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관계자 “비핵화 과거 어떤 합의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

입력 2018.05.12 (13:58) 수정 2018.05.12 (13: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오늘 북한 비핵화 시한과 관련, "남북미 3개국 정상이 조속한 타결에 대한 큰 결의를 갖고 있다는 점으로 볼 때 과거의 어떤 핵 관련 합의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워싱턴DC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합의에 대한 이행 부분도 정상차원에서의 의지가 실린다면 신속하게 진행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 "목적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CVID)"라며 "거기까지 가는 길이 어떻게 될 것이냐는 결국 북미 정상이 합의를 봐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폐기 대상을 핵으로 할지, WMD(대량파괴무기)로 확대할지에 대해선 "북한이 일단 공약한 것은 비핵화인 만큼, 합의를 끌어내려면 공약을 토대로 해야 한다"라고 피력했습니다.

그는 "결국 검증까지 가야 비핵화가 되는 건 분명하다며 지금부터 디테일을 만들어가며 북한과 합의를 이뤄야 한다"면서 방미 중인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이날 면담한 자리에서도 "검증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오갔으며, 철저한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는 데 대해 두 사람이 공감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의 과감한 비핵화 조치 시 번영을 위한 협력 준비가 돼 있다'는 폼페이오 장관의 발언과 관련, 이 관계자는 "'조속한 포괄적 해결'이 이뤄졌을 경우 장기적 미래에 대한 비전 제시이지 당장 구체적 조치를 생각하고 한 말은 아닌 것 같다"고 풀이했습니다.

강 장관은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과도 만나 "주한미군은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 안정의 핵심으로, 이는 동맹의 문제이지 북한과의 테이블에 올릴 문제는 아니다"라고 공감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주한미군 문제는 만약 논의한다면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안보 환경에 큰 변화가 있을 경우 지역 내 안보정세 변화 차원에서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지, 비핵화나 평화 프로세스에서 이야기할 건 아니다"라며 "당장의 과제는 비핵화와 평화체제"라고 밝혔습니다.

남북미회담 추진 시기와 관련, 이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은 이 부분에서 융통성을 갖고 있다"며 "이 부분까지 포함해 오는 22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많은 대화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관계자 “비핵화 과거 어떤 합의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
    • 입력 2018-05-12 13:58:12
    • 수정2018-05-12 13:59:22
    국제
정부 고위관계자는 오늘 북한 비핵화 시한과 관련, "남북미 3개국 정상이 조속한 타결에 대한 큰 결의를 갖고 있다는 점으로 볼 때 과거의 어떤 핵 관련 합의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워싱턴DC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합의에 대한 이행 부분도 정상차원에서의 의지가 실린다면 신속하게 진행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 "목적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CVID)"라며 "거기까지 가는 길이 어떻게 될 것이냐는 결국 북미 정상이 합의를 봐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폐기 대상을 핵으로 할지, WMD(대량파괴무기)로 확대할지에 대해선 "북한이 일단 공약한 것은 비핵화인 만큼, 합의를 끌어내려면 공약을 토대로 해야 한다"라고 피력했습니다.

그는 "결국 검증까지 가야 비핵화가 되는 건 분명하다며 지금부터 디테일을 만들어가며 북한과 합의를 이뤄야 한다"면서 방미 중인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이날 면담한 자리에서도 "검증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오갔으며, 철저한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는 데 대해 두 사람이 공감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의 과감한 비핵화 조치 시 번영을 위한 협력 준비가 돼 있다'는 폼페이오 장관의 발언과 관련, 이 관계자는 "'조속한 포괄적 해결'이 이뤄졌을 경우 장기적 미래에 대한 비전 제시이지 당장 구체적 조치를 생각하고 한 말은 아닌 것 같다"고 풀이했습니다.

강 장관은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과도 만나 "주한미군은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 안정의 핵심으로, 이는 동맹의 문제이지 북한과의 테이블에 올릴 문제는 아니다"라고 공감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주한미군 문제는 만약 논의한다면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안보 환경에 큰 변화가 있을 경우 지역 내 안보정세 변화 차원에서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지, 비핵화나 평화 프로세스에서 이야기할 건 아니다"라며 "당장의 과제는 비핵화와 평화체제"라고 밝혔습니다.

남북미회담 추진 시기와 관련, 이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은 이 부분에서 융통성을 갖고 있다"며 "이 부분까지 포함해 오는 22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많은 대화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