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금융시스템 위험요인은 지정학적 리스크·가계빚

입력 2017.05.24 (07:40) 수정 2017.05.24 (07: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융전문가들은 국내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요인으로 가계부채와 지정학적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System risk) 서베이 결과'를 보면 지난 4월 20일부터 이달 10일까지 국내외 금융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 조사 대상은 국내 금융기관의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 및 금융시장(주식, 채권, 외환·파생 등) 참가자,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투자 담당자 등 72명이다.

응답자의 33%는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요인으로 한국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꼽았고 32%는 가계부채 문제를 선택했다. 그다음에 1순위 위험요인으로 거론된 문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 및 보유 자산 축소(14%), 취약업종의 기업 구조조정(7%), 가계의 소득 부진 지속(4%) 등이다.

응답자들이 각각 지적한 5개 주요 위험요인을 단순집계한 결과에서도 가계부채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가계부채가 85%로 가장 높았고 지정학적 리스크(71%),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및 보유 자산 축소(63%),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51%), 취약업종의 기업 구조조정(44%)이 뒤따랐다.

작년 10월 조사 때와 비교하면 가계부채 응답 비중이 15% 포인트 높아졌고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이번에 새로 포함됐다. 지정학적 불안감은 올해 북한이 미사일 발사 등 무력시위를 하면서 한반도 내 긴장 수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에 성공할 경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군사적 대응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가계부채 증가세도 금융시장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359조7천억원(잠정치)으로 1분기에만 17조1천억원 늘었다.

금융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1년 이내의 단기 위험요인으로, 가계부채 문제를 중기(1∼3년)에 나타날 위험요인으로 각각 인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금융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는 높아졌다. 앞으로 3년간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40%는 '높다'고 답했다. 작년 10월(31%)보다 9%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반면 '낮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13%에서 4%로 크게 하락했다. 1년 이내 금융시스템 위험이 현실화될 가능성에 대해선 응답자의 51%가 낮다고 봤다. 또 중기(1∼3년)로 볼 때 금융시스템에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을 묻자 응답자의 38%는 '높다'로, 15%는 '낮다'로 각각 답했다. '높다'는 응답의 비중은 작년 10월 조사 때보다 6% 포인트 떨어졌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문가들, 금융시스템 위험요인은 지정학적 리스크·가계빚
    • 입력 2017-05-24 07:40:23
    • 수정2017-05-24 07:50:55
    경제
금융전문가들은 국내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요인으로 가계부채와 지정학적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System risk) 서베이 결과'를 보면 지난 4월 20일부터 이달 10일까지 국내외 금융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 조사 대상은 국내 금융기관의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 및 금융시장(주식, 채권, 외환·파생 등) 참가자,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투자 담당자 등 72명이다.

응답자의 33%는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요인으로 한국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꼽았고 32%는 가계부채 문제를 선택했다. 그다음에 1순위 위험요인으로 거론된 문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 및 보유 자산 축소(14%), 취약업종의 기업 구조조정(7%), 가계의 소득 부진 지속(4%) 등이다.

응답자들이 각각 지적한 5개 주요 위험요인을 단순집계한 결과에서도 가계부채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가계부채가 85%로 가장 높았고 지정학적 리스크(71%),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및 보유 자산 축소(63%),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51%), 취약업종의 기업 구조조정(44%)이 뒤따랐다.

작년 10월 조사 때와 비교하면 가계부채 응답 비중이 15% 포인트 높아졌고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이번에 새로 포함됐다. 지정학적 불안감은 올해 북한이 미사일 발사 등 무력시위를 하면서 한반도 내 긴장 수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에 성공할 경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군사적 대응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가계부채 증가세도 금융시장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359조7천억원(잠정치)으로 1분기에만 17조1천억원 늘었다.

금융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1년 이내의 단기 위험요인으로, 가계부채 문제를 중기(1∼3년)에 나타날 위험요인으로 각각 인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금융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는 높아졌다. 앞으로 3년간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40%는 '높다'고 답했다. 작년 10월(31%)보다 9%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반면 '낮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13%에서 4%로 크게 하락했다. 1년 이내 금융시스템 위험이 현실화될 가능성에 대해선 응답자의 51%가 낮다고 봤다. 또 중기(1∼3년)로 볼 때 금융시스템에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을 묻자 응답자의 38%는 '높다'로, 15%는 '낮다'로 각각 답했다. '높다'는 응답의 비중은 작년 10월 조사 때보다 6% 포인트 떨어졌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