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인도 오디샤 제철소 사실상 손 떼

입력 2017.03.19 (00:34) 수정 2017.03.19 (00: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스코가 인도 동부 오디샤 주에서 제철소 설립을 추진한 지 12년 만에 부지 반환 의사를 밝히며 사실상 철수 단계에 들어갔다.

18일 포스코 인도법인 관계자에 따르면 포스코 인도법인은 "현재 포스코가 보유하지만 사용하지 않는 제철소 부지에 대해 오디샤 주에서 돌려달라고 하면 돌려줄 용의가 있다"며 최근 오디샤 주 정부에 부지 반환을 타진하는 공문을 보냈다.

오디샤 주 정부는 이를 접수했으나 아직 답변은 하지 않았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데비 프라사드 미슈라 오디샤 주 산업부 장관은 "주 정부가 포스코 인도법인에 토지 세금과 삼림 전용 비용 등 8억2천만 루피(142억원)를 지급하라고 요청하자, 포스코 인도법인이 이 비용을 내고 부지를 소유하는 데 관심이 없다면서 이 같은 답신을 보내 왔다"고 인도 PTI 통신에 말했다.

포스코는 앞서 오디샤 주에 120억 달러(13조6천억원)를 투입해 인도에서 조달한 철광석을 녹여 쇳물과 열연강판을 만드는 일관 제철소를 설립할 계획으로 2005년 6월 오디샤 주 정부와 제철소 부지, 철광석 채굴권, 전용항만 제공 등의 내용이 담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하지만 환경 훼손 등을 내세운 주민 반대로 부지 조성 사업이 순조롭게 이뤄지지 않았고, 포스코가 인도 정부로부터 철광석 채굴권도 따로 배분받지 못하면서 12년간 착공이 미뤄졌다. 애초 4천200에이커로 조성하려던 제철소 부지는 2천700에이커로 줄었고 지금까지 포스코가 오디샤 주 정부로부터 인수한 부지는 550에이커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그 사이 동부 지역 대신 인도 서부 지역에 180만t 규모의 냉연강판 공장과 45만t 규모의 자동차·가전용 용융아연도금강판 공장을 설립하는 등 인도 내 하공정(철강제품 생산) 중심의 투자를 확대하는데 집중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포스코, 인도 오디샤 제철소 사실상 손 떼
    • 입력 2017-03-19 00:34:53
    • 수정2017-03-19 00:40:44
    국제
포스코가 인도 동부 오디샤 주에서 제철소 설립을 추진한 지 12년 만에 부지 반환 의사를 밝히며 사실상 철수 단계에 들어갔다.

18일 포스코 인도법인 관계자에 따르면 포스코 인도법인은 "현재 포스코가 보유하지만 사용하지 않는 제철소 부지에 대해 오디샤 주에서 돌려달라고 하면 돌려줄 용의가 있다"며 최근 오디샤 주 정부에 부지 반환을 타진하는 공문을 보냈다.

오디샤 주 정부는 이를 접수했으나 아직 답변은 하지 않았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데비 프라사드 미슈라 오디샤 주 산업부 장관은 "주 정부가 포스코 인도법인에 토지 세금과 삼림 전용 비용 등 8억2천만 루피(142억원)를 지급하라고 요청하자, 포스코 인도법인이 이 비용을 내고 부지를 소유하는 데 관심이 없다면서 이 같은 답신을 보내 왔다"고 인도 PTI 통신에 말했다.

포스코는 앞서 오디샤 주에 120억 달러(13조6천억원)를 투입해 인도에서 조달한 철광석을 녹여 쇳물과 열연강판을 만드는 일관 제철소를 설립할 계획으로 2005년 6월 오디샤 주 정부와 제철소 부지, 철광석 채굴권, 전용항만 제공 등의 내용이 담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하지만 환경 훼손 등을 내세운 주민 반대로 부지 조성 사업이 순조롭게 이뤄지지 않았고, 포스코가 인도 정부로부터 철광석 채굴권도 따로 배분받지 못하면서 12년간 착공이 미뤄졌다. 애초 4천200에이커로 조성하려던 제철소 부지는 2천700에이커로 줄었고 지금까지 포스코가 오디샤 주 정부로부터 인수한 부지는 550에이커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그 사이 동부 지역 대신 인도 서부 지역에 180만t 규모의 냉연강판 공장과 45만t 규모의 자동차·가전용 용융아연도금강판 공장을 설립하는 등 인도 내 하공정(철강제품 생산) 중심의 투자를 확대하는데 집중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