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포기 청년, 41개월 만에 증가세 반전

입력 2017.02.26 (16:48) 수정 2017.02.26 (17: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꾸준히 감소하던 구직 포기 청년이 지난달에 41개월 만에 처음으로 늘어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2년째 최악의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청년실업률이 급기야 본격적인 구직 포기로 옮겨붙는 모양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15∼29세 청년 비경제활동인구는 510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0.1%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15세 이상 인구 중 일할 수 있는 능력은 있지만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는 사람으로 취업자나 실업자 통계에 잡히지 않는다. 청년 비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한 것은 유럽발 재정위기 여파에 한국 경제가 몸살을 앓던 2013년 8월 이후 3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비경제활동인구인 취업준비생이 구직 활동을 시작하면 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기 때문에 사회 진출이 활발한 청년층은 정상적인 상황에서 비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제로 청년 비경제활동인구는 2014년 이후 2∼4% 내외 감소율을 유지해왔고 지난해 6월에는 4.0%까지 감소 폭이 커지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부터 두 달 연속 감소 폭이 1%대로 쪼그라든 데 이어 지난달에는 증가세로 반전됐다.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세는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을 하는 20대 후반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 25∼29세 비경제활동인구는 1년 전보다 9.3% 증가하며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9년 6월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경제활동인구로 분류돼야 할 대졸 구직자들이 잇따라 취업을 포기하면서 비경제활동인구의 적체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청년 실업 문제가 뚜렷한 해결 기미 없이 날로 악화만 하는 탓에 구직을 아예 포기하는 청년들이 점점 더 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청년실업률은 9.8%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2015년 9.2%로 역시 역대 최고치로 치솟은 뒤 1년 만에 또다시 기록을 갈아치운 것이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등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기업들이 채용 계획조차 확정하지 못하면서 구직을 포기하거나 미루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직포기 청년, 41개월 만에 증가세 반전
    • 입력 2017-02-26 16:48:58
    • 수정2017-02-26 17:18:22
    경제
꾸준히 감소하던 구직 포기 청년이 지난달에 41개월 만에 처음으로 늘어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2년째 최악의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청년실업률이 급기야 본격적인 구직 포기로 옮겨붙는 모양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15∼29세 청년 비경제활동인구는 510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0.1%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15세 이상 인구 중 일할 수 있는 능력은 있지만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는 사람으로 취업자나 실업자 통계에 잡히지 않는다. 청년 비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한 것은 유럽발 재정위기 여파에 한국 경제가 몸살을 앓던 2013년 8월 이후 3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비경제활동인구인 취업준비생이 구직 활동을 시작하면 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기 때문에 사회 진출이 활발한 청년층은 정상적인 상황에서 비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제로 청년 비경제활동인구는 2014년 이후 2∼4% 내외 감소율을 유지해왔고 지난해 6월에는 4.0%까지 감소 폭이 커지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부터 두 달 연속 감소 폭이 1%대로 쪼그라든 데 이어 지난달에는 증가세로 반전됐다.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세는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을 하는 20대 후반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 25∼29세 비경제활동인구는 1년 전보다 9.3% 증가하며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9년 6월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경제활동인구로 분류돼야 할 대졸 구직자들이 잇따라 취업을 포기하면서 비경제활동인구의 적체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청년 실업 문제가 뚜렷한 해결 기미 없이 날로 악화만 하는 탓에 구직을 아예 포기하는 청년들이 점점 더 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청년실업률은 9.8%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2015년 9.2%로 역시 역대 최고치로 치솟은 뒤 1년 만에 또다시 기록을 갈아치운 것이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등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기업들이 채용 계획조차 확정하지 못하면서 구직을 포기하거나 미루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