원들이 점으로 예상 기준금리 일정을 제시한 점도표
연준은 회의 후 성명에서 "현실화하고 예상된 노동시장 조건과 물가상승을 고려해 위원회는 목표금리를 올리기로 했다"며 "일자리 증가가 최근 몇 달 동안 견고했으며 실업률은 낮아졌다"며 배경을 밝혔다.

특히 옐런 의장은 트럼프 당선인의 경제정책을 겨냥해 "미국 경제는 경기부양책이 필요 없다"라며 감세와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를 골자로 한 '트럼프노믹스'의 경제성장정책에 부정적 태도를 드러냈다.


그렇지만 옐런 의장은 FOMC 위원들의 경제전망을 통해 앞으로의 금리 인상 속도가 더 빨라질 가능성이 제기된 데 대해 "2017년 금리 인상 움직임은 매우 완만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연준은 지난 9월에는 내년에 2차례 금리 인상을 전망한 바 있다. 적지 않은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인이 내년부터 대대적 인프라 투자를 본격화하면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그 폭도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한다.

경기 과열로 자칫 인플레이션이 유발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서다.

금리 인상 영향은 주택시장부터 가계부채 문제로

연방준비제도가 1년 만에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자 저금리와 함께 성장해 온 전 세계 부동산 시장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연준의 금리 인상은 주택담보대출금(모기지)과 자동차 할부금, 신용카드 대출금 이자 등의 부담을 늘리면서 실생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


특히 가계부채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금 상환이 가장 큰 부담이 된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집계로는 올해 3분기 말 미국 가구의 부채 규모는 전 분기보다 0.5% 늘어난 12조 3천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8조 3천500억 달러가 주택담보대출금인 주택담보대출에 해당했다.

미국의 모기지 금리는 이미 대선 이후로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국책 주택담보대출 보증 기관인 프레디 맥의 집계로는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지난주 4.13%까지 치솟으며 올해 최고를 기록했다.

미국의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올해 7월 3.41%까지 내렸다가 이후 대선을 기점으로 급등했다.

미국 국민도 이번 연준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시장이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부동산 시장이 최근 얼어붙기 시작한 가운데 미국의 금리 인상이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최근 11·3 부동산 대책과 잔금대출 규제 등으로 주택가격 상승 폭이 둔화하고 있다. 한국감정원의 조사 결과 12월 둘째 주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 주 대비 0.01% 상승했으며, 전셋값은 0.03%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서초, 강남, 송파구 등의 아파트 매매가는 0.05∼0.07%씩 하락했다. 아파트값 상승의 진원지인 강남의 매매가가 꺾이면 이는 전 지역으로 확산하는 신호탄이다.

여기에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한국은행도 머지않아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얼마든지 생기면서 부동산 시장의 우려가 커졌다.

국제결제은행(BIS)의 최근 집계 자료를 보면 가계부채비율이 높은 나라들의 부채비율은 상당히 부담스럽다.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집계 대상인 42개국 가운데 스위스가 127.7%로 가장 높았고, 덴마크 123.6%, 호주 123%, 네덜란드 111.3%, 캐나다 99.8%, 노르웨이 98.9%, 뉴질랜드 94% 순이었고, 다음이 대한민국으로 90%를 기록해 여덟 번째로 높은 국가였다.

특히, 한국은 부채 증가속도가 빠른 편이다. 2015년 2분기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5.7%에 불과했던 것을 고려하면 단 1년 사이에 부채 비중이 4.3% 포인트 올랐다.

한국은 1,300조 원 규모의 가계부채 문제가 늘 뇌관으로 지적돼 금리 인상과 부동산 시장 부진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기업부채도 문제

신흥국 기업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들이 돈을 풀면서 고수익을 좇는 외국인 자금이 대거 몰려오자 달러 등 외화표시 채권을 대거 발행해 자금조달을 했다.

이에 따라 중국의 경우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금융기업부채 비율은 2008년 말 96.3%에 비해 지난 2분기 167.7%까지 폭등했다.

브라질의 기업부채 규모도 같은 기간 GDP 대비 30.9%에서 44.8%로, 터키는 30%에서 58.5%로 각각 뛰었다.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도 같은 기간 99.8%에서 105.7%로 상승했다.

여기에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달러 강세까지 겹치면서 신흥국들은 이중고를 겪고 있다. 6개 주요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지수는 2005년 집계가 시작된 이후 사상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벼랑 끝에 몰리는 신흥국 경제

연방준비제도 기준금리를 올려 돈줄 죄기에 나섬에 따라 신흥국이 벼랑 끝에 몰리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들의 돈 풀기에 빚이 늘어난 신흥국들은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달러화 강세의 영향으로 통화가치까지 급락하는 이중고에 직면해 있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이나 터키, 멕시코 등이 취약 국으로 꼽힌다. 이미 신흥국과 채권에서는 자금이 대거 빠져나가 미국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 가는 등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채권에서 주식으로 자산 이동을 뜻하는 '머니 무브(Money Move)'가 한창이다.


신흥국과 채권에서 빠진 돈은 미국 주식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머징마켓 포트폴리오 리서치(EPFR)에 따르면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앞둔 지난 한 달 동안(11월 8일∼12월 7일) 신흥국 주식펀드에서는 90억 8천100만 달러가, 신흥국 채권펀드에서는 119억 6천500만 달러가 각각 빠져 모두 210억 달러(약 25조 원) 이상이 순유출됐다.

빠진 돈은 대부분 선진국, 특히 미국 주식으로 유입됐다. 선진국 주식펀드로 모두 422억 7천800만 달러가 들어갔는데 이 중 420억 1천500만 달러가 북미주식펀드에 집중됐다.

문제는 이런 자금유출이 계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추가 자금유출의 속도와 규모는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와 달러화의 추가 강세 여부에 달렸다.

이에 따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거 빚더미에 오른 신흥국 기업들의 원리금 상환과 만기 연장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내년에 신흥국 기업들의 달러 부채 중 만기가 돌아오는 것은 1,200억 달러(약 140조 원)에 달한다. 이는 전체 부채 중 10%에 해당한다.

만약 채권금리 상승으로 금리변동에 특히 민감한 신흥국 장기채 투자자들이 대량매도에 나서면 시장의 혼란이 증폭되고 실물경제에도 타격이 갈 수 있고, 신흥국은 달러 강세에 선진국의 채권금리 상승, 자금유출이라는 도전에 직면하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제는 2017년 금리 인상

월스트리트저널(WSJ)이 경제전문가 62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경제전문가들은 내년 12월 미국 기준금리가 현재 수준보다 0.25%포인트씩 네 차례 인상한 평균 1.26%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내년에 기준금리가 3차례 인상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주요 투자은행들 사이에서는 내년 2차례 금리 인상 전망이 유력하다.

씨티와 JP모건, 소시에테제네랄, 노무라, 도이체방크, BNP파리바, 크레디아그리콜, 크레디트스위스, 웰스파고 등이 연준이 2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내다봤고 BoA메릴린치와 스탠다드차타드는 한 차례로 예상했다.

앞서 국제금융센터는 미국의 금리 정상화로 장기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신흥국에서 최대 국내총생산(GDP)의 2.2%에 달하는 자금이 유출될 수 있다고 추산했다.

LG경제연구원이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바탕으로 집계한 바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으로 유입된 외국인 자금은 모두 3조 5천100억 달러(4천105조 원)에 이른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세계 경제의 고민은 깊어질 수밖에 없다. 미국 경제의 회복이 세계 경제의 불안과 고통으로 다가오는 현실은 아무리 부채 더미를 지고 있어도 수그러들지 않는 달러의 역설이 가져오는 아이러니인 셈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