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운의 작가 한원 박석호 재조명 작업 활발

입력 2017.07.12 (15:32) 수정 2017.07.13 (0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딘가 음울하고 어두운 느낌의 단조로운 청색 계열의 모노톤이 화면을 가득 지배하고 있는 한원 박석호 화백의 어부들이라는 작품이다. 고단하고 힘든 어촌의 일상을 그린 이 작품 처럼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서민들의 삶의 애환을 특유의 조형 어법으로 화폭에 담아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박석호 화백의 작품에 대해 국립 현대 미술관장을 지낸 바 있는고 이경성 미술평론가는 "화가 박석호의 작품세계는 사실이라기 보다는 구상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알맞는다. 그것은 객관적인 진실을 존중하되 눈에 비치는 그대로가 아니라 주관적인 해석을 통한 자연의 긍정이기 때문이다." 라고 적었다.



평소 고 박석호 화백은 자신의 작품세계에 대해 생전에 스스로 이렇게 밝힌 바 있다.

"나의 그림은 좀 어두운 편이다. 어두운 항구나 폐선 부두의 선교와 을씨년스러운 마스트들의 윤곽을 즐겨 다룬 화면속에 나의 지성과 감성을 완전하게 쏟아 넣는다는 것은 내 자신의 모든 것이라고 할 만큼중요하다. 그러므로 나의 작업은 자연의 대상을 소재로 빌린다는 것일 뿐 결코 그 자체를 그린다고 말 할 수 없다 그래서 그런지 시간이 가면 갈 수록 작업을 하면 할 수 록 고통을 더 느낀다."

고 한원 박석호화백(1919-1994)의 화업 한평생을 재조명하는 대규모 전시회가 지난 1996년 예술의 전당 미술관에서 대대적으로 열린데 이어 정문규 미술관에서는 올 가을 이번엔 그의 미공개 유작들을 중심으로 한 대형 회고전이 열릴 예정이다.


고 박석호 화백은 1919 년 충북 옥천에서 태어나 4대 독자인 부친 밑에서 가난하기는 했으나 선비적 기풍이 강한 가문의 분위기에서 유년기와 성장기를 보냈다.

홍대에 입학한 이후에는 수화 김환기 이봉상 유영국 남관등 한국미술계의 거목이라 고 할 수 있는선배 화가들과 교류하며 작품세계의 지평을 넓혀 나갔다.

 1961년 홍익대학교 시절 앞줄 왼쪽부터 김환기 한사람 건너 이경성, 김원 둘째줄 왼쪽 부터 이종무 , 김숙진 맨뒤가 고 박석호 화백 1961년 홍익대학교 시절 앞줄 왼쪽부터 김환기 한사람 건너 이경성, 김원 둘째줄 왼쪽 부터 이종무 , 김숙진 맨뒤가 고 박석호 화백

수화 김환기가 뉴욕에서 보내온 편지수화 김환기가 뉴욕에서 보내온 편지

1967년 8월 어느 무더운 뉴욕의 여름날 서울 박석호 화백의 안부를 묻는 편지에는 이제부터 120호 대작을 시작해 보려 한다며 어차피 예술이란 자기의 신앙일 수 밖에 없다고 적는 수화 김환기의 자기 고백이 이채롭다.

1992년 어느날 갑자기 쓰러져 1년 반여의 투병 생활끝에 94년 5월 임종을 맞은 그의 유해는 유언에 따라 북한산 비봉 자락에 뿌려 졌으며 올 가을 그를 회고 하는 작품전에는 그가 남긴 몇 안되는 초기 누드 작품들로 부터 서민들의 고된 삶의 애환이 담긴 한국적 정서가 짙게 베인 작품들까지 또 기다리는 사람들과 희망 등 완결을 보지 못한 그의 유작들이 대거 미술 애호가들의 품으로 돌아올 예정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비운의 작가 한원 박석호 재조명 작업 활발
    • 입력 2017-07-12 15:32:27
    • 수정2017-07-13 09:42:25
    취재K
어딘가 음울하고 어두운 느낌의 단조로운 청색 계열의 모노톤이 화면을 가득 지배하고 있는 한원 박석호 화백의 어부들이라는 작품이다. 고단하고 힘든 어촌의 일상을 그린 이 작품 처럼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서민들의 삶의 애환을 특유의 조형 어법으로 화폭에 담아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박석호 화백의 작품에 대해 국립 현대 미술관장을 지낸 바 있는고 이경성 미술평론가는 "화가 박석호의 작품세계는 사실이라기 보다는 구상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알맞는다. 그것은 객관적인 진실을 존중하되 눈에 비치는 그대로가 아니라 주관적인 해석을 통한 자연의 긍정이기 때문이다." 라고 적었다. 평소 고 박석호 화백은 자신의 작품세계에 대해 생전에 스스로 이렇게 밝힌 바 있다. "나의 그림은 좀 어두운 편이다. 어두운 항구나 폐선 부두의 선교와 을씨년스러운 마스트들의 윤곽을 즐겨 다룬 화면속에 나의 지성과 감성을 완전하게 쏟아 넣는다는 것은 내 자신의 모든 것이라고 할 만큼중요하다. 그러므로 나의 작업은 자연의 대상을 소재로 빌린다는 것일 뿐 결코 그 자체를 그린다고 말 할 수 없다 그래서 그런지 시간이 가면 갈 수록 작업을 하면 할 수 록 고통을 더 느낀다." 고 한원 박석호화백(1919-1994)의 화업 한평생을 재조명하는 대규모 전시회가 지난 1996년 예술의 전당 미술관에서 대대적으로 열린데 이어 정문규 미술관에서는 올 가을 이번엔 그의 미공개 유작들을 중심으로 한 대형 회고전이 열릴 예정이다. 고 박석호 화백은 1919 년 충북 옥천에서 태어나 4대 독자인 부친 밑에서 가난하기는 했으나 선비적 기풍이 강한 가문의 분위기에서 유년기와 성장기를 보냈다. 홍대에 입학한 이후에는 수화 김환기 이봉상 유영국 남관등 한국미술계의 거목이라 고 할 수 있는선배 화가들과 교류하며 작품세계의 지평을 넓혀 나갔다.  1961년 홍익대학교 시절 앞줄 왼쪽부터 김환기 한사람 건너 이경성, 김원 둘째줄 왼쪽 부터 이종무 , 김숙진 맨뒤가 고 박석호 화백 수화 김환기가 뉴욕에서 보내온 편지 1967년 8월 어느 무더운 뉴욕의 여름날 서울 박석호 화백의 안부를 묻는 편지에는 이제부터 120호 대작을 시작해 보려 한다며 어차피 예술이란 자기의 신앙일 수 밖에 없다고 적는 수화 김환기의 자기 고백이 이채롭다. 1992년 어느날 갑자기 쓰러져 1년 반여의 투병 생활끝에 94년 5월 임종을 맞은 그의 유해는 유언에 따라 북한산 비봉 자락에 뿌려 졌으며 올 가을 그를 회고 하는 작품전에는 그가 남긴 몇 안되는 초기 누드 작품들로 부터 서민들의 고된 삶의 애환이 담긴 한국적 정서가 짙게 베인 작품들까지 또 기다리는 사람들과 희망 등 완결을 보지 못한 그의 유작들이 대거 미술 애호가들의 품으로 돌아올 예정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