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학도병 4,385명 강제동원”…정부보고서 첫 발간

입력 2018.01.22 (12:07) 수정 2018.01.22 (14: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940년대 일본이 '학도지원병'이라는 명목으로 우리나라의 학생과 청년 4천385명을 태평양전쟁에 강제 동원한 구체적인 사실이 정부 보고서를 통해 공개됐다.

행정안전부는 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인 청년의 피해 실태 조사 내용을 담아 정부에서는 처음으로 진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학도병을 다룬 조선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학도병을 다룬 조선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

이번 보고서는 행안부 과거사업무지원단과 고려대가 지난해 10∼12월 함께 진행한 진상조사 결과를 담은 것이다. 학도병 제도 시행 배경, 동원 규모, 부대배치 실태, 생존자 회고록, 일본군 부대 명부 등 학도병 동원 피해 실태를 두루 다뤘다.

동원된 학도병은 1944년 1월 20일 일본군 부대에 입영 후 훈련을 받고 각지에 배치됐다. 절반가량은 일본, 30%가량은 중국 전선, 나머지는 한반도 내에 잔류한 것으로 확인됐다.

행안부는 "이번에 발굴된 자료 중에는 전선 배치 이후 탈출해 광복군 등 소속으로 독립운동을 펼친 이들의 기록도 상당수 포함됐다"며 "앞으로 독립유공자 포상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조사진이 찾은 일본군 명부에는 고 김준엽 선생(전 고려대 총장) 등 목숨을 걸고 일본군을 탈출한 학도병의 사례도 자세하게 담겨 있다.

행안부는 "지금까지 학도병으로 동원된 조선인은 4천385명으로 추정됐을 뿐 구체적인 자료가 없었다"며 "이번 보고서는 피해 실태를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제 학도병 4,385명 강제동원”…정부보고서 첫 발간
    • 입력 2018-01-22 12:07:07
    • 수정2018-01-22 14:14:09
    사회
1940년대 일본이 '학도지원병'이라는 명목으로 우리나라의 학생과 청년 4천385명을 태평양전쟁에 강제 동원한 구체적인 사실이 정부 보고서를 통해 공개됐다.

행정안전부는 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인 청년의 피해 실태 조사 내용을 담아 정부에서는 처음으로 진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학도병을 다룬 조선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
이번 보고서는 행안부 과거사업무지원단과 고려대가 지난해 10∼12월 함께 진행한 진상조사 결과를 담은 것이다. 학도병 제도 시행 배경, 동원 규모, 부대배치 실태, 생존자 회고록, 일본군 부대 명부 등 학도병 동원 피해 실태를 두루 다뤘다.

동원된 학도병은 1944년 1월 20일 일본군 부대에 입영 후 훈련을 받고 각지에 배치됐다. 절반가량은 일본, 30%가량은 중국 전선, 나머지는 한반도 내에 잔류한 것으로 확인됐다.

행안부는 "이번에 발굴된 자료 중에는 전선 배치 이후 탈출해 광복군 등 소속으로 독립운동을 펼친 이들의 기록도 상당수 포함됐다"며 "앞으로 독립유공자 포상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조사진이 찾은 일본군 명부에는 고 김준엽 선생(전 고려대 총장) 등 목숨을 걸고 일본군을 탈출한 학도병의 사례도 자세하게 담겨 있다.

행안부는 "지금까지 학도병으로 동원된 조선인은 4천385명으로 추정됐을 뿐 구체적인 자료가 없었다"며 "이번 보고서는 피해 실태를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