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갈 길 먼 장애인 고용…의무 고용 위반 ‘수두룩’

입력 2017.11.09 (21:15) 수정 2017.11.09 (21: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 해 우리나라의 장애인은 등록 기준 251만여 명으로 전체 인구의 4.9%인데요.

장애인의 고용률은 36%로 전체 인구 평균 61%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입니다.

때문에 정부는 공공부문은 3% 이상, 기업은 2.7% 이상 의무적으로 장애인을 고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입법기관인 국회마저 이 기준을 지키지 않고 있습니다.

전체 직원 4,063명 가운데 장애인 근로자는 72명으로 1.77%에 불과합니다.

국회를 비롯해 장애인 고용이 눈에 띄게 낮은 공공부문과 기업 539곳의 명단을 정부가 공개했습니다.

박정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어울려 일하는 중소기업입니다.

컴퓨터를 조립 생산하는 이 업체의 생산직 직원 50여 명 가운데 30명이 장애인입니다.

<인터뷰> 최성숙(청각장애인) : "제가 장애란 이유로 어려움이 많을 줄 알았는데 막상 해 보니까 도움이 되고…"

<인터뷰> 이학민(청각장애인) : "장애에 대한 편견이나 인식같은 게 없이 같이 어울려서 일을 하게 되니까 마음이 편하고…"

이 업체는 꾸준히 장애인을 고용해 5년 전부터 장애인 표준사업장으로 지정됐습니다.

<인터뷰> 박치영(레드스톤 대표) : "비장애인에 비해 업무 습득하는 시간은 다소 걸리지만 업무 충성도도 상당히 높고 이직률도 낮기 때문에 저희 입장에선 채용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장애인에 대한 편견의 벽은 여전히 높은 상황입니다.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인 50인 이상 사업장 2만 8천여 곳 가운데 52%가 의무 고용률을 위반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회와 서울 부산 인천 등 8개 교육청은 장애인 의무고용률의 60%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대기업 5백여 곳은 장애인 직원이 의무고용률의 50%를 밑돌았습니다.

장애인 의무 고용 제도는 장애인에게 괜찮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가장 큰 버팀목입니다.

기업에 다소 부담이 된다 하더라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절실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정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갈 길 먼 장애인 고용…의무 고용 위반 ‘수두룩’
    • 입력 2017-11-09 21:16:21
    • 수정2017-11-09 21:47:09
    뉴스 9
<앵커 멘트>

지난 해 우리나라의 장애인은 등록 기준 251만여 명으로 전체 인구의 4.9%인데요.

장애인의 고용률은 36%로 전체 인구 평균 61%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입니다.

때문에 정부는 공공부문은 3% 이상, 기업은 2.7% 이상 의무적으로 장애인을 고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입법기관인 국회마저 이 기준을 지키지 않고 있습니다.

전체 직원 4,063명 가운데 장애인 근로자는 72명으로 1.77%에 불과합니다.

국회를 비롯해 장애인 고용이 눈에 띄게 낮은 공공부문과 기업 539곳의 명단을 정부가 공개했습니다.

박정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어울려 일하는 중소기업입니다.

컴퓨터를 조립 생산하는 이 업체의 생산직 직원 50여 명 가운데 30명이 장애인입니다.

<인터뷰> 최성숙(청각장애인) : "제가 장애란 이유로 어려움이 많을 줄 알았는데 막상 해 보니까 도움이 되고…"

<인터뷰> 이학민(청각장애인) : "장애에 대한 편견이나 인식같은 게 없이 같이 어울려서 일을 하게 되니까 마음이 편하고…"

이 업체는 꾸준히 장애인을 고용해 5년 전부터 장애인 표준사업장으로 지정됐습니다.

<인터뷰> 박치영(레드스톤 대표) : "비장애인에 비해 업무 습득하는 시간은 다소 걸리지만 업무 충성도도 상당히 높고 이직률도 낮기 때문에 저희 입장에선 채용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장애인에 대한 편견의 벽은 여전히 높은 상황입니다.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인 50인 이상 사업장 2만 8천여 곳 가운데 52%가 의무 고용률을 위반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회와 서울 부산 인천 등 8개 교육청은 장애인 의무고용률의 60%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대기업 5백여 곳은 장애인 직원이 의무고용률의 50%를 밑돌았습니다.

장애인 의무 고용 제도는 장애인에게 괜찮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가장 큰 버팀목입니다.

기업에 다소 부담이 된다 하더라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절실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정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