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유엔보고관 방북 허용, 인권비판 ‘물타기’ 의도 해석

입력 2017.04.28 (08:29) 수정 2017.04.28 (08: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자국 내 인권 상황을 조사하기 위한 유엔 특별보고관의 방북을 처음으로 허용하면서 그 의도에 관심이 쏠린다.

유엔 인권이사회(UN Human Rights Council)는 27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카타리나 데반다스 아길라 유엔 장애인인권 특별보고관이 다음 달 3∼8일 북한을 방문해 장애인 인권 실태를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데반다스 아길라 보고관은 북한 내 장애인과 당국자, 북한에 주재하는 유엔 관계자, 북한이 장애인 보호 단체로 내세우는 조선장애자보호연맹 등을 만날 예정이다.

북한이 유엔 인권이사회가 임명한 인권 특별보고관의 방북을 받아들인 것은 보고관들의 활동 목적을 막론하고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인권이사회의 전신인 경제사회이사회 산하 인권위원회(Commission on Human Rights) 시절부터 활동해 온 역대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들은 지속해서 방북을 요청했지만 북한의 반대로 단 한 차례도 성사되지 못했다.

북한이 데반다스 아길라 보고관의 방북을 수용한 것은 장애인을 비롯한 취약계층의 인권 문제에서 전향적인 태도를 보여 국제사회의 인권비판을 희석하려는 의도가 짙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체제에 직접적 부담이 되는 표현의 자유나 정치범 수용소 문제 등 '시민적·정치적 권리'(자유권) 관련 문제 제기에는 강력하게 맞대응하면서도, 장애인·여성·아동 등 특정 사회적 집단의 인권은 적극적 개선 의지를 보이는 '이중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해 11월 유엔 장애인권리협약을 비준하고 장애인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와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지난해 4월에는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 당사국으로서 14년 만에 이행 보고서를 제출하고, 아동권리협약 이행 보고서도 9년여 만에 제출했다.

반면 북한의 인권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해야 한다는 등의 내용이 담긴 유엔 북한 인권 결의에는 '반(反)공화국 모략 소동'이라며 매번 정면으로 반발해 왔다.

그러나 제한적 주제·범위에서나마 북한의 인권 상황이 외부 전문가에게 직접 노출되고 평가를 받는다는 점에서 이번 방북이 결국에는 긍정적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유엔보고관 방북 허용, 인권비판 ‘물타기’ 의도 해석
    • 입력 2017-04-28 08:29:15
    • 수정2017-04-28 08:35:03
    정치
북한이 자국 내 인권 상황을 조사하기 위한 유엔 특별보고관의 방북을 처음으로 허용하면서 그 의도에 관심이 쏠린다.

유엔 인권이사회(UN Human Rights Council)는 27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카타리나 데반다스 아길라 유엔 장애인인권 특별보고관이 다음 달 3∼8일 북한을 방문해 장애인 인권 실태를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데반다스 아길라 보고관은 북한 내 장애인과 당국자, 북한에 주재하는 유엔 관계자, 북한이 장애인 보호 단체로 내세우는 조선장애자보호연맹 등을 만날 예정이다.

북한이 유엔 인권이사회가 임명한 인권 특별보고관의 방북을 받아들인 것은 보고관들의 활동 목적을 막론하고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인권이사회의 전신인 경제사회이사회 산하 인권위원회(Commission on Human Rights) 시절부터 활동해 온 역대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들은 지속해서 방북을 요청했지만 북한의 반대로 단 한 차례도 성사되지 못했다.

북한이 데반다스 아길라 보고관의 방북을 수용한 것은 장애인을 비롯한 취약계층의 인권 문제에서 전향적인 태도를 보여 국제사회의 인권비판을 희석하려는 의도가 짙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체제에 직접적 부담이 되는 표현의 자유나 정치범 수용소 문제 등 '시민적·정치적 권리'(자유권) 관련 문제 제기에는 강력하게 맞대응하면서도, 장애인·여성·아동 등 특정 사회적 집단의 인권은 적극적 개선 의지를 보이는 '이중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해 11월 유엔 장애인권리협약을 비준하고 장애인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와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지난해 4월에는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 당사국으로서 14년 만에 이행 보고서를 제출하고, 아동권리협약 이행 보고서도 9년여 만에 제출했다.

반면 북한의 인권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해야 한다는 등의 내용이 담긴 유엔 북한 인권 결의에는 '반(反)공화국 모략 소동'이라며 매번 정면으로 반발해 왔다.

그러나 제한적 주제·범위에서나마 북한의 인권 상황이 외부 전문가에게 직접 노출되고 평가를 받는다는 점에서 이번 방북이 결국에는 긍정적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