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석탄발전 절반 감축시 발전비용 11조원 상승”

입력 2017.06.20 (15:08) 수정 2017.06.20 (15: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자력과 석탄 발전량이 줄고 액화천연가스(LNG)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늘면 발전비용이 약 11조원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0일 '신정부 전원(電源) 구성안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새 정부의 공약대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늘릴 때 발생하는 효과를 분석했다.

현재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5∼2029년) 상 원전, 석탄, 가스,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28.2%, 32.3%, 30.6%, 4.6%다. 그러나 정부의 탈(脫)원전·탈석탄 시나리오가 이행되면 해당 비중은 12.9%, 17.0%, 56.4%. 9.4%로 바뀔 전망이다. 설비용량은 원자력이 23.1GW에서 12.7GW, 석탄은 32.0GW에서 16.7GW로 줄어드는 반면, 가스는 31.5GW에서 55.3GW, 신재생에너지는 2.5GW에서 9.2GW로 각각 확대된다.

연료원별 정산단가는 지난해 기준 kWh당 원자력 67.9원, 석탄 73.9원, 가스 99.4원, 신재생에너지 186.7원이다. 가스가 원전이나 석탄보다 단가가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발전비용은 상승이 불가피하다. 보고서는 탈원전·탈석탄 시나리오 구현 시 발전비용은 2016년보다 약 21%(11조6천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앞으로 국제유가가 더 오르면 발전비용 부담은 더욱 커진다. 연구원은 지난해 유가(배럴당 43달러)에서는 발전비용이 21% 증가하지만, 유가 70달러에서는 24.2%, 100달러에서는 28.4%, 150달러에는 30.8% 증가 효과가 발생한다고 봤다. 발전비용이 20% 상승할 경우 물가는 0.46∼1.16% 증가하고, 국내총생산(GDP)은 0.70∼0.93% 감소한다고 추산했다.

전력수급은 유동적이다. 만약 신재생에너지 구성이 태양광과 풍력으로만 구성될 경우 2016년 공급예비율이 6.4%(예비력 5천421MW)까지 하락하면서 수급 불안정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출력 조절이 가능한 경직성 신재생에너지 전원 비중이 높아진다면 불안정성은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LNG나 신재생에너지 사용 증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이다. 탈원전·탈석탄 정책이 시행될 경우 온실가스 배출은 지난해 대비 4천912만t의 감소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에너지 독립성이 강하고 친환경적인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전원 구성을 결정하는 다양한 가치들을 조화롭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특정 전원에 대한 지원 또는 폐쇄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만큼, 신재생에너지의 현실적 보급 속도를 고려하면서 탈원전·탈석탄 정책에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새 에너지 정책은 올해 말 발표 예정인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구체화될 예정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원전·석탄발전 절반 감축시 발전비용 11조원 상승”
    • 입력 2017-06-20 15:08:37
    • 수정2017-06-20 15:19:59
    경제
원자력과 석탄 발전량이 줄고 액화천연가스(LNG)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늘면 발전비용이 약 11조원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0일 '신정부 전원(電源) 구성안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새 정부의 공약대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늘릴 때 발생하는 효과를 분석했다.

현재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5∼2029년) 상 원전, 석탄, 가스,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28.2%, 32.3%, 30.6%, 4.6%다. 그러나 정부의 탈(脫)원전·탈석탄 시나리오가 이행되면 해당 비중은 12.9%, 17.0%, 56.4%. 9.4%로 바뀔 전망이다. 설비용량은 원자력이 23.1GW에서 12.7GW, 석탄은 32.0GW에서 16.7GW로 줄어드는 반면, 가스는 31.5GW에서 55.3GW, 신재생에너지는 2.5GW에서 9.2GW로 각각 확대된다.

연료원별 정산단가는 지난해 기준 kWh당 원자력 67.9원, 석탄 73.9원, 가스 99.4원, 신재생에너지 186.7원이다. 가스가 원전이나 석탄보다 단가가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발전비용은 상승이 불가피하다. 보고서는 탈원전·탈석탄 시나리오 구현 시 발전비용은 2016년보다 약 21%(11조6천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앞으로 국제유가가 더 오르면 발전비용 부담은 더욱 커진다. 연구원은 지난해 유가(배럴당 43달러)에서는 발전비용이 21% 증가하지만, 유가 70달러에서는 24.2%, 100달러에서는 28.4%, 150달러에는 30.8% 증가 효과가 발생한다고 봤다. 발전비용이 20% 상승할 경우 물가는 0.46∼1.16% 증가하고, 국내총생산(GDP)은 0.70∼0.93% 감소한다고 추산했다.

전력수급은 유동적이다. 만약 신재생에너지 구성이 태양광과 풍력으로만 구성될 경우 2016년 공급예비율이 6.4%(예비력 5천421MW)까지 하락하면서 수급 불안정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출력 조절이 가능한 경직성 신재생에너지 전원 비중이 높아진다면 불안정성은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LNG나 신재생에너지 사용 증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이다. 탈원전·탈석탄 정책이 시행될 경우 온실가스 배출은 지난해 대비 4천912만t의 감소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에너지 독립성이 강하고 친환경적인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전원 구성을 결정하는 다양한 가치들을 조화롭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특정 전원에 대한 지원 또는 폐쇄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만큼, 신재생에너지의 현실적 보급 속도를 고려하면서 탈원전·탈석탄 정책에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새 에너지 정책은 올해 말 발표 예정인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구체화될 예정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