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걱정·오영훈 “성적 우수자 자사고 쏠림 뚜렷…자사고 폐지해야”
입력 2017.07.18 (15:26)
수정 2017.07.18 (15: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율형사립고(자사고)에 성적과 관계 없이 누구나 지원할 수 있게 된 뒤에도 중학교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몰리는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과 오영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올해 서울 자사고 23곳 입학생의 중학교 내신 성적을 분석한 결과 상위 20% 이내인 학생이 전체 신입생의 38.6%를 차지했다고 18일 밝혔다. 내신성적 상위 50%를 기준으로 하면, 올해 자사고 신입생의 77.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국단위로 학생을 뽑는 자사고인 하나고는 성적 상위 10% 이내 신입생이 전체의 85.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 소재 일반고(204곳)는 신입생 중 중학교 내신 성적 상위 20% 학생 비율이 18.5%, 상위 50% 비율은 50.3%에 그쳤다.
이들은 "자사고는 중학교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독식하는 입시 전문학교로 전락했다"며 "이명박 정부 때 고교 다양화 프로젝트로 도입된 자사고 정책은 실패"라고 주장했다.
하나고를 제외한 서울 소재 자사고들은 2014학년도까지 내신 50% 이내의 학생을 대상으로 추첨으로 신입생을 선발했다. 2015학년도부터는 1단계로 성적 제한 없이 1.5배수 추첨, 2단계 면접으로 선발 방식이 바뀌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과 오영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올해 서울 자사고 23곳 입학생의 중학교 내신 성적을 분석한 결과 상위 20% 이내인 학생이 전체 신입생의 38.6%를 차지했다고 18일 밝혔다. 내신성적 상위 50%를 기준으로 하면, 올해 자사고 신입생의 77.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국단위로 학생을 뽑는 자사고인 하나고는 성적 상위 10% 이내 신입생이 전체의 85.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 소재 일반고(204곳)는 신입생 중 중학교 내신 성적 상위 20% 학생 비율이 18.5%, 상위 50% 비율은 50.3%에 그쳤다.
이들은 "자사고는 중학교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독식하는 입시 전문학교로 전락했다"며 "이명박 정부 때 고교 다양화 프로젝트로 도입된 자사고 정책은 실패"라고 주장했다.
하나고를 제외한 서울 소재 자사고들은 2014학년도까지 내신 50% 이내의 학생을 대상으로 추첨으로 신입생을 선발했다. 2015학년도부터는 1단계로 성적 제한 없이 1.5배수 추첨, 2단계 면접으로 선발 방식이 바뀌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교육걱정·오영훈 “성적 우수자 자사고 쏠림 뚜렷…자사고 폐지해야”
-
- 입력 2017-07-18 15:26:40
- 수정2017-07-18 15:35:58

자율형사립고(자사고)에 성적과 관계 없이 누구나 지원할 수 있게 된 뒤에도 중학교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몰리는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과 오영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올해 서울 자사고 23곳 입학생의 중학교 내신 성적을 분석한 결과 상위 20% 이내인 학생이 전체 신입생의 38.6%를 차지했다고 18일 밝혔다. 내신성적 상위 50%를 기준으로 하면, 올해 자사고 신입생의 77.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국단위로 학생을 뽑는 자사고인 하나고는 성적 상위 10% 이내 신입생이 전체의 85.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 소재 일반고(204곳)는 신입생 중 중학교 내신 성적 상위 20% 학생 비율이 18.5%, 상위 50% 비율은 50.3%에 그쳤다.
이들은 "자사고는 중학교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독식하는 입시 전문학교로 전락했다"며 "이명박 정부 때 고교 다양화 프로젝트로 도입된 자사고 정책은 실패"라고 주장했다.
하나고를 제외한 서울 소재 자사고들은 2014학년도까지 내신 50% 이내의 학생을 대상으로 추첨으로 신입생을 선발했다. 2015학년도부터는 1단계로 성적 제한 없이 1.5배수 추첨, 2단계 면접으로 선발 방식이 바뀌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과 오영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올해 서울 자사고 23곳 입학생의 중학교 내신 성적을 분석한 결과 상위 20% 이내인 학생이 전체 신입생의 38.6%를 차지했다고 18일 밝혔다. 내신성적 상위 50%를 기준으로 하면, 올해 자사고 신입생의 77.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국단위로 학생을 뽑는 자사고인 하나고는 성적 상위 10% 이내 신입생이 전체의 85.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 소재 일반고(204곳)는 신입생 중 중학교 내신 성적 상위 20% 학생 비율이 18.5%, 상위 50% 비율은 50.3%에 그쳤다.
이들은 "자사고는 중학교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독식하는 입시 전문학교로 전락했다"며 "이명박 정부 때 고교 다양화 프로젝트로 도입된 자사고 정책은 실패"라고 주장했다.
하나고를 제외한 서울 소재 자사고들은 2014학년도까지 내신 50% 이내의 학생을 대상으로 추첨으로 신입생을 선발했다. 2015학년도부터는 1단계로 성적 제한 없이 1.5배수 추첨, 2단계 면접으로 선발 방식이 바뀌었다.
-
-
윤진 기자 jin@kbs.co.kr
윤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