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035년까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소 짓는다
입력 2017.12.27 (18:12)
수정 2017.12.27 (18: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2035년까지 '꿈의 에너지'로 불리는 핵융합 발전소를 지을 계획이며 중국 대도시들이 발전소 유치를 위해 열띤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7일 보도했다.
핵융합 발전소는 수소 가스를 태양의 내부 온도보다 10배나 높은 1억℃ 이상의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로 만들어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헬륨으로 융합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막대한 에너지를 이용한다.
태양이 타오르는 원리인 핵융합은 그 원료인 수소를 지구 상에서 쉽게 얻을 수 있고, 방사선 발생이 없어 '꿈의 에너지'로 불린다.
핵융합 발전소를 유치할 경우 중국 전역은 물론 세계 각국에서 과학 인재를 끌어들일 수 있고, 세계 최고의 혁신도시라는 명성을 얻을 수 있어 중국 대도시들이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재 핵융합 발전소 유치 경쟁에는 상하이, 허페이, 청두 등 3개 도시가 뛰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경제 중심지인 상하이는 바닷가에 있어 핵융합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열을 냉각할 물 자원이 풍부하게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중국 최고의 여러 연구소와 대학이 포진했다는 것도 강점이다.
안후이성의 성도인 허페이는 중국과학원 플라스마 물리연구소 핵융합 실험로가 자리 잡고 있어 기존 연구 성과를 최대한 살릴 수 있다고 내세운다.
중국 핵무기 설계와 제조의 본산인 쓰촨성의 성도인 청두는 중국 군부와 원자력 산업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다.
2035년까지 건설한다는 목표를 가진 중국의 핵융합 발전소는 프랑스 남부에 짓고 있는 국제핵융합실험로를 기본 모델로 해서 더 발전된 형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핵융합 발전소 건립에는 많은 난관이 기다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럽연합(EU) 회원국은 물론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이 참여한 프랑스 프로젝트는 애초 계획에 따르면 10년 전에 이미 끝났어야 했으나, 지금은 2020년대 중반에 끝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미국의 핵융합 연구에 참여했던 베이징대 레이옌 교수는 "핵융합 프로젝트는 자칫 잘못하면 '돈 먹는 하마'가 될 수 있다"며 "핵융합 과정에서 유출될 중성자가 주변 환경에 미칠 치명적인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핵융합 발전소는 수소 가스를 태양의 내부 온도보다 10배나 높은 1억℃ 이상의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로 만들어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헬륨으로 융합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막대한 에너지를 이용한다.
태양이 타오르는 원리인 핵융합은 그 원료인 수소를 지구 상에서 쉽게 얻을 수 있고, 방사선 발생이 없어 '꿈의 에너지'로 불린다.
핵융합 발전소를 유치할 경우 중국 전역은 물론 세계 각국에서 과학 인재를 끌어들일 수 있고, 세계 최고의 혁신도시라는 명성을 얻을 수 있어 중국 대도시들이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재 핵융합 발전소 유치 경쟁에는 상하이, 허페이, 청두 등 3개 도시가 뛰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경제 중심지인 상하이는 바닷가에 있어 핵융합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열을 냉각할 물 자원이 풍부하게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중국 최고의 여러 연구소와 대학이 포진했다는 것도 강점이다.
안후이성의 성도인 허페이는 중국과학원 플라스마 물리연구소 핵융합 실험로가 자리 잡고 있어 기존 연구 성과를 최대한 살릴 수 있다고 내세운다.
중국 핵무기 설계와 제조의 본산인 쓰촨성의 성도인 청두는 중국 군부와 원자력 산업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다.
2035년까지 건설한다는 목표를 가진 중국의 핵융합 발전소는 프랑스 남부에 짓고 있는 국제핵융합실험로를 기본 모델로 해서 더 발전된 형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핵융합 발전소 건립에는 많은 난관이 기다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럽연합(EU) 회원국은 물론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이 참여한 프랑스 프로젝트는 애초 계획에 따르면 10년 전에 이미 끝났어야 했으나, 지금은 2020년대 중반에 끝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미국의 핵융합 연구에 참여했던 베이징대 레이옌 교수는 "핵융합 프로젝트는 자칫 잘못하면 '돈 먹는 하마'가 될 수 있다"며 "핵융합 과정에서 유출될 중성자가 주변 환경에 미칠 치명적인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2035년까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소 짓는다
-
- 입력 2017-12-27 18:12:22
- 수정2017-12-27 18:29:48

중국이 2035년까지 '꿈의 에너지'로 불리는 핵융합 발전소를 지을 계획이며 중국 대도시들이 발전소 유치를 위해 열띤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7일 보도했다.
핵융합 발전소는 수소 가스를 태양의 내부 온도보다 10배나 높은 1억℃ 이상의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로 만들어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헬륨으로 융합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막대한 에너지를 이용한다.
태양이 타오르는 원리인 핵융합은 그 원료인 수소를 지구 상에서 쉽게 얻을 수 있고, 방사선 발생이 없어 '꿈의 에너지'로 불린다.
핵융합 발전소를 유치할 경우 중국 전역은 물론 세계 각국에서 과학 인재를 끌어들일 수 있고, 세계 최고의 혁신도시라는 명성을 얻을 수 있어 중국 대도시들이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재 핵융합 발전소 유치 경쟁에는 상하이, 허페이, 청두 등 3개 도시가 뛰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경제 중심지인 상하이는 바닷가에 있어 핵융합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열을 냉각할 물 자원이 풍부하게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중국 최고의 여러 연구소와 대학이 포진했다는 것도 강점이다.
안후이성의 성도인 허페이는 중국과학원 플라스마 물리연구소 핵융합 실험로가 자리 잡고 있어 기존 연구 성과를 최대한 살릴 수 있다고 내세운다.
중국 핵무기 설계와 제조의 본산인 쓰촨성의 성도인 청두는 중국 군부와 원자력 산업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다.
2035년까지 건설한다는 목표를 가진 중국의 핵융합 발전소는 프랑스 남부에 짓고 있는 국제핵융합실험로를 기본 모델로 해서 더 발전된 형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핵융합 발전소 건립에는 많은 난관이 기다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럽연합(EU) 회원국은 물론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이 참여한 프랑스 프로젝트는 애초 계획에 따르면 10년 전에 이미 끝났어야 했으나, 지금은 2020년대 중반에 끝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미국의 핵융합 연구에 참여했던 베이징대 레이옌 교수는 "핵융합 프로젝트는 자칫 잘못하면 '돈 먹는 하마'가 될 수 있다"며 "핵융합 과정에서 유출될 중성자가 주변 환경에 미칠 치명적인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핵융합 발전소는 수소 가스를 태양의 내부 온도보다 10배나 높은 1억℃ 이상의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로 만들어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헬륨으로 융합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막대한 에너지를 이용한다.
태양이 타오르는 원리인 핵융합은 그 원료인 수소를 지구 상에서 쉽게 얻을 수 있고, 방사선 발생이 없어 '꿈의 에너지'로 불린다.
핵융합 발전소를 유치할 경우 중국 전역은 물론 세계 각국에서 과학 인재를 끌어들일 수 있고, 세계 최고의 혁신도시라는 명성을 얻을 수 있어 중국 대도시들이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재 핵융합 발전소 유치 경쟁에는 상하이, 허페이, 청두 등 3개 도시가 뛰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경제 중심지인 상하이는 바닷가에 있어 핵융합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열을 냉각할 물 자원이 풍부하게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중국 최고의 여러 연구소와 대학이 포진했다는 것도 강점이다.
안후이성의 성도인 허페이는 중국과학원 플라스마 물리연구소 핵융합 실험로가 자리 잡고 있어 기존 연구 성과를 최대한 살릴 수 있다고 내세운다.
중국 핵무기 설계와 제조의 본산인 쓰촨성의 성도인 청두는 중국 군부와 원자력 산업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다.
2035년까지 건설한다는 목표를 가진 중국의 핵융합 발전소는 프랑스 남부에 짓고 있는 국제핵융합실험로를 기본 모델로 해서 더 발전된 형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핵융합 발전소 건립에는 많은 난관이 기다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럽연합(EU) 회원국은 물론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이 참여한 프랑스 프로젝트는 애초 계획에 따르면 10년 전에 이미 끝났어야 했으나, 지금은 2020년대 중반에 끝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미국의 핵융합 연구에 참여했던 베이징대 레이옌 교수는 "핵융합 프로젝트는 자칫 잘못하면 '돈 먹는 하마'가 될 수 있다"며 "핵융합 과정에서 유출될 중성자가 주변 환경에 미칠 치명적인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
강민수 기자 mandoo@kbs.co.kr
강민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