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랏돈 지원’ 대규모 개발사업 35% ‘타당성 없음’ 결론

입력 2017.03.21 (07:42) 수정 2017.03.21 (07: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랏돈이 들어가는 대형 개발사업 3건 중 1건은 수요가 없거나 경제성이 낮아 예비타당성조사 관문을 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999년 제도 도입 이후 지난해까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은 총 782건 333조3천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3건 중 2건 꼴인 509건(65.1%)은 조사 결과 '타당성 있음' 결론이 내려졌지만, 나머지 3분의 1인 273건(34.9%)은 효율성이나 수익성이 낮아 중·장기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됐다.

예비타당성조사는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 대규모 투자사업 중 재정지원이 300억원 이상인 사업을 대상으로 한다. 비용·편익분석 등을 통해 경제성을 따져보고 정책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제도다. 지난해부터는 총사업비 1천억원 이상이고 국가 재정지원과 공공기관 부담분의 합이 500억원 이상인 공공기관 추진사업도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치도록 제도를 확대했다.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타당성 있음' 결론이 내려진 사업의 비율은 2010년 76.6%, 2011년 73.8%, 2012년 76.5%에서 2013년 61.5%로 뚝 떨어졌다. 2014년(79.5%), 2015년(73.5%) 다시 70%대를 기록하다가 지난해 66.7%로 내려갔다.

지난해의 경우 39건, 사업비 7조8천억원 규모가 신청돼 이중 26건(4조7천억원)만 타당성조사 관문을 통과했다.

일각에서는 현재의 예비타당성조사가 지나치게 경제성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낙후된 지역의 개발사업은 추진조차 하기 어렵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실제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사업의 경우 그동안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세 차례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에 실패했다가 지난해 네 번째만에 문턱을 넘었다. 이에 따라 강원도와 전라도 등 상대적 낙후지역을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지역균형발전 항목을 우선 고려하거나 배점을 높이는 내용의 법안이 잇따라 발의되고 있다.

정부는 그러나 재정 낭비를 막기 위해서라도 예비타당성조사를 엄격히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지역균형발전 가중치를 높이거나 타당성 분석이 어려운 복지와 교육 등 일부 사회분야 대규모 사업에 대해서는 다른 방법을 적용하는 방안의 도입을 검토 중이다.

융복합 신산업 등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심의·확정된 사업에 대해 예비타당성조사 절차를 간소화하고 국가전략 프로젝트 사업에 대해 수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를 도입한 뒤 선정기간을 축소하는 '패스트 트랙(Fast Track)' 제도도 도입키로 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지난해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 조사의 경제성 항목 비중이 높아 지역균형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예비타당성조사는 경제성이 중심이고 앞으로도 그렇다"면서도 "지역균형발전 같은 다른 정책 목표를 고려하고 있는데 가중치를 좀 더 높이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나랏돈 지원’ 대규모 개발사업 35% ‘타당성 없음’ 결론
    • 입력 2017-03-21 07:42:49
    • 수정2017-03-21 07:56:09
    경제
나랏돈이 들어가는 대형 개발사업 3건 중 1건은 수요가 없거나 경제성이 낮아 예비타당성조사 관문을 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999년 제도 도입 이후 지난해까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은 총 782건 333조3천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3건 중 2건 꼴인 509건(65.1%)은 조사 결과 '타당성 있음' 결론이 내려졌지만, 나머지 3분의 1인 273건(34.9%)은 효율성이나 수익성이 낮아 중·장기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됐다.

예비타당성조사는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 대규모 투자사업 중 재정지원이 300억원 이상인 사업을 대상으로 한다. 비용·편익분석 등을 통해 경제성을 따져보고 정책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제도다. 지난해부터는 총사업비 1천억원 이상이고 국가 재정지원과 공공기관 부담분의 합이 500억원 이상인 공공기관 추진사업도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치도록 제도를 확대했다.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타당성 있음' 결론이 내려진 사업의 비율은 2010년 76.6%, 2011년 73.8%, 2012년 76.5%에서 2013년 61.5%로 뚝 떨어졌다. 2014년(79.5%), 2015년(73.5%) 다시 70%대를 기록하다가 지난해 66.7%로 내려갔다.

지난해의 경우 39건, 사업비 7조8천억원 규모가 신청돼 이중 26건(4조7천억원)만 타당성조사 관문을 통과했다.

일각에서는 현재의 예비타당성조사가 지나치게 경제성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낙후된 지역의 개발사업은 추진조차 하기 어렵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실제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사업의 경우 그동안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세 차례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에 실패했다가 지난해 네 번째만에 문턱을 넘었다. 이에 따라 강원도와 전라도 등 상대적 낙후지역을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지역균형발전 항목을 우선 고려하거나 배점을 높이는 내용의 법안이 잇따라 발의되고 있다.

정부는 그러나 재정 낭비를 막기 위해서라도 예비타당성조사를 엄격히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지역균형발전 가중치를 높이거나 타당성 분석이 어려운 복지와 교육 등 일부 사회분야 대규모 사업에 대해서는 다른 방법을 적용하는 방안의 도입을 검토 중이다.

융복합 신산업 등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심의·확정된 사업에 대해 예비타당성조사 절차를 간소화하고 국가전략 프로젝트 사업에 대해 수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를 도입한 뒤 선정기간을 축소하는 '패스트 트랙(Fast Track)' 제도도 도입키로 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지난해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 조사의 경제성 항목 비중이 높아 지역균형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예비타당성조사는 경제성이 중심이고 앞으로도 그렇다"면서도 "지역균형발전 같은 다른 정책 목표를 고려하고 있는데 가중치를 좀 더 높이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