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제 본격 회복세…금리, 실업률 등 한국 역전

입력 2017.03.20 (14:54) 수정 2017.03.20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경제가 좀처럼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미국 경제는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면서 주요 경제지표에서 역전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미 분기 성장률에서 2분기 연속 미국에 뒤진 데 이어 고용시장 바로미터인 실업률은 16년 만에 미국보다 높아졌다. 여기에 미국이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면서 한국과 미국의 정책금리마저 연내 역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및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미국의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0.5%로 0.4%에 그친 한국을 2개 분기 연속 앞질렀다. 앞서 3분기 한국의 성장률은 0.6%로 0.9%를 기록한 미국에 5분기 만에 역전을 허용했다. 미국이 2개 분기 연속 한국 성장률을 웃돈 것은 2014년 3분기와 4분기에 이어 2년 만이다. 미국은 2014년 3분기 1.2%, 4분기 0.6%의 성장률을 기록해 각각 0.7%와 0.3%에 그친 한국보다 성장폭이 컸다.

세계은행(WB) 집계에 따르면 2015년 미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17조9천470억 달러로 단연 세계 1위였다. 한국은 1조3천779억달러로 11위를 차지해 미국과 10배 이상의 격차가 났다.

지난 2월 한국의 실업률은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한 5.0%로 미국(4.9%)을 추월했다. 한국의 실업률이 미국보다 높아진 것은 2001년 3월 미국 4.5%, 한국 5.1% 이후 16년 만이다.

한미 간 경제지표 뒤바뀜은 하반기 정책금리 역전으로 정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6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종전보다 0.25%포인트 오른 연 0.75∼1.00%로 결정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연 1.25%)와의 격차가 불과 0.25%포인트로 준 것이다. 연준이 시장의 전망대로 연내 0.25%포인트씩 두 차례 추가로 금리를 올리고 한은이 기준금리를 계속 동결하면 한미 간 정책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미 금리가 역전되면 2007년 8월 이후 10여년 만에 미국 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지게 되면서 금융시장 불안이 확대될 수 있다.

다만 한미 금리가 역전되더라도 우려하는 것과 달리 대규모 자본 유출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LG경제연구원은 최근 '추가 인상 예고된 미국 금리, 자본유출보다는 시중금리 상승 압력' 보고서에서 "한미 간 금리 역전이 예상되면서 자본유출 우려가 제기되지만, 금융시장 및 경제에 혼란을 야기할 정도의 대규모 자본유출은 발생하지 않을 전망"이라며 "자본 유출입은 금리 차 외에도 환율에 대한 예상에 크게 좌우되는데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 등을 고려하면 일방적인 원화절하 기대가 형성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경제 본격 회복세…금리, 실업률 등 한국 역전
    • 입력 2017-03-20 14:54:47
    • 수정2017-03-20 15:00:58
    경제
한국 경제가 좀처럼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미국 경제는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면서 주요 경제지표에서 역전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미 분기 성장률에서 2분기 연속 미국에 뒤진 데 이어 고용시장 바로미터인 실업률은 16년 만에 미국보다 높아졌다. 여기에 미국이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면서 한국과 미국의 정책금리마저 연내 역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및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미국의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0.5%로 0.4%에 그친 한국을 2개 분기 연속 앞질렀다. 앞서 3분기 한국의 성장률은 0.6%로 0.9%를 기록한 미국에 5분기 만에 역전을 허용했다. 미국이 2개 분기 연속 한국 성장률을 웃돈 것은 2014년 3분기와 4분기에 이어 2년 만이다. 미국은 2014년 3분기 1.2%, 4분기 0.6%의 성장률을 기록해 각각 0.7%와 0.3%에 그친 한국보다 성장폭이 컸다.

세계은행(WB) 집계에 따르면 2015년 미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17조9천470억 달러로 단연 세계 1위였다. 한국은 1조3천779억달러로 11위를 차지해 미국과 10배 이상의 격차가 났다.

지난 2월 한국의 실업률은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한 5.0%로 미국(4.9%)을 추월했다. 한국의 실업률이 미국보다 높아진 것은 2001년 3월 미국 4.5%, 한국 5.1% 이후 16년 만이다.

한미 간 경제지표 뒤바뀜은 하반기 정책금리 역전으로 정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6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종전보다 0.25%포인트 오른 연 0.75∼1.00%로 결정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연 1.25%)와의 격차가 불과 0.25%포인트로 준 것이다. 연준이 시장의 전망대로 연내 0.25%포인트씩 두 차례 추가로 금리를 올리고 한은이 기준금리를 계속 동결하면 한미 간 정책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미 금리가 역전되면 2007년 8월 이후 10여년 만에 미국 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지게 되면서 금융시장 불안이 확대될 수 있다.

다만 한미 금리가 역전되더라도 우려하는 것과 달리 대규모 자본 유출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LG경제연구원은 최근 '추가 인상 예고된 미국 금리, 자본유출보다는 시중금리 상승 압력' 보고서에서 "한미 간 금리 역전이 예상되면서 자본유출 우려가 제기되지만, 금융시장 및 경제에 혼란을 야기할 정도의 대규모 자본유출은 발생하지 않을 전망"이라며 "자본 유출입은 금리 차 외에도 환율에 대한 예상에 크게 좌우되는데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 등을 고려하면 일방적인 원화절하 기대가 형성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