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동남아 성장세…수출전략 수정 필요”

입력 2017.07.23 (14:19) 수정 2017.07.23 (14: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국과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4개국이 20년 전 외환위기를 잘 극복한 데 이어 앞으로 내수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3일 발간한 '해외경제 포커스'에 실린 '아시아 외환위기 20년: 동남아 외환위기 경험국들의 경제 안정화 성과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 4개국은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충격에서 벗어나 안정 기조를 회복했다.

외환위기 진원지였던 이들 4개국은 20년이 지난 지금은 세계 경제에 견주어 양호한 성장 흐름을 보이고 있다. 4개국 성장률은 1998년 -9.5%에서 2009∼2016년에는 4.8%로 올라섰다. 이 기간 선진국은 2.6%에서 1.21%로 오히려 떨어졌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수출 전략도 이를 토대로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중국 대체 자본재 수출시장으로서 잠재력에 주목해야 한다고 봤다. 보고서는 또 동남아 4개국이 소비와 투자 등 내수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므로 시장 선점과 투자 확대 등 현지화 전략에 적극 나설 것을 권했다.

이들 국가는 생산가능 인구 대비 부양인구 비율이 현저히 낮은 '인구 보너스 효과'와 중산층 증가 등에 힘입어 국내 소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됐다. 동남아 4개국은 유엔 2015년 기준 중위연령이 29세로 아시아 30세, 미국 38세, 유럽 41세보다 훨씬 젊다.

다만 이들 국가는 수출입은 물론 글로벌 유동성 흐름에 크게 영향받는 소규모 개방경제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선진국 보호무역주의 강화나 유동성 축소 등 대외충격에는 여전히 취약하다. 앞으로 중국 성장전략변화나 감속 등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보고서는 특히 말레이시아와 태국에서 주택 관련 가계부채 억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은행 “동남아 성장세…수출전략 수정 필요”
    • 입력 2017-07-23 14:19:57
    • 수정2017-07-23 14:29:42
    경제
태국과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4개국이 20년 전 외환위기를 잘 극복한 데 이어 앞으로 내수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3일 발간한 '해외경제 포커스'에 실린 '아시아 외환위기 20년: 동남아 외환위기 경험국들의 경제 안정화 성과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 4개국은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충격에서 벗어나 안정 기조를 회복했다.

외환위기 진원지였던 이들 4개국은 20년이 지난 지금은 세계 경제에 견주어 양호한 성장 흐름을 보이고 있다. 4개국 성장률은 1998년 -9.5%에서 2009∼2016년에는 4.8%로 올라섰다. 이 기간 선진국은 2.6%에서 1.21%로 오히려 떨어졌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수출 전략도 이를 토대로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중국 대체 자본재 수출시장으로서 잠재력에 주목해야 한다고 봤다. 보고서는 또 동남아 4개국이 소비와 투자 등 내수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므로 시장 선점과 투자 확대 등 현지화 전략에 적극 나설 것을 권했다.

이들 국가는 생산가능 인구 대비 부양인구 비율이 현저히 낮은 '인구 보너스 효과'와 중산층 증가 등에 힘입어 국내 소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됐다. 동남아 4개국은 유엔 2015년 기준 중위연령이 29세로 아시아 30세, 미국 38세, 유럽 41세보다 훨씬 젊다.

다만 이들 국가는 수출입은 물론 글로벌 유동성 흐름에 크게 영향받는 소규모 개방경제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선진국 보호무역주의 강화나 유동성 축소 등 대외충격에는 여전히 취약하다. 앞으로 중국 성장전략변화나 감속 등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보고서는 특히 말레이시아와 태국에서 주택 관련 가계부채 억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