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다중이용시설 ‘공기질’ 열악

입력 2017.05.26 (07:37) 수정 2017.05.26 (09: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은 일정 규모 이상이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게 돼 있습니다.

그런데 노약자나 장애인 같은 취약계층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들은 대부분 규모가 작아 관리 사각에 놓여 있습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마을 주민 40여 명이 이용하고 있는 경기도 용인의 한 경로당.

방안 군데군데 곰팡이가 피어 있습니다.

주변 축산 분뇨 냄새 탓에 문을 못 열 때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금세 높아집니다.

<인터뷰> 김복남(경로당 이용 주민) : "아우~ 탁하죠. 그러니까 이렇게 공기가 좋지 않다는 거 아니에요."

장애인 공동작업장인 이곳도 사방에 창문이 없어 자연 환기는 꿈도 못 꿉니다.

그나마 있는 환기 시설도 시커멓게 먼지가 쌓여 제 기능을 못합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조사 결과 미세먼지, 총부유세균 등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훌쩍 넘습니다.

<인터뷰> 김미옥(자원봉사자) : "물을 먹어도 뚜껑 덮어놓지 않으면 먼지가 앉고. 전혀 공기가 돌지 않아요. 그래서 봉사하시는 분들도 좀 힘들어하세요."

여럿이 함께 쓰는 시설은 실내공기질을 소유자가 관리하도록 법으로 규정돼 있습니다.

하지만 규모가 작은 시설들은 법적 관리 대상에서 빠져 있어 후원이나 자원봉사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은경(자원봉사단체 대표) : "구석구석 취약한 시설들이 많은 혜택을 보고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으면 하는 것이 제 바람입니다."

경기도 내 다중이용시설 만 8천여 곳 가운데 법적 관리 대상이 아닌 곳은 만 4천여 곳.

최근 대기 중 미세먼지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취약계층들이 자주 이용하는 실내 공간들이 관리 사각 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약계층 다중이용시설 ‘공기질’ 열악
    • 입력 2017-05-26 07:39:09
    • 수정2017-05-26 09:50:15
    뉴스광장
<앵커 멘트>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은 일정 규모 이상이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게 돼 있습니다.

그런데 노약자나 장애인 같은 취약계층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들은 대부분 규모가 작아 관리 사각에 놓여 있습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마을 주민 40여 명이 이용하고 있는 경기도 용인의 한 경로당.

방안 군데군데 곰팡이가 피어 있습니다.

주변 축산 분뇨 냄새 탓에 문을 못 열 때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금세 높아집니다.

<인터뷰> 김복남(경로당 이용 주민) : "아우~ 탁하죠. 그러니까 이렇게 공기가 좋지 않다는 거 아니에요."

장애인 공동작업장인 이곳도 사방에 창문이 없어 자연 환기는 꿈도 못 꿉니다.

그나마 있는 환기 시설도 시커멓게 먼지가 쌓여 제 기능을 못합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조사 결과 미세먼지, 총부유세균 등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훌쩍 넘습니다.

<인터뷰> 김미옥(자원봉사자) : "물을 먹어도 뚜껑 덮어놓지 않으면 먼지가 앉고. 전혀 공기가 돌지 않아요. 그래서 봉사하시는 분들도 좀 힘들어하세요."

여럿이 함께 쓰는 시설은 실내공기질을 소유자가 관리하도록 법으로 규정돼 있습니다.

하지만 규모가 작은 시설들은 법적 관리 대상에서 빠져 있어 후원이나 자원봉사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은경(자원봉사단체 대표) : "구석구석 취약한 시설들이 많은 혜택을 보고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으면 하는 것이 제 바람입니다."

경기도 내 다중이용시설 만 8천여 곳 가운데 법적 관리 대상이 아닌 곳은 만 4천여 곳.

최근 대기 중 미세먼지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취약계층들이 자주 이용하는 실내 공간들이 관리 사각 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