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수·음료 페트병, 재활용 쉬운 무색으로 바뀐다

입력 2018.04.27 (09:16) 수정 2018.04.27 (09: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수·음료 재활용이 비교적 쉬운 무색 페트(PET)병 사용량이 늘어날 전망이다. 환경부는 오늘(27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제약·음료업체 등 생산업체 19곳과 재활용이 쉬운 포장재 사용을 위한 자발적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생산업체는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CJ제일제당·롯데제과·롯데칠성음료·애경산업·오비맥주·하이트진로·농심·대상·광동제약·동아제약·코카콜라음료·남양유업·매일유업·빙그레·서울우유·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해태에이치티비 등이다. 이들 업체는 2016년 기준 국내 전체 페트병 출고량 26만t 중 55%를 차지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이들 업체는 무색 페트병만 사용하도록 품목별 포장재의 재질·구조 등을 2019년까지 자율적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다만 맥주처럼 제품의 품질 보장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갈색, 녹색을 사용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이 이행되면 음료와 생수병의 무색 페트병 사용 비율은 2016년 63.5%에서 2019년 85.1%까지 증가할 것으로 환경부는 예상한다. 일본은 재활용이 어려운 유색 페트병의 생산을 금지했다.

페트병 재활용 비용을 증가시키는 종이라벨 사용과 몸체에 직접 하는 인쇄도 제한된다. 또 2020년까지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재질은 재활용이 쉬운 페트병 등의 재질로 대체된다. 알약이나 전자제품 포장재와 투명 지퍼백 등에 사용되는 PVC는 열을 가하면 유해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발생할 수 있는 데다 다른 재질들과 육안으로 구분이 잘되지 않아 재활용이 어려운 품목으로 꼽힌다. 페트병 외에 요구르트병, 샴푸 등 단일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용기류 제품을 생산할 때도, 몸체와 뚜껑을 같은 재질로 만들게 된다.

협약에 참여한 업체들은 이 밖에 품목별 제품 특성을 고려해 재활용이 쉬운 재질·구조 개선 사항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업체들은 올해 6월부터 매년 세부 이행계획을 세우고 환경부와 협의해 협약을 실질적으로 이행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는 향후 관련 업계와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제도 개선으로 생산자의 재활용 책임을 강화할 계획이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수·음료 페트병, 재활용 쉬운 무색으로 바뀐다
    • 입력 2018-04-27 09:16:42
    • 수정2018-04-27 09:19:27
    사회
생수·음료 재활용이 비교적 쉬운 무색 페트(PET)병 사용량이 늘어날 전망이다. 환경부는 오늘(27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제약·음료업체 등 생산업체 19곳과 재활용이 쉬운 포장재 사용을 위한 자발적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생산업체는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CJ제일제당·롯데제과·롯데칠성음료·애경산업·오비맥주·하이트진로·농심·대상·광동제약·동아제약·코카콜라음료·남양유업·매일유업·빙그레·서울우유·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해태에이치티비 등이다. 이들 업체는 2016년 기준 국내 전체 페트병 출고량 26만t 중 55%를 차지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이들 업체는 무색 페트병만 사용하도록 품목별 포장재의 재질·구조 등을 2019년까지 자율적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다만 맥주처럼 제품의 품질 보장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갈색, 녹색을 사용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이 이행되면 음료와 생수병의 무색 페트병 사용 비율은 2016년 63.5%에서 2019년 85.1%까지 증가할 것으로 환경부는 예상한다. 일본은 재활용이 어려운 유색 페트병의 생산을 금지했다.

페트병 재활용 비용을 증가시키는 종이라벨 사용과 몸체에 직접 하는 인쇄도 제한된다. 또 2020년까지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재질은 재활용이 쉬운 페트병 등의 재질로 대체된다. 알약이나 전자제품 포장재와 투명 지퍼백 등에 사용되는 PVC는 열을 가하면 유해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발생할 수 있는 데다 다른 재질들과 육안으로 구분이 잘되지 않아 재활용이 어려운 품목으로 꼽힌다. 페트병 외에 요구르트병, 샴푸 등 단일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용기류 제품을 생산할 때도, 몸체와 뚜껑을 같은 재질로 만들게 된다.

협약에 참여한 업체들은 이 밖에 품목별 제품 특성을 고려해 재활용이 쉬운 재질·구조 개선 사항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업체들은 올해 6월부터 매년 세부 이행계획을 세우고 환경부와 협의해 협약을 실질적으로 이행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는 향후 관련 업계와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제도 개선으로 생산자의 재활용 책임을 강화할 계획이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