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숙하지만 너무 몰랐던’ 생리대 독성 논란…위해성 평가 시급

입력 2017.08.22 (16: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익숙하지만 너무 몰랐던’ 생리대 독성 논란…위해성 평가 시급

‘익숙하지만 너무 몰랐던’ 생리대 독성 논란…위해성 평가 시급

경기도 안양에 거주하는 30대 직장인 이 모 씨는 요즘 고민이 깊다. 몸은 건강한데, 몇 달 전부터 뚜렷한 이유 없이 생리가 불규칙해졌기 때문이다.

걱정스러운 마음에 여성 커뮤니티 글을 검색하던 이 씨는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다. 자신이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일회용 생리대 사용자들이 비슷한 걱정을 토로한 것이다. 특히 생리대의 독성 때문에 각종 부작용을 겪고 있다는 글이 많았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안 이 씨는 “생리대의 독성 때문에 조기 폐경이 걱정된다는 글도 봤다. 나도 같은 이유로 몸에 변화가 온 것 같아 께름칙하다”며 “제품을 바꿔볼까 하지만 다른 생리대도 비슷하지 않을까 해서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 씨가 사용하는 생리대는 '깨끗한 나라'의 ‘릴리안’ 제품이다. 팬티라이너도 같은 제품을 쓴다.

포털사이트의 한 여성 커뮤니티에는 릴리안을 사용하고 나서 생리통이나 생리불순이 심해졌다는 등의 불만 사항이 잇달아 올라왔다. 개중에는 해당 제품을 쓰고 난 뒤 난소를 적출했다는 근거 없는 주장까지 게시됐다.

여성 커뮤니티에 게시된 ‘릴리안’ 생리대 관련 글여성 커뮤니티에 게시된 ‘릴리안’ 생리대 관련 글

온라인과 SNS를 통해 릴리안 생리대의 부작용 논란이 확산하자, 제조·판매사인 깨끗한 나라는 정면 돌파에 나섰다. 지난 7월 홈페이지에 생리대 성분을 모두 공개한 데 이어 한국소비자원에 제품 안전성 테스트를 요청한 것이다.

또한, 자사 제품에 대한 안전성 자료를 추가로 공개하고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등 유해물질 28종에 대한 안전성 검증도 의뢰하기로 했다.

깨끗한 나라는 다만 식약처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해당 제품에 대한 환불이나 리콜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발암물질 검출에 확산된 릴리안 생리대 논란

소비자 불만은 지난해부터 확산해 왔다.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 생리대를 사용한 뒤 각종 부작용을 겪었다는 글이 잇달아 올라온 것이다.

깨끗한 나라는 “식약처의 엄격한 기준에 따라 제조 및 관리 중”이라며 진화에 나섰지만, 논란은 쉬이 수그러들지 않았다.

논란에 불을 지핀 건 지난 3월 여성환경연대가 주최한 ‘여성건강을 위한 안전한 월경 용품 토론회’였다. 토론회에서 여성환경연대 의뢰로 실시한 ‘생리대 방출물질 검출시험’ 결과가 발표된 것이다.


당시 연구를 진행한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팀은 국내에서 많이 팔리는 생리대 10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벤젠과 스티렌 같은 발암물질과 생식독성·피부 자극성 물질 등 22종의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당시 행사 현장. 김만구 교수가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여성환경연대 제공)당시 행사 현장. 김만구 교수가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여성환경연대 제공)

더불어 약 200종의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도 방출된 것으로 전해졌다. TVOC 안에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은 대기오염을 야기하는 화학물질로 발암성을 띤다.

김 교수는 이와 관련해 “우리가 숨 쉬는 공간인 다중이용시설 내 관리 기준에 비교하면 수십 배 이상 높은 농도에 장시간 노출되는 셈”이라면서 “생리대와 피부 사이의 공간이 좁은 만큼 더 진한 농도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당시 토론회에선 제품의 이름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후 TVOC가 가장 많이 검출된 제품이 릴리안 생리대와 팬티라이너였던 것으로 밝혀지면서 릴리안 제품이 집중포화를 맞게 됐다.

계속된 논란에 팔 걷어붙인 식약처


릴리안 생리대 부작용 논란이 계속되자 결국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품질검사에 착수한 것이다.

식약처는 어제(21일) “릴리안이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는 만큼 이번 3분기 품질검사 대상에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품질검사는 유통 중인 제품이 관리 기준에 적합한지 아닌지를 가리는 정기적인 검사다. 일부 제품을 무작위로 선정해 분기별로 실시한다. 릴리안은 2015~2016년 검사에도 포함됐다 문제없이 통과됐다. 검사 결과는 9월 말 쯤 나올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식약처는 생리대 전수 조사 요구에 대해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소비자들의 피해 사례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무작정 조사를 할 경우 해당 제품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게 이유다.

여성의 생활필수품…뒤늦게 시작한 안전성 공론화


현행법상 생리대 관련 규제는 폼알데하이드, 색소, 형광물질, 산·알칼리 관련 규정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일회용 생리대에는 흡수체와 인조섬유, 향료, 색소 등 다양한 성분이 들어 있어 유해물질이 여성의 몸에 흡수될 가능성이 있다. 여성의 질은 보통 피부에 비해 흡수성이 높고 외음부는 외부 자극과 유해물질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관련 연구는 진행된 적이 없다.

여성환경연대는 우선 여성용품에 함유된 화학물질 표시부터 정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고금숙 여성환경연대 환경건강팀장은 “생리대는 의약외품으로 분류돼 화장품과 달리 제품성분 공개 의무가 없다”면서 “생리대에도 성분표시제를 도입해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식약처도 대책 마련엔 공감하지만 신중한 입장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지난해 10월부터 시중에 판매되는 생리대의 성분을 분석하고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제품에서 검출되는 화학물질은 위해성을 구분해 평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도 신중한 독성 평가를 강조했다.

김 교수는 어제 한 매체와의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모든 독성이 다 똑같은 건 아니다”라며 “생리대에서 검출된 물질이 실제로 여성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데에는 아주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지금은 기초 자료가 거의 없는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외국에서는 한 2년 전에 시민단체나 이런 데서 조사한 게 있는데 그 자료와 3월에 우리가 실험한 자료를 보면 오히려 한국 일회용 생리대가 외국 생리대보다 오염물질이 적게 나왔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하지만 “우리가 현대사회를 살면서 아주 많은 제품으로부터 화학물질에 노출되고 있다”면서“여성 생리대 같은 경우는 여러 가지 중요한 의미들이 있으니 정부가 우선적으로 기준을 정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생리대 전 성분표시제를 요구하는 Women’s voices for the Earth 의 패러디 동영상 detox the box [생리대 해독작전]


여성환경연대는 식약처와 기업에 일회용 생리대 속 성분에 대한 전면적인 위해성 검토와 건강 영향 조사, 효과적인 관리방안 구축을 촉구하고 있다.

고금숙 환경영향팀장은 “생리대는 여성이 약 40년 동안 1만 개 이상을 사용하는 생활필수품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그 안전성이나 여성 생식 건강에 미치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며 “이제부터라도 관련 연구를 통해 적절한 관리규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정책위의장이 "생리대와 마스크에 대해서도 모든 성분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전(全)성분 표시제'를 추진하겠다"고 말해 눈길을 끈다.

김 의장은 오늘(22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이 같이 밝히고 "100대 국정 과제 중 57번이 생활안전 강화"라면서 "민주당이 독성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을 새 정부 국정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익숙하지만 너무 몰랐던’ 생리대 독성 논란…위해성 평가 시급
    • 입력 2017-08-22 16:53:50
    취재K
경기도 안양에 거주하는 30대 직장인 이 모 씨는 요즘 고민이 깊다. 몸은 건강한데, 몇 달 전부터 뚜렷한 이유 없이 생리가 불규칙해졌기 때문이다.

걱정스러운 마음에 여성 커뮤니티 글을 검색하던 이 씨는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다. 자신이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일회용 생리대 사용자들이 비슷한 걱정을 토로한 것이다. 특히 생리대의 독성 때문에 각종 부작용을 겪고 있다는 글이 많았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안 이 씨는 “생리대의 독성 때문에 조기 폐경이 걱정된다는 글도 봤다. 나도 같은 이유로 몸에 변화가 온 것 같아 께름칙하다”며 “제품을 바꿔볼까 하지만 다른 생리대도 비슷하지 않을까 해서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 씨가 사용하는 생리대는 '깨끗한 나라'의 ‘릴리안’ 제품이다. 팬티라이너도 같은 제품을 쓴다.

포털사이트의 한 여성 커뮤니티에는 릴리안을 사용하고 나서 생리통이나 생리불순이 심해졌다는 등의 불만 사항이 잇달아 올라왔다. 개중에는 해당 제품을 쓰고 난 뒤 난소를 적출했다는 근거 없는 주장까지 게시됐다.

여성 커뮤니티에 게시된 ‘릴리안’ 생리대 관련 글
온라인과 SNS를 통해 릴리안 생리대의 부작용 논란이 확산하자, 제조·판매사인 깨끗한 나라는 정면 돌파에 나섰다. 지난 7월 홈페이지에 생리대 성분을 모두 공개한 데 이어 한국소비자원에 제품 안전성 테스트를 요청한 것이다.

또한, 자사 제품에 대한 안전성 자료를 추가로 공개하고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등 유해물질 28종에 대한 안전성 검증도 의뢰하기로 했다.

깨끗한 나라는 다만 식약처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해당 제품에 대한 환불이나 리콜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발암물질 검출에 확산된 릴리안 생리대 논란

소비자 불만은 지난해부터 확산해 왔다.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 생리대를 사용한 뒤 각종 부작용을 겪었다는 글이 잇달아 올라온 것이다.

깨끗한 나라는 “식약처의 엄격한 기준에 따라 제조 및 관리 중”이라며 진화에 나섰지만, 논란은 쉬이 수그러들지 않았다.

논란에 불을 지핀 건 지난 3월 여성환경연대가 주최한 ‘여성건강을 위한 안전한 월경 용품 토론회’였다. 토론회에서 여성환경연대 의뢰로 실시한 ‘생리대 방출물질 검출시험’ 결과가 발표된 것이다.


당시 연구를 진행한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팀은 국내에서 많이 팔리는 생리대 10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벤젠과 스티렌 같은 발암물질과 생식독성·피부 자극성 물질 등 22종의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당시 행사 현장. 김만구 교수가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여성환경연대 제공)
더불어 약 200종의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도 방출된 것으로 전해졌다. TVOC 안에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은 대기오염을 야기하는 화학물질로 발암성을 띤다.

김 교수는 이와 관련해 “우리가 숨 쉬는 공간인 다중이용시설 내 관리 기준에 비교하면 수십 배 이상 높은 농도에 장시간 노출되는 셈”이라면서 “생리대와 피부 사이의 공간이 좁은 만큼 더 진한 농도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당시 토론회에선 제품의 이름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후 TVOC가 가장 많이 검출된 제품이 릴리안 생리대와 팬티라이너였던 것으로 밝혀지면서 릴리안 제품이 집중포화를 맞게 됐다.

계속된 논란에 팔 걷어붙인 식약처


릴리안 생리대 부작용 논란이 계속되자 결국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품질검사에 착수한 것이다.

식약처는 어제(21일) “릴리안이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는 만큼 이번 3분기 품질검사 대상에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품질검사는 유통 중인 제품이 관리 기준에 적합한지 아닌지를 가리는 정기적인 검사다. 일부 제품을 무작위로 선정해 분기별로 실시한다. 릴리안은 2015~2016년 검사에도 포함됐다 문제없이 통과됐다. 검사 결과는 9월 말 쯤 나올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식약처는 생리대 전수 조사 요구에 대해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소비자들의 피해 사례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무작정 조사를 할 경우 해당 제품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게 이유다.

여성의 생활필수품…뒤늦게 시작한 안전성 공론화


현행법상 생리대 관련 규제는 폼알데하이드, 색소, 형광물질, 산·알칼리 관련 규정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일회용 생리대에는 흡수체와 인조섬유, 향료, 색소 등 다양한 성분이 들어 있어 유해물질이 여성의 몸에 흡수될 가능성이 있다. 여성의 질은 보통 피부에 비해 흡수성이 높고 외음부는 외부 자극과 유해물질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관련 연구는 진행된 적이 없다.

여성환경연대는 우선 여성용품에 함유된 화학물질 표시부터 정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고금숙 여성환경연대 환경건강팀장은 “생리대는 의약외품으로 분류돼 화장품과 달리 제품성분 공개 의무가 없다”면서 “생리대에도 성분표시제를 도입해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식약처도 대책 마련엔 공감하지만 신중한 입장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지난해 10월부터 시중에 판매되는 생리대의 성분을 분석하고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제품에서 검출되는 화학물질은 위해성을 구분해 평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도 신중한 독성 평가를 강조했다.

김 교수는 어제 한 매체와의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모든 독성이 다 똑같은 건 아니다”라며 “생리대에서 검출된 물질이 실제로 여성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데에는 아주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지금은 기초 자료가 거의 없는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외국에서는 한 2년 전에 시민단체나 이런 데서 조사한 게 있는데 그 자료와 3월에 우리가 실험한 자료를 보면 오히려 한국 일회용 생리대가 외국 생리대보다 오염물질이 적게 나왔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하지만 “우리가 현대사회를 살면서 아주 많은 제품으로부터 화학물질에 노출되고 있다”면서“여성 생리대 같은 경우는 여러 가지 중요한 의미들이 있으니 정부가 우선적으로 기준을 정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생리대 전 성분표시제를 요구하는 Women’s voices for the Earth 의 패러디 동영상 detox the box [생리대 해독작전]


여성환경연대는 식약처와 기업에 일회용 생리대 속 성분에 대한 전면적인 위해성 검토와 건강 영향 조사, 효과적인 관리방안 구축을 촉구하고 있다.

고금숙 환경영향팀장은 “생리대는 여성이 약 40년 동안 1만 개 이상을 사용하는 생활필수품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그 안전성이나 여성 생식 건강에 미치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며 “이제부터라도 관련 연구를 통해 적절한 관리규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정책위의장이 "생리대와 마스크에 대해서도 모든 성분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전(全)성분 표시제'를 추진하겠다"고 말해 눈길을 끈다.

김 의장은 오늘(22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이 같이 밝히고 "100대 국정 과제 중 57번이 생활안전 강화"라면서 "민주당이 독성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을 새 정부 국정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