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월성서 인신공양 흔적 첫 확인

입력 2017.05.16 (11:17) 수정 2017.05.16 (21: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 월성서 인신공양 흔적 첫 확인

경주 월성서 인신공양 흔적 첫 확인


[연관 기사] [뉴스9] 경주 월성 성벽 아래 인골…‘인신 공양’ 추정

천년고도인 경주의 월성(사적 제16호) 성벽에서 1500여년 전 제물로 묻은 것으로 추정되는 인골이 출토됐다.

성벽 유적에서 인골이 출토된 것은 국내 최초로, 제방을 쌓거나 건물을 지을 때 사람을 주춧돌 아래에 매장하면 무너지지 않는다는 인주(人柱) 설화가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성벽 내 인골 출토 전경성벽 내 인골 출토 전경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경주 월성에서 2015년 3월부터 진행된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5세기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서쪽 성벽의 기초층에서 인골 2구를 발견했다고 16일 밝혔다. 인골 1구는 하늘을 향해 똑바로 누워 있었고 다른 1구는 이 인골을 바라보게끔 얼굴과 한쪽 팔이 약간 돌려져 있었다.

인골의 얼굴 주변에서는 나무껍질이 부분적으로 확인됐다. 두 인골은 결박이나 저항의 흔적이 없고 곧게 누운 점으로 미뤄 사망한 뒤에 묻힌 것으로 판단된다고 문화재연구소는 설명했다.

중국에서는 상나라(商, 기원전 1600년∼기원전 1000년쯤)때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사람을 제물로 쓰는 풍속이 성행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사' 충혜왕 4년(1343년)에 전하기를 “왕이 민가의 어린아이를 잡아다가 새로 짓는 궁궐의 주춧돌 아래에 묻는다”라는 유언비어가 돌았다고 한다.

현재 발굴된 인골을 대상으로 체질인류학적 분석과 DNA 분석 등 자연과학적 연구를 하고 있는데 연구 결과가 나오면 당시 사람들의 다양한 생활상을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자 지구에서 출토된 토우들해자 지구에서 출토된 토우들

경주 월성의 북쪽 해자에서는 독특한 모양의 토우(土偶, 흙으로 빚은 사람 형상의 인형)와 월성의 역사적 가치를 입증하는 목간도 나왔다.

터번 쓴 토우터번 쓴 토우

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토우는 눈이 깊고, 끝자락이 오른쪽 팔뚝까지 내려오는 터번을 머리에 두르고 있다. 또 허리가 잘록해 보이는 페르시아풍의 긴 옷을 입었다.

문화재연구소는 "당나라 시대 호복(胡服)이라고 불린 소그드인의 옷과 모양이 유사하다"며 "소그드인은 중앙아시아에 살던 이란계 주민을 말한다"고 설명했다.

해자 지구에서 출토된 목간해자 지구에서 출토된 목간

월성 해자에서 새롭게 발굴된 목간은 모두 7점이다. 그중 한 목간에서는 '병오년'(丙午年)이라는 글자가 확인됐는데, 작성 시점은 법흥왕 13년(526년)이나 진평왕 8년(586년)으로 추정된다.

또 다른 목간에서는 경주가 아닌 지방민에게 주어진 관직인 '일벌'(一伐)과 '간지'(干支)라는 글자가 노동을 뜻하는 '공'(功) 자와 함께 기록돼 있었다. 이와 관련해 문화재연구소는 당시 왕경 정비 사업에 지방민이 동원됐고, 이들을 지방 유력자가 감독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아뢰고'의 이두식 표현인 '백견'(白遣)이 적힌 목간, 삼국사기에는 등장하지 않는 관직명인 '전중대등'(典中大等)이라는 글자가 쓰인 목간도 나왔다.

해자 지구에서 출토된 곰의 뼈와 가시연꽃 씨앗, 얼레빗 (왼쪽부터)해자 지구에서 출토된 곰의 뼈와 가시연꽃 씨앗, 얼레빗 (왼쪽부터)

이밖에도 월성 해자(垓字)에서는 신라시대 유적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된 곰의 뼈, 산림청이 희귀식물로 지정하고 있는 가시연꽃의 씨앗, 손칼과 작은 톱 등으로 정교하게 만든 얼레빗(빗살이 굵고 성긴 빗)이 발견됐다. 이처럼 다양한 유물이 나온 해자는 5∼7세기와 8세기 이후의 건축 기법이 다소 다르지만, 500년 동안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보면 경주 월성은 제5대 파사왕 22년(101년)에 성을 쌓기 시작했으며, 신라가 망한 935년까지 궁성으로 쓰였다고 적혀 있다. 2015년 3월부터 본격적인 발굴 작업이 시작된 경주 월성 유적은 지난해 3월까지 이뤄진 1년차 조사 때 통일신라시대 건물터와 흙으로 빚은 벼루조각 50여 점, 특수 기와 등이 출토된 바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주 월성서 인신공양 흔적 첫 확인
    • 입력 2017-05-16 11:17:57
    • 수정2017-05-16 21:50:33
    취재K

[연관 기사] [뉴스9] 경주 월성 성벽 아래 인골…‘인신 공양’ 추정

천년고도인 경주의 월성(사적 제16호) 성벽에서 1500여년 전 제물로 묻은 것으로 추정되는 인골이 출토됐다.

성벽 유적에서 인골이 출토된 것은 국내 최초로, 제방을 쌓거나 건물을 지을 때 사람을 주춧돌 아래에 매장하면 무너지지 않는다는 인주(人柱) 설화가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성벽 내 인골 출토 전경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경주 월성에서 2015년 3월부터 진행된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5세기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서쪽 성벽의 기초층에서 인골 2구를 발견했다고 16일 밝혔다. 인골 1구는 하늘을 향해 똑바로 누워 있었고 다른 1구는 이 인골을 바라보게끔 얼굴과 한쪽 팔이 약간 돌려져 있었다.

인골의 얼굴 주변에서는 나무껍질이 부분적으로 확인됐다. 두 인골은 결박이나 저항의 흔적이 없고 곧게 누운 점으로 미뤄 사망한 뒤에 묻힌 것으로 판단된다고 문화재연구소는 설명했다.

중국에서는 상나라(商, 기원전 1600년∼기원전 1000년쯤)때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사람을 제물로 쓰는 풍속이 성행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사' 충혜왕 4년(1343년)에 전하기를 “왕이 민가의 어린아이를 잡아다가 새로 짓는 궁궐의 주춧돌 아래에 묻는다”라는 유언비어가 돌았다고 한다.

현재 발굴된 인골을 대상으로 체질인류학적 분석과 DNA 분석 등 자연과학적 연구를 하고 있는데 연구 결과가 나오면 당시 사람들의 다양한 생활상을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자 지구에서 출토된 토우들
경주 월성의 북쪽 해자에서는 독특한 모양의 토우(土偶, 흙으로 빚은 사람 형상의 인형)와 월성의 역사적 가치를 입증하는 목간도 나왔다.

터번 쓴 토우
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토우는 눈이 깊고, 끝자락이 오른쪽 팔뚝까지 내려오는 터번을 머리에 두르고 있다. 또 허리가 잘록해 보이는 페르시아풍의 긴 옷을 입었다.

문화재연구소는 "당나라 시대 호복(胡服)이라고 불린 소그드인의 옷과 모양이 유사하다"며 "소그드인은 중앙아시아에 살던 이란계 주민을 말한다"고 설명했다.

해자 지구에서 출토된 목간
월성 해자에서 새롭게 발굴된 목간은 모두 7점이다. 그중 한 목간에서는 '병오년'(丙午年)이라는 글자가 확인됐는데, 작성 시점은 법흥왕 13년(526년)이나 진평왕 8년(586년)으로 추정된다.

또 다른 목간에서는 경주가 아닌 지방민에게 주어진 관직인 '일벌'(一伐)과 '간지'(干支)라는 글자가 노동을 뜻하는 '공'(功) 자와 함께 기록돼 있었다. 이와 관련해 문화재연구소는 당시 왕경 정비 사업에 지방민이 동원됐고, 이들을 지방 유력자가 감독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아뢰고'의 이두식 표현인 '백견'(白遣)이 적힌 목간, 삼국사기에는 등장하지 않는 관직명인 '전중대등'(典中大等)이라는 글자가 쓰인 목간도 나왔다.

해자 지구에서 출토된 곰의 뼈와 가시연꽃 씨앗, 얼레빗 (왼쪽부터)
이밖에도 월성 해자(垓字)에서는 신라시대 유적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된 곰의 뼈, 산림청이 희귀식물로 지정하고 있는 가시연꽃의 씨앗, 손칼과 작은 톱 등으로 정교하게 만든 얼레빗(빗살이 굵고 성긴 빗)이 발견됐다. 이처럼 다양한 유물이 나온 해자는 5∼7세기와 8세기 이후의 건축 기법이 다소 다르지만, 500년 동안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보면 경주 월성은 제5대 파사왕 22년(101년)에 성을 쌓기 시작했으며, 신라가 망한 935년까지 궁성으로 쓰였다고 적혀 있다. 2015년 3월부터 본격적인 발굴 작업이 시작된 경주 월성 유적은 지난해 3월까지 이뤄진 1년차 조사 때 통일신라시대 건물터와 흙으로 빚은 벼루조각 50여 점, 특수 기와 등이 출토된 바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