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에 억만장자 수두룩…고위공직자 재산 1인당 746억원 꼴
입력 2017.04.02 (14:15)
수정 2017.04.02 (14: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재벌 출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백악관이 일반인은 상상하기도 힘든 '억만장자 클럽'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악관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공개한 행정부 고위공직자 재산 내역에 따르면 백악관 직원 180명이 보유한 재산이 총 120억 달러, 한화로 13조 4천억 원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미국 정치전문매체 더힐이 1일 보도했다.
이를 단순 계산하면 1인당 평균 746억 원에 달하는 재산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재산공개 대상은 임명직 또는 16만1천 달러(약 1억 8천만 원) 이상의 급여를 받는 직원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 공직자 가운데 단 27명의 재산만 합쳐도 23억 달러(2조 6천억 원)에 달한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전했다.
어지간한 카운티(주 아래 행정구역) 주민들의 한 해 총소득보다 높은 액수다.
미국 3천여 개 카운티 가운데 연간 총소득 합계가 23억 달러를 넘기는 곳은 전체의 20%에 불과하다.
여기서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를 뽑았던 카운티만 따지면 이 비율은 15%로 떨어진다. 주민들의 연간 총소득이 39억 달러를 넘기는 곳은 8%, 100억 달러 이상인 곳은 2%에 불과했다.
2011∼2015년 미국 통계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추산한 결과 트럼프 지지 카운티의 평균 연 수입은 21억 달러(2조 4천억 원)로 집계됐다.
반면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를 뽑았던 카운티의 경우 총 연 수입이 평균 51억 달러(5조7천억원)였다.
이처럼 트럼프는 대선 당시 백인 저소득 노동자 계층의 지지를 바탕으로 당선됐지만, 정작 행정부는 억만장자로 채워놓은 셈이다.
이번 재산 명단에서 눈에 띄는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의 맏사위이자 막후 실세로 꼽히는 재러드 쿠슈너 선임고문이다.
쿠슈너는 가족의 부동산 사업 덕에 아내 이반카와 더불어 최대 7억 4천만 달러(8천300억 원)에 달하는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 마이클 플린 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은 137만∼147만 달러의 소득을 신고했다. 이 가운데 83만 달러(9억 3천만 원)는 컨설팅업체 플린인텔그룹에서 얻은 소득이었다.
컨설팅업체를 통해 얻은 소득 중에는 러시아 기업 강연과 터키 기업 로비 등으로 벌어들인 돈도 있는데, 러시아 관련 소득 규모가 얼마인지는 정확히 기재되지 않았다고 뉴욕타임스는 설명했다.
플린 전 보좌관은 지난 2월 러시아 내통 의혹에 휘말리면서 낙마했다.
백악관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공개한 행정부 고위공직자 재산 내역에 따르면 백악관 직원 180명이 보유한 재산이 총 120억 달러, 한화로 13조 4천억 원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미국 정치전문매체 더힐이 1일 보도했다.
이를 단순 계산하면 1인당 평균 746억 원에 달하는 재산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재산공개 대상은 임명직 또는 16만1천 달러(약 1억 8천만 원) 이상의 급여를 받는 직원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 공직자 가운데 단 27명의 재산만 합쳐도 23억 달러(2조 6천억 원)에 달한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전했다.
어지간한 카운티(주 아래 행정구역) 주민들의 한 해 총소득보다 높은 액수다.
미국 3천여 개 카운티 가운데 연간 총소득 합계가 23억 달러를 넘기는 곳은 전체의 20%에 불과하다.
여기서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를 뽑았던 카운티만 따지면 이 비율은 15%로 떨어진다. 주민들의 연간 총소득이 39억 달러를 넘기는 곳은 8%, 100억 달러 이상인 곳은 2%에 불과했다.
2011∼2015년 미국 통계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추산한 결과 트럼프 지지 카운티의 평균 연 수입은 21억 달러(2조 4천억 원)로 집계됐다.
반면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를 뽑았던 카운티의 경우 총 연 수입이 평균 51억 달러(5조7천억원)였다.
이처럼 트럼프는 대선 당시 백인 저소득 노동자 계층의 지지를 바탕으로 당선됐지만, 정작 행정부는 억만장자로 채워놓은 셈이다.
이번 재산 명단에서 눈에 띄는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의 맏사위이자 막후 실세로 꼽히는 재러드 쿠슈너 선임고문이다.
쿠슈너는 가족의 부동산 사업 덕에 아내 이반카와 더불어 최대 7억 4천만 달러(8천300억 원)에 달하는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 마이클 플린 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은 137만∼147만 달러의 소득을 신고했다. 이 가운데 83만 달러(9억 3천만 원)는 컨설팅업체 플린인텔그룹에서 얻은 소득이었다.
컨설팅업체를 통해 얻은 소득 중에는 러시아 기업 강연과 터키 기업 로비 등으로 벌어들인 돈도 있는데, 러시아 관련 소득 규모가 얼마인지는 정확히 기재되지 않았다고 뉴욕타임스는 설명했다.
플린 전 보좌관은 지난 2월 러시아 내통 의혹에 휘말리면서 낙마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백악관에 억만장자 수두룩…고위공직자 재산 1인당 746억원 꼴
-
- 입력 2017-04-02 14:15:35
- 수정2017-04-02 14:37:17

부동산 재벌 출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백악관이 일반인은 상상하기도 힘든 '억만장자 클럽'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악관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공개한 행정부 고위공직자 재산 내역에 따르면 백악관 직원 180명이 보유한 재산이 총 120억 달러, 한화로 13조 4천억 원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미국 정치전문매체 더힐이 1일 보도했다.
이를 단순 계산하면 1인당 평균 746억 원에 달하는 재산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재산공개 대상은 임명직 또는 16만1천 달러(약 1억 8천만 원) 이상의 급여를 받는 직원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 공직자 가운데 단 27명의 재산만 합쳐도 23억 달러(2조 6천억 원)에 달한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전했다.
어지간한 카운티(주 아래 행정구역) 주민들의 한 해 총소득보다 높은 액수다.
미국 3천여 개 카운티 가운데 연간 총소득 합계가 23억 달러를 넘기는 곳은 전체의 20%에 불과하다.
여기서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를 뽑았던 카운티만 따지면 이 비율은 15%로 떨어진다. 주민들의 연간 총소득이 39억 달러를 넘기는 곳은 8%, 100억 달러 이상인 곳은 2%에 불과했다.
2011∼2015년 미국 통계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추산한 결과 트럼프 지지 카운티의 평균 연 수입은 21억 달러(2조 4천억 원)로 집계됐다.
반면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를 뽑았던 카운티의 경우 총 연 수입이 평균 51억 달러(5조7천억원)였다.
이처럼 트럼프는 대선 당시 백인 저소득 노동자 계층의 지지를 바탕으로 당선됐지만, 정작 행정부는 억만장자로 채워놓은 셈이다.
이번 재산 명단에서 눈에 띄는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의 맏사위이자 막후 실세로 꼽히는 재러드 쿠슈너 선임고문이다.
쿠슈너는 가족의 부동산 사업 덕에 아내 이반카와 더불어 최대 7억 4천만 달러(8천300억 원)에 달하는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 마이클 플린 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은 137만∼147만 달러의 소득을 신고했다. 이 가운데 83만 달러(9억 3천만 원)는 컨설팅업체 플린인텔그룹에서 얻은 소득이었다.
컨설팅업체를 통해 얻은 소득 중에는 러시아 기업 강연과 터키 기업 로비 등으로 벌어들인 돈도 있는데, 러시아 관련 소득 규모가 얼마인지는 정확히 기재되지 않았다고 뉴욕타임스는 설명했다.
플린 전 보좌관은 지난 2월 러시아 내통 의혹에 휘말리면서 낙마했다.
백악관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공개한 행정부 고위공직자 재산 내역에 따르면 백악관 직원 180명이 보유한 재산이 총 120억 달러, 한화로 13조 4천억 원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미국 정치전문매체 더힐이 1일 보도했다.
이를 단순 계산하면 1인당 평균 746억 원에 달하는 재산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재산공개 대상은 임명직 또는 16만1천 달러(약 1억 8천만 원) 이상의 급여를 받는 직원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 공직자 가운데 단 27명의 재산만 합쳐도 23억 달러(2조 6천억 원)에 달한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전했다.
어지간한 카운티(주 아래 행정구역) 주민들의 한 해 총소득보다 높은 액수다.
미국 3천여 개 카운티 가운데 연간 총소득 합계가 23억 달러를 넘기는 곳은 전체의 20%에 불과하다.
여기서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를 뽑았던 카운티만 따지면 이 비율은 15%로 떨어진다. 주민들의 연간 총소득이 39억 달러를 넘기는 곳은 8%, 100억 달러 이상인 곳은 2%에 불과했다.
2011∼2015년 미국 통계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추산한 결과 트럼프 지지 카운티의 평균 연 수입은 21억 달러(2조 4천억 원)로 집계됐다.
반면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를 뽑았던 카운티의 경우 총 연 수입이 평균 51억 달러(5조7천억원)였다.
이처럼 트럼프는 대선 당시 백인 저소득 노동자 계층의 지지를 바탕으로 당선됐지만, 정작 행정부는 억만장자로 채워놓은 셈이다.
이번 재산 명단에서 눈에 띄는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의 맏사위이자 막후 실세로 꼽히는 재러드 쿠슈너 선임고문이다.
쿠슈너는 가족의 부동산 사업 덕에 아내 이반카와 더불어 최대 7억 4천만 달러(8천300억 원)에 달하는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 마이클 플린 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은 137만∼147만 달러의 소득을 신고했다. 이 가운데 83만 달러(9억 3천만 원)는 컨설팅업체 플린인텔그룹에서 얻은 소득이었다.
컨설팅업체를 통해 얻은 소득 중에는 러시아 기업 강연과 터키 기업 로비 등으로 벌어들인 돈도 있는데, 러시아 관련 소득 규모가 얼마인지는 정확히 기재되지 않았다고 뉴욕타임스는 설명했다.
플린 전 보좌관은 지난 2월 러시아 내통 의혹에 휘말리면서 낙마했다.
-
-
최성원 기자 swchoi@kbs.co.kr
최성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