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16일(이하 현지시각) 87세로 숨진 '독일 통일의 아버지' 헬무트 콜 전 독일 총리의 헬무트 콜의 장례식이 1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유럽의회에서 엄수됐다.
첫 유럽연합장(葬)으로 치러진 장례식에는 독일과 유럽은 물론 세계 각국의 정치 지도자들이 참석해 고인의 업적을 기리며 애도했다.
명예 유럽 시민인 헬무트 콜 전 총리의 첫 '유럽연합장' 아이디어를 낸 장클로드 융커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도날트 투스크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안토니오 타이아니 유럽의회 의장이 상주 격으로 조문객들을 맞았다.
이날 장례식에서는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총리,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등이 추도사를 낭독했다.
1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치러진 헬무트 콜 전 독일 총리 장례식에 참석한 메르켈 독일 총리와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사진=EPA)
콜 전 총리 집권 때 장관으로 발탁된 구 동독 출신인 메르켈 총리는 "콜 총리가 없었다면 나를 포함해 1990년 전까지 베를린 장벽의 뒤편에서 살았던 수백만 명의 삶은 완전히 다른 길을 걸었을 것"이라며 고인의 통일 업적을 기렸다.
메르켈 총리는 이어 콜 전 총리가 자신의 '정치적 멘토'였음을 상기하며 "콜 전 총리가 없었다면 나 자신의 삶도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라며 "나에게 준 기회에 대해 감사하다"고 말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유럽에서 21세기는 그의 손목시계에서 시작됐다"며 "콜 전 총리는 우리에게 우리 자신보다 더 큰 일을 하는 기회를 줬다"고 말했다. 그는 또, "나는 그가 한 사람이 지배하지 않는 세계를 만들기를 원했기 때문에 그를 사랑했다"면서 "그 세계는 협력이 충돌보다 더 좋고, 다양한 집단이 독재자 개인보다 더 좋은 결정을 내리는 그런 세계였다"고 칭송했다.
장클로드 융커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헬무트 콜 전 총리의 장례식에서 유족을 위로하고 있다. (사진=EPA)
고인과 친분이 깊었던 융커 EU 집행위원장은 "콜은 진정한 유럽인이자 친구였다."라며 "유럽은 그에게 힘입은 바 크다"라고 말했다. 나아가 독일의 애국자, 유럽의 애국자였다고도 했다. 그는 별세 소식이 전해진 직후에도 "나의 멘토이자 친구, 유럽의 진정한 정수였던 그가 몹시도 그리울 것 같다."라며 절통한 메시지를 남겼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우리 세대에게 콜 전 총리는 이미 유럽 역사의 한 부분이었다"며 "그런 삶의 경험이 없었다면 우리는 오늘 여기에 있지 않을 것이고, 우리가 지금 하는 대담하고, 용기 있고, 역사적인 행동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정부 조문 사절로 헬무트 콜 전 총리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달 30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하고 있다.
우리나라 조문 사절로 장례식에 참석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장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 등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콜 전 총리에 대한 조의와 추모의 뜻을 전달한 뒤 조문록에 "독일 통일의 아버지이자 유럽통합의 설계자인 콜 전 총리가 한반도의 평화통일과 동북아의 화해를 위한 영원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는 추모글을 남겼다.
성직자들이 뒤따르고 있는 가운데 독일 경찰과 군 관계자들이 성직자들이 헬무트 콜 전 총리의 관을 성당으로 옮기고 있다. (사진=AP)
유럽의회에서 영결식이 끝난 뒤, 관은 배에 실려 라인 강을 따라 슈파이어 지역으로 이동했다. 고인의 '고향 성당'으로도 불린 그곳 슈파이어 대성당에서 메르켈 총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장례 미사가 열린 데 이어 사적인 추모 모임이 끝나고서 초대총리 콘라트 아데나워의 이름을 딴 공원묘지에 안장됐다.
콜은 1982년부터 독일 역사상 최장인 16년간 총리를 지내며 격동의 시기를 보냈고 큰 발자취를 남겼지만, 개인적으로는 가족 불화와 건강 악화로 큰 고통을 받기도 했다.
첫 유럽연합장(葬)으로 치러진 장례식에는 독일과 유럽은 물론 세계 각국의 정치 지도자들이 참석해 고인의 업적을 기리며 애도했다.
명예 유럽 시민인 헬무트 콜 전 총리의 첫 '유럽연합장' 아이디어를 낸 장클로드 융커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도날트 투스크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안토니오 타이아니 유럽의회 의장이 상주 격으로 조문객들을 맞았다.
이날 장례식에서는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총리,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등이 추도사를 낭독했다.

콜 전 총리 집권 때 장관으로 발탁된 구 동독 출신인 메르켈 총리는 "콜 총리가 없었다면 나를 포함해 1990년 전까지 베를린 장벽의 뒤편에서 살았던 수백만 명의 삶은 완전히 다른 길을 걸었을 것"이라며 고인의 통일 업적을 기렸다.
메르켈 총리는 이어 콜 전 총리가 자신의 '정치적 멘토'였음을 상기하며 "콜 전 총리가 없었다면 나 자신의 삶도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라며 "나에게 준 기회에 대해 감사하다"고 말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유럽에서 21세기는 그의 손목시계에서 시작됐다"며 "콜 전 총리는 우리에게 우리 자신보다 더 큰 일을 하는 기회를 줬다"고 말했다. 그는 또, "나는 그가 한 사람이 지배하지 않는 세계를 만들기를 원했기 때문에 그를 사랑했다"면서 "그 세계는 협력이 충돌보다 더 좋고, 다양한 집단이 독재자 개인보다 더 좋은 결정을 내리는 그런 세계였다"고 칭송했다.

고인과 친분이 깊었던 융커 EU 집행위원장은 "콜은 진정한 유럽인이자 친구였다."라며 "유럽은 그에게 힘입은 바 크다"라고 말했다. 나아가 독일의 애국자, 유럽의 애국자였다고도 했다. 그는 별세 소식이 전해진 직후에도 "나의 멘토이자 친구, 유럽의 진정한 정수였던 그가 몹시도 그리울 것 같다."라며 절통한 메시지를 남겼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우리 세대에게 콜 전 총리는 이미 유럽 역사의 한 부분이었다"며 "그런 삶의 경험이 없었다면 우리는 오늘 여기에 있지 않을 것이고, 우리가 지금 하는 대담하고, 용기 있고, 역사적인 행동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조문 사절로 장례식에 참석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장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 등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콜 전 총리에 대한 조의와 추모의 뜻을 전달한 뒤 조문록에 "독일 통일의 아버지이자 유럽통합의 설계자인 콜 전 총리가 한반도의 평화통일과 동북아의 화해를 위한 영원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는 추모글을 남겼다.

유럽의회에서 영결식이 끝난 뒤, 관은 배에 실려 라인 강을 따라 슈파이어 지역으로 이동했다. 고인의 '고향 성당'으로도 불린 그곳 슈파이어 대성당에서 메르켈 총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장례 미사가 열린 데 이어 사적인 추모 모임이 끝나고서 초대총리 콘라트 아데나워의 이름을 딴 공원묘지에 안장됐다.
콜은 1982년부터 독일 역사상 최장인 16년간 총리를 지내며 격동의 시기를 보냈고 큰 발자취를 남겼지만, 개인적으로는 가족 불화와 건강 악화로 큰 고통을 받기도 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독일 통일의 아버지’ 콜 전 독일 총리,영원히 잠들다
-
- 입력 2017-07-02 11:51:35

지난달 16일(이하 현지시각) 87세로 숨진 '독일 통일의 아버지' 헬무트 콜 전 독일 총리의 헬무트 콜의 장례식이 1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유럽의회에서 엄수됐다.
첫 유럽연합장(葬)으로 치러진 장례식에는 독일과 유럽은 물론 세계 각국의 정치 지도자들이 참석해 고인의 업적을 기리며 애도했다.
명예 유럽 시민인 헬무트 콜 전 총리의 첫 '유럽연합장' 아이디어를 낸 장클로드 융커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도날트 투스크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안토니오 타이아니 유럽의회 의장이 상주 격으로 조문객들을 맞았다.
이날 장례식에서는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총리,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등이 추도사를 낭독했다.

콜 전 총리 집권 때 장관으로 발탁된 구 동독 출신인 메르켈 총리는 "콜 총리가 없었다면 나를 포함해 1990년 전까지 베를린 장벽의 뒤편에서 살았던 수백만 명의 삶은 완전히 다른 길을 걸었을 것"이라며 고인의 통일 업적을 기렸다.
메르켈 총리는 이어 콜 전 총리가 자신의 '정치적 멘토'였음을 상기하며 "콜 전 총리가 없었다면 나 자신의 삶도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라며 "나에게 준 기회에 대해 감사하다"고 말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유럽에서 21세기는 그의 손목시계에서 시작됐다"며 "콜 전 총리는 우리에게 우리 자신보다 더 큰 일을 하는 기회를 줬다"고 말했다. 그는 또, "나는 그가 한 사람이 지배하지 않는 세계를 만들기를 원했기 때문에 그를 사랑했다"면서 "그 세계는 협력이 충돌보다 더 좋고, 다양한 집단이 독재자 개인보다 더 좋은 결정을 내리는 그런 세계였다"고 칭송했다.

고인과 친분이 깊었던 융커 EU 집행위원장은 "콜은 진정한 유럽인이자 친구였다."라며 "유럽은 그에게 힘입은 바 크다"라고 말했다. 나아가 독일의 애국자, 유럽의 애국자였다고도 했다. 그는 별세 소식이 전해진 직후에도 "나의 멘토이자 친구, 유럽의 진정한 정수였던 그가 몹시도 그리울 것 같다."라며 절통한 메시지를 남겼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우리 세대에게 콜 전 총리는 이미 유럽 역사의 한 부분이었다"며 "그런 삶의 경험이 없었다면 우리는 오늘 여기에 있지 않을 것이고, 우리가 지금 하는 대담하고, 용기 있고, 역사적인 행동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조문 사절로 장례식에 참석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장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 등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콜 전 총리에 대한 조의와 추모의 뜻을 전달한 뒤 조문록에 "독일 통일의 아버지이자 유럽통합의 설계자인 콜 전 총리가 한반도의 평화통일과 동북아의 화해를 위한 영원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는 추모글을 남겼다.

유럽의회에서 영결식이 끝난 뒤, 관은 배에 실려 라인 강을 따라 슈파이어 지역으로 이동했다. 고인의 '고향 성당'으로도 불린 그곳 슈파이어 대성당에서 메르켈 총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장례 미사가 열린 데 이어 사적인 추모 모임이 끝나고서 초대총리 콘라트 아데나워의 이름을 딴 공원묘지에 안장됐다.
콜은 1982년부터 독일 역사상 최장인 16년간 총리를 지내며 격동의 시기를 보냈고 큰 발자취를 남겼지만, 개인적으로는 가족 불화와 건강 악화로 큰 고통을 받기도 했다.
첫 유럽연합장(葬)으로 치러진 장례식에는 독일과 유럽은 물론 세계 각국의 정치 지도자들이 참석해 고인의 업적을 기리며 애도했다.
명예 유럽 시민인 헬무트 콜 전 총리의 첫 '유럽연합장' 아이디어를 낸 장클로드 융커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도날트 투스크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안토니오 타이아니 유럽의회 의장이 상주 격으로 조문객들을 맞았다.
이날 장례식에서는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총리,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등이 추도사를 낭독했다.

콜 전 총리 집권 때 장관으로 발탁된 구 동독 출신인 메르켈 총리는 "콜 총리가 없었다면 나를 포함해 1990년 전까지 베를린 장벽의 뒤편에서 살았던 수백만 명의 삶은 완전히 다른 길을 걸었을 것"이라며 고인의 통일 업적을 기렸다.
메르켈 총리는 이어 콜 전 총리가 자신의 '정치적 멘토'였음을 상기하며 "콜 전 총리가 없었다면 나 자신의 삶도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라며 "나에게 준 기회에 대해 감사하다"고 말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유럽에서 21세기는 그의 손목시계에서 시작됐다"며 "콜 전 총리는 우리에게 우리 자신보다 더 큰 일을 하는 기회를 줬다"고 말했다. 그는 또, "나는 그가 한 사람이 지배하지 않는 세계를 만들기를 원했기 때문에 그를 사랑했다"면서 "그 세계는 협력이 충돌보다 더 좋고, 다양한 집단이 독재자 개인보다 더 좋은 결정을 내리는 그런 세계였다"고 칭송했다.

고인과 친분이 깊었던 융커 EU 집행위원장은 "콜은 진정한 유럽인이자 친구였다."라며 "유럽은 그에게 힘입은 바 크다"라고 말했다. 나아가 독일의 애국자, 유럽의 애국자였다고도 했다. 그는 별세 소식이 전해진 직후에도 "나의 멘토이자 친구, 유럽의 진정한 정수였던 그가 몹시도 그리울 것 같다."라며 절통한 메시지를 남겼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우리 세대에게 콜 전 총리는 이미 유럽 역사의 한 부분이었다"며 "그런 삶의 경험이 없었다면 우리는 오늘 여기에 있지 않을 것이고, 우리가 지금 하는 대담하고, 용기 있고, 역사적인 행동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조문 사절로 장례식에 참석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장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 등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콜 전 총리에 대한 조의와 추모의 뜻을 전달한 뒤 조문록에 "독일 통일의 아버지이자 유럽통합의 설계자인 콜 전 총리가 한반도의 평화통일과 동북아의 화해를 위한 영원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는 추모글을 남겼다.

유럽의회에서 영결식이 끝난 뒤, 관은 배에 실려 라인 강을 따라 슈파이어 지역으로 이동했다. 고인의 '고향 성당'으로도 불린 그곳 슈파이어 대성당에서 메르켈 총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장례 미사가 열린 데 이어 사적인 추모 모임이 끝나고서 초대총리 콘라트 아데나워의 이름을 딴 공원묘지에 안장됐다.
콜은 1982년부터 독일 역사상 최장인 16년간 총리를 지내며 격동의 시기를 보냈고 큰 발자취를 남겼지만, 개인적으로는 가족 불화와 건강 악화로 큰 고통을 받기도 했다.
-
-
김의철 기자 kimec@kbs.co.kr
김의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