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대안 ‘셰어하우스’? 이것만은 챙겨야

입력 2017.06.12 (17:20) 수정 2017.06.12 (22: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관 기사] [뉴스7] ‘셰어하우스’ 급증…법규 사각지대 해소해야

'셰어하우스'가 임대 수입의 새로운 모델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 셰어하우스 중개 업체들은 최근 단독주택이나 고시원, 아파트를 '셰어하우스'로 개조하려는 임대인들의 문의가 늘었다고 입을 모아 이야기한다.

거실과 부엌 등의 주거 공간을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차인들에게 인기가 있고, 방 하나당 월세를 받으니 수익도 쏠쏠하다. 문재인 정부도 임기 내 월세 30만 원 이하의 '셰어하우스(공유주택)형 청년임대주택' 5만 실을 공급하겠다고 내세웠다.


셰어하우스의 매력은 ‘저렴한 월세’…과연?

방은 따로 쓰면서 부엌과 화장실, 거실 등의 공간은 공유하는 '셰어하우스'. 입주자들은 셰어하우스의 첫 번째 매력으로 '가성비'를 꼽는다. 저렴한 월세로 보다 쾌적한 거주 공간을 보장받는 데에 있다. 특히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 1인 가구는 주거비에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셰어하우스는 1인 가구의 새로운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렇다면 셰어하우스는 정말 저렴할까? 국내 한 셰어하우스 플랫폼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셰어하우스의 평균 임대료는 '보증금 100만 원, 월세 39만 원'. 서울시 소형주택의 평균 보증금(4,277만 원)과 월세(40만 원)에 비해 훨씬 저렴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역세권'에 셰어하우스를 공급하게 되면 주거비 부담은 한층 높아진다. 서울시가 올해 청년 주택의 첫 사업지로 용산구 삼각지에 제공하는 청년 주택은 전용 면적 19㎡에 보증금 3,950만 원, 월 38만 원을 내야 한다. 2명이 함께 쓰는 2인실(39㎡)도 보증금 3,750만 원에 월 35만 원이다. 서울시 소형주택 평균 시세에 비해 크게 저렴하지 않은 수치다.

‘공유 공간’에 대한 진지한 고려 있어야…임대 계약도 꼼꼼하게

셰어하우스는 공간을 공유하면서 입주자들이 정서적 고려를 한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혀왔다. 하지만 이 '정서적 교류'는 셰어하우스의 최대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 있다.

지난해 9월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가 사회초년생(직장생활 5년 미만) 525명에 물었던 설문조사에 따르면, 답변자의 53.3%가 셰어하우스에 거주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공간을 공유하는 것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 않았던 셈이다.

거주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공간을 어떻게 관리할 것에 대한 진지한 고려도 아직 부족하다. 현행법상 셰어하우스는 고시원과 똑같은 제2종 근린생활시설로 분류하고 있다. 개인 공간의 면적은 최소한 얼마나 주어져야 되는지, 공유 공간을 임대인이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법적 규제가 사실상 전무한 것이다.

실제 셰어하우스 중개 업체의 한 관계자는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공유 공간 관리'"라며 "민원의 대부분이 시설 수리에 집중돼 있다"고 말했다. 가족이 아닌 남과 화장실을 공유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공유 공간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을 때 주거의 질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김성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부동산국책팀장은 "단순히 주거비만 낮을 뿐 아니라, 그 안의 공유공간을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 것인지, 거기서 피해 보는 것에 대해서 어떤 제도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정부가 그 기준을 꼼꼼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셰어하우스'에 대한 법적 테두리가 없는 만큼, 임대 계약을 할 때도 세심하게 따져봐야 한다. 셰어하우스는 전대계약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은 데다, 표준화된 임대 계약서도 없기 때문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인 가구 대안 ‘셰어하우스’? 이것만은 챙겨야
    • 입력 2017-06-12 17:20:10
    • 수정2017-06-12 22:16:18
    취재K

[연관 기사] [뉴스7] ‘셰어하우스’ 급증…법규 사각지대 해소해야

'셰어하우스'가 임대 수입의 새로운 모델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 셰어하우스 중개 업체들은 최근 단독주택이나 고시원, 아파트를 '셰어하우스'로 개조하려는 임대인들의 문의가 늘었다고 입을 모아 이야기한다.

거실과 부엌 등의 주거 공간을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차인들에게 인기가 있고, 방 하나당 월세를 받으니 수익도 쏠쏠하다. 문재인 정부도 임기 내 월세 30만 원 이하의 '셰어하우스(공유주택)형 청년임대주택' 5만 실을 공급하겠다고 내세웠다.


셰어하우스의 매력은 ‘저렴한 월세’…과연?

방은 따로 쓰면서 부엌과 화장실, 거실 등의 공간은 공유하는 '셰어하우스'. 입주자들은 셰어하우스의 첫 번째 매력으로 '가성비'를 꼽는다. 저렴한 월세로 보다 쾌적한 거주 공간을 보장받는 데에 있다. 특히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 1인 가구는 주거비에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셰어하우스는 1인 가구의 새로운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렇다면 셰어하우스는 정말 저렴할까? 국내 한 셰어하우스 플랫폼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셰어하우스의 평균 임대료는 '보증금 100만 원, 월세 39만 원'. 서울시 소형주택의 평균 보증금(4,277만 원)과 월세(40만 원)에 비해 훨씬 저렴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역세권'에 셰어하우스를 공급하게 되면 주거비 부담은 한층 높아진다. 서울시가 올해 청년 주택의 첫 사업지로 용산구 삼각지에 제공하는 청년 주택은 전용 면적 19㎡에 보증금 3,950만 원, 월 38만 원을 내야 한다. 2명이 함께 쓰는 2인실(39㎡)도 보증금 3,750만 원에 월 35만 원이다. 서울시 소형주택 평균 시세에 비해 크게 저렴하지 않은 수치다.

‘공유 공간’에 대한 진지한 고려 있어야…임대 계약도 꼼꼼하게

셰어하우스는 공간을 공유하면서 입주자들이 정서적 고려를 한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혀왔다. 하지만 이 '정서적 교류'는 셰어하우스의 최대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 있다.

지난해 9월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가 사회초년생(직장생활 5년 미만) 525명에 물었던 설문조사에 따르면, 답변자의 53.3%가 셰어하우스에 거주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공간을 공유하는 것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 않았던 셈이다.

거주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공간을 어떻게 관리할 것에 대한 진지한 고려도 아직 부족하다. 현행법상 셰어하우스는 고시원과 똑같은 제2종 근린생활시설로 분류하고 있다. 개인 공간의 면적은 최소한 얼마나 주어져야 되는지, 공유 공간을 임대인이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법적 규제가 사실상 전무한 것이다.

실제 셰어하우스 중개 업체의 한 관계자는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공유 공간 관리'"라며 "민원의 대부분이 시설 수리에 집중돼 있다"고 말했다. 가족이 아닌 남과 화장실을 공유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공유 공간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을 때 주거의 질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김성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부동산국책팀장은 "단순히 주거비만 낮을 뿐 아니라, 그 안의 공유공간을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 것인지, 거기서 피해 보는 것에 대해서 어떤 제도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정부가 그 기준을 꼼꼼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셰어하우스'에 대한 법적 테두리가 없는 만큼, 임대 계약을 할 때도 세심하게 따져봐야 한다. 셰어하우스는 전대계약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은 데다, 표준화된 임대 계약서도 없기 때문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