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3개월간 82억 원 모금…“재선 전략 조기 가동”

입력 2017.04.16 (06:30) 수정 2017.04.16 (06: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선 후에도 기부금 모금활동을 계속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식 전후 3개월 동안 역대 어느 현직 대통령보다도 많은 돈을 모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일찌감치 2020년 재선을 노리고 선거자금 모금에 들어간 것으로 분석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현지시간 15일 전날 공개된 미 연방선거위원회(FEC)의 선거자금 보고서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 진영이 올해 1∼3월 710만 달러, 한국 돈 81억 820만 원가량을 모금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소속당인 공화당은 별도로 2천300만 달러, 우리 돈 262억 6천600만 원정도를 모았다.

둘을 합산한 3천10만 달러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과 민주당전국위원회(DNC)가 2009년 첫 임기 시작 3개월 동안 모은 돈보다 2배 많은 규모다.

반면, 지출 면에서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3월 지출액이 630만 달러, 한화 71억9천500만 원 정도였는데 6% 정도가 트럼프 대통령의 소유인 부동산이나 업체로 흘러들어 갔기 때문이다.

WSJ은 선거대책본부의 뉴욕 '트럼프타워' 내 사무실 임대에 27만4천13달러, 플로리다 주 팜비치의 '트럼프 골프장'에 5만8천685달러,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에 있는 '트럼프 인터내셔널 호텔'의 시설대여와 음식값으로 만3천828달러가 각각 지급됐다고 전했다.

대선이 끝났는데도 모금운동용 모자 등 비품을 사는데 120만 달러가 쓰였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오른팔'이던 스티븐 배넌 백악관 수석전략가의 소유 기업으로도 수만 달러가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부금으로 자신의 '지갑'을 불린다는 문제 제기는 지난 대선 기간에도 줄곧 나왔지만, 이런 지출 패턴이 유지되는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이해충돌 논란이 계속될 여지를 남기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3개월간 82억 원 모금…“재선 전략 조기 가동”
    • 입력 2017-04-16 06:30:29
    • 수정2017-04-16 06:42:35
    국제
대선 후에도 기부금 모금활동을 계속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식 전후 3개월 동안 역대 어느 현직 대통령보다도 많은 돈을 모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일찌감치 2020년 재선을 노리고 선거자금 모금에 들어간 것으로 분석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현지시간 15일 전날 공개된 미 연방선거위원회(FEC)의 선거자금 보고서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 진영이 올해 1∼3월 710만 달러, 한국 돈 81억 820만 원가량을 모금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소속당인 공화당은 별도로 2천300만 달러, 우리 돈 262억 6천600만 원정도를 모았다.

둘을 합산한 3천10만 달러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과 민주당전국위원회(DNC)가 2009년 첫 임기 시작 3개월 동안 모은 돈보다 2배 많은 규모다.

반면, 지출 면에서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3월 지출액이 630만 달러, 한화 71억9천500만 원 정도였는데 6% 정도가 트럼프 대통령의 소유인 부동산이나 업체로 흘러들어 갔기 때문이다.

WSJ은 선거대책본부의 뉴욕 '트럼프타워' 내 사무실 임대에 27만4천13달러, 플로리다 주 팜비치의 '트럼프 골프장'에 5만8천685달러,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에 있는 '트럼프 인터내셔널 호텔'의 시설대여와 음식값으로 만3천828달러가 각각 지급됐다고 전했다.

대선이 끝났는데도 모금운동용 모자 등 비품을 사는데 120만 달러가 쓰였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오른팔'이던 스티븐 배넌 백악관 수석전략가의 소유 기업으로도 수만 달러가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부금으로 자신의 '지갑'을 불린다는 문제 제기는 지난 대선 기간에도 줄곧 나왔지만, 이런 지출 패턴이 유지되는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이해충돌 논란이 계속될 여지를 남기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