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만 찾아가는 빛…‘종양활동 억제 치료법’ 제시

입력 2017.06.18 (15:03) 수정 2017.06.18 (15: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빛을 이용한 기존 암 치료(광역학치료)의 단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치료법을 한미 공동연구진이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오늘(18일) 고려대 김종승·김종훈 교수, 성균관대 이진용 교수, 미국 텍사스 오스틴 대 조나단 세슬러 교수 공동연구진이 암 조직의 새로운 혈관 형성 능력을 억제하는 광역학치료제를 개발했다고 1밝혔다.

광역학 치료는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한 암 치료법으로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화학요법 등과 비교하면 부작용이나 후유증이 적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암세포를 정확하게 찾아낼 가능성이 적어, 정상 세포 손상을 유발하거나 재발 위험이 크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한미 연구진은 악성 종양만 찾아가는 동시에 암세포가 증식할 수 없도록 혈관 형성을 억제하는 광역학 치료제를 내놨다. 종양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치료제를 전달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진은 학계에 알려진 혈관생성 억제 물질 아세타졸아마이드가 탄산탈수소효소9 단백질과 선택적으로 강력하게 상호 결합한다는 특성을 확인했다. 탄산탈수소효소9 단백질은 암세포에 지나치게 발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세타졸아마이드와 탄산탈수소효소9 단백질의 관계를 이용해 광역학 치료제를 만든 연구진은 동물 실험을 통해 아세타졸아마이드가 없는 광역학 치료제보다 4배 이상 종양 부피가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고려대 김종승 교수는 "새로운 방식의 표적지향형 광역학 치료제로, 암세포의 선택적 치료와 치료 후 재발을 막을 수 있는 암 신생 혈관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며 "약물의 체내 동태나 인체 안전성 평가 등 후속 연구를 통해 실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 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지난 7일 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암세포만 찾아가는 빛…‘종양활동 억제 치료법’ 제시
    • 입력 2017-06-18 15:03:06
    • 수정2017-06-18 15:04:06
    IT·과학
빛을 이용한 기존 암 치료(광역학치료)의 단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치료법을 한미 공동연구진이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오늘(18일) 고려대 김종승·김종훈 교수, 성균관대 이진용 교수, 미국 텍사스 오스틴 대 조나단 세슬러 교수 공동연구진이 암 조직의 새로운 혈관 형성 능력을 억제하는 광역학치료제를 개발했다고 1밝혔다.

광역학 치료는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한 암 치료법으로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화학요법 등과 비교하면 부작용이나 후유증이 적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암세포를 정확하게 찾아낼 가능성이 적어, 정상 세포 손상을 유발하거나 재발 위험이 크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한미 연구진은 악성 종양만 찾아가는 동시에 암세포가 증식할 수 없도록 혈관 형성을 억제하는 광역학 치료제를 내놨다. 종양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치료제를 전달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진은 학계에 알려진 혈관생성 억제 물질 아세타졸아마이드가 탄산탈수소효소9 단백질과 선택적으로 강력하게 상호 결합한다는 특성을 확인했다. 탄산탈수소효소9 단백질은 암세포에 지나치게 발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세타졸아마이드와 탄산탈수소효소9 단백질의 관계를 이용해 광역학 치료제를 만든 연구진은 동물 실험을 통해 아세타졸아마이드가 없는 광역학 치료제보다 4배 이상 종양 부피가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고려대 김종승 교수는 "새로운 방식의 표적지향형 광역학 치료제로, 암세포의 선택적 치료와 치료 후 재발을 막을 수 있는 암 신생 혈관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며 "약물의 체내 동태나 인체 안전성 평가 등 후속 연구를 통해 실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 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지난 7일 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