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환자 1주일에 5~6회 운동, 사망위험 33% 낮춰”
입력 2018.03.15 (08:16)
수정 2018.03.15 (08: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가 일주일에 대여섯 번 운동을 꾸준히 하면 사망위험을 33% 낮출 수 있다는 장기 추적결과가 나왔다.
연세의대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공동 연구팀은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50만 5천여 명을 최장 11년간 추적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를 보면 전체 조사 대상자의 당뇨병 유병률은 10.8%(5만 5천439명)였다. 이중 절반에 가까운 46.4%가 1주일 동안 한 번도 운동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나머지 응답자의 운동량은 1주일에 1∼2회 20.5%, 3∼4회 8.1%, 5∼6회 2.4%, 7회 7.7%의 비율이었다.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45만 238명)의 주당 운동 횟수도 이와 비슷했다.
적당한 운동은 당뇨 환자의 사망위험을 낮추는 요인이었다. 주당 5∼6회 운동하는 당뇨병 환자는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당뇨병 환자보다 사망위험이 33% 줄었다.
연구팀은 "운동은 당뇨병 예방뿐 아니라, 이미 당뇨병을 가진 사람에게도 혈당 조절과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면서 "지금 당장 주당 5∼6회 만큼은 아니더라도 주기적인 운동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KMS) 최근호에 발표됐다.
연세의대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공동 연구팀은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50만 5천여 명을 최장 11년간 추적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를 보면 전체 조사 대상자의 당뇨병 유병률은 10.8%(5만 5천439명)였다. 이중 절반에 가까운 46.4%가 1주일 동안 한 번도 운동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나머지 응답자의 운동량은 1주일에 1∼2회 20.5%, 3∼4회 8.1%, 5∼6회 2.4%, 7회 7.7%의 비율이었다.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45만 238명)의 주당 운동 횟수도 이와 비슷했다.
적당한 운동은 당뇨 환자의 사망위험을 낮추는 요인이었다. 주당 5∼6회 운동하는 당뇨병 환자는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당뇨병 환자보다 사망위험이 33% 줄었다.
연구팀은 "운동은 당뇨병 예방뿐 아니라, 이미 당뇨병을 가진 사람에게도 혈당 조절과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면서 "지금 당장 주당 5∼6회 만큼은 아니더라도 주기적인 운동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KMS) 최근호에 발표됐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당뇨환자 1주일에 5~6회 운동, 사망위험 33% 낮춰”
-
- 입력 2018-03-15 08:16:06
- 수정2018-03-15 08:40:52

당뇨병 환자가 일주일에 대여섯 번 운동을 꾸준히 하면 사망위험을 33% 낮출 수 있다는 장기 추적결과가 나왔다.
연세의대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공동 연구팀은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50만 5천여 명을 최장 11년간 추적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를 보면 전체 조사 대상자의 당뇨병 유병률은 10.8%(5만 5천439명)였다. 이중 절반에 가까운 46.4%가 1주일 동안 한 번도 운동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나머지 응답자의 운동량은 1주일에 1∼2회 20.5%, 3∼4회 8.1%, 5∼6회 2.4%, 7회 7.7%의 비율이었다.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45만 238명)의 주당 운동 횟수도 이와 비슷했다.
적당한 운동은 당뇨 환자의 사망위험을 낮추는 요인이었다. 주당 5∼6회 운동하는 당뇨병 환자는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당뇨병 환자보다 사망위험이 33% 줄었다.
연구팀은 "운동은 당뇨병 예방뿐 아니라, 이미 당뇨병을 가진 사람에게도 혈당 조절과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면서 "지금 당장 주당 5∼6회 만큼은 아니더라도 주기적인 운동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KMS) 최근호에 발표됐다.
연세의대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공동 연구팀은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50만 5천여 명을 최장 11년간 추적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를 보면 전체 조사 대상자의 당뇨병 유병률은 10.8%(5만 5천439명)였다. 이중 절반에 가까운 46.4%가 1주일 동안 한 번도 운동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나머지 응답자의 운동량은 1주일에 1∼2회 20.5%, 3∼4회 8.1%, 5∼6회 2.4%, 7회 7.7%의 비율이었다.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45만 238명)의 주당 운동 횟수도 이와 비슷했다.
적당한 운동은 당뇨 환자의 사망위험을 낮추는 요인이었다. 주당 5∼6회 운동하는 당뇨병 환자는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당뇨병 환자보다 사망위험이 33% 줄었다.
연구팀은 "운동은 당뇨병 예방뿐 아니라, 이미 당뇨병을 가진 사람에게도 혈당 조절과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면서 "지금 당장 주당 5∼6회 만큼은 아니더라도 주기적인 운동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KMS) 최근호에 발표됐다.
-
-
박광식 기자 doctor@kbs.co.kr
박광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