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댓글 부대 운영비 분석…“영수증 수십억 원대”

입력 2017.09.11 (06:20) 수정 2017.09.11 (06: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인터넷 여론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댓글 부대 관련 윗선 개입 여부 수사와 함께 국정원 예산 규모를 체화하고 있습니다.

수사 결과에 따라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 관련자들에게 횡령과 배임 등의 혐의를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이석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검찰이 국정원의 댓글 부대 운영비 증거자료를 확보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국정원 담당 직원들이 댓글 부대 팀장들에게 돈을 건네면서 받은 일종의 수령증입니다.

그 규모는 국정원 적폐청산TF가 1차로 수사의뢰한 팀장 30명의 수령증 자료 3~4백 장입니다.

지난 9일 검찰이 넘겨받은 자료엔 모두 영수증이라고 적혀있고 댓글 부대 '사이버외곽팀'의 팀장들이 받은 운영비 내역이 자세히 기록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영수증에 적힌 금액은 모두 합하면 수십억 원 대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담 수사팀은 2009년부터 2012년 사이 국정원 담당 요원들이 한 달에 한 번 정도 외곽팀장들을 만나 현금을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적에 따라 매달 다른 금액을 받기 때문에 팀장들은 돈을 받을 때마다 자필 서명을 한 영수증을 건넸습니다.

수사팀은 영수증에 적힌 금액 등을 토대로 외곽팀 운영비 규모를 구체화할 방침입니다.

앞서 국정원 개혁위원회 산하 적폐청산 TF는 2012년 한 해에만 사이버외곽팀에 들어간 국정원 자금이 30억 원 정도였다고 밝혔습니다.

최대 30여 개 팀이 2009년 5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활동한 기준으로 계산하면 운영비는 100억 원 대에 이른다는 얘기입니다.

전담 수사팀은 수사 결과에 따라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에게 횡령과 배임, 직권남용 등 혐의로 추가 처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석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검찰, 댓글 부대 운영비 분석…“영수증 수십억 원대”
    • 입력 2017-09-11 06:23:45
    • 수정2017-09-11 06:26:40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인터넷 여론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댓글 부대 관련 윗선 개입 여부 수사와 함께 국정원 예산 규모를 체화하고 있습니다.

수사 결과에 따라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 관련자들에게 횡령과 배임 등의 혐의를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이석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검찰이 국정원의 댓글 부대 운영비 증거자료를 확보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국정원 담당 직원들이 댓글 부대 팀장들에게 돈을 건네면서 받은 일종의 수령증입니다.

그 규모는 국정원 적폐청산TF가 1차로 수사의뢰한 팀장 30명의 수령증 자료 3~4백 장입니다.

지난 9일 검찰이 넘겨받은 자료엔 모두 영수증이라고 적혀있고 댓글 부대 '사이버외곽팀'의 팀장들이 받은 운영비 내역이 자세히 기록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영수증에 적힌 금액은 모두 합하면 수십억 원 대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담 수사팀은 2009년부터 2012년 사이 국정원 담당 요원들이 한 달에 한 번 정도 외곽팀장들을 만나 현금을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적에 따라 매달 다른 금액을 받기 때문에 팀장들은 돈을 받을 때마다 자필 서명을 한 영수증을 건넸습니다.

수사팀은 영수증에 적힌 금액 등을 토대로 외곽팀 운영비 규모를 구체화할 방침입니다.

앞서 국정원 개혁위원회 산하 적폐청산 TF는 2012년 한 해에만 사이버외곽팀에 들어간 국정원 자금이 30억 원 정도였다고 밝혔습니다.

최대 30여 개 팀이 2009년 5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활동한 기준으로 계산하면 운영비는 100억 원 대에 이른다는 얘기입니다.

전담 수사팀은 수사 결과에 따라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에게 횡령과 배임, 직권남용 등 혐의로 추가 처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석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