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상가 붕괴 ‘지반침하·땅 꺼짐’이 원인?

입력 2018.06.04 (21:30) 수정 2018.06.05 (09: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3일), 서울 용산 상가건물 붕괴현장에선 오늘(4일) 합동감식 작업이 벌어졌습니다.

주변 공사 현장 때문에 지반이 내려앉았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서울시는 낡은 건축물들이 밀집한 정비구역 300여 군데를 모두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김진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4층 건물이 형체를 몰라볼 정도로 부서졌습니다.

정부 감식단은 일단 폭발이나 화재로 인한 붕괴는 아닌 것으로 봤습니다.

토목 전문가 이수곤 교수와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사고현장 주변 도로가 근처 공사 방향을 따라 갈라져 있습니다.

외부 힘에 저항해 원형을 유지하려 하는 응력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이수곤/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인장균열이라 그러는데, 일반적으로 지반이 움직였을 때, 공사에 의해서 지반이 움직였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땅꺼짐 현상도 발견됩니다.

공사장 발파 작업 등으로 지반이 움직였을 가능성을 의심케 합니다.

[이수곤/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노후 건물에 영향 없도록 지질의 특성에 맞는 발파나 터파기공사, 버팀목공사를 했냐는 게 원인을 밝혀 주는 요소거든요."]

주민들은 사고 이전에도 건물 균열이 잇따랐다고 말합니다.

[김봉진/서울시 용산구 : "두 분이 왔어요 구청에서. 특별한 조치는 없고, A4 용지에다가 '언제까지 공사를 마무리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이렇게 벽에다 붙여 놓고 갔어요."]

서울에서 30년 이상된 소규모 낡은 건축물은 모두 25만 여동, 전체 건축물의 40%에 이르지만, 소형이라는 이유로 안전관리 대상에는 빠져 있습니다.

서울시는 우선 이런 낡은 건물이 밀집해 있는 309곳의 정비 구역 건물을 모두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지지부진한 사업 진행 등으로 붕괴 사고 위험이 높았지만 철거를 할 수 없었던 곳입니다.

이곳 일대 3만여 평도 정비구역으로 지정되고 10년이 넘게 지났습니다. 이런 곳이 우선 점검 대상입니다.

서울에선 지난 2015년까지 7년 동안 모두 천 250건의 건축물 붕괴사고가 발생해 26명이 숨졌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용산 상가 붕괴 ‘지반침하·땅 꺼짐’이 원인?
    • 입력 2018-06-04 21:34:07
    • 수정2018-06-05 09:22:00
    뉴스 9
[앵커] 어제(3일), 서울 용산 상가건물 붕괴현장에선 오늘(4일) 합동감식 작업이 벌어졌습니다. 주변 공사 현장 때문에 지반이 내려앉았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서울시는 낡은 건축물들이 밀집한 정비구역 300여 군데를 모두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김진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4층 건물이 형체를 몰라볼 정도로 부서졌습니다. 정부 감식단은 일단 폭발이나 화재로 인한 붕괴는 아닌 것으로 봤습니다. 토목 전문가 이수곤 교수와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사고현장 주변 도로가 근처 공사 방향을 따라 갈라져 있습니다. 외부 힘에 저항해 원형을 유지하려 하는 응력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이수곤/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인장균열이라 그러는데, 일반적으로 지반이 움직였을 때, 공사에 의해서 지반이 움직였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땅꺼짐 현상도 발견됩니다. 공사장 발파 작업 등으로 지반이 움직였을 가능성을 의심케 합니다. [이수곤/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노후 건물에 영향 없도록 지질의 특성에 맞는 발파나 터파기공사, 버팀목공사를 했냐는 게 원인을 밝혀 주는 요소거든요."] 주민들은 사고 이전에도 건물 균열이 잇따랐다고 말합니다. [김봉진/서울시 용산구 : "두 분이 왔어요 구청에서. 특별한 조치는 없고, A4 용지에다가 '언제까지 공사를 마무리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이렇게 벽에다 붙여 놓고 갔어요."] 서울에서 30년 이상된 소규모 낡은 건축물은 모두 25만 여동, 전체 건축물의 40%에 이르지만, 소형이라는 이유로 안전관리 대상에는 빠져 있습니다. 서울시는 우선 이런 낡은 건물이 밀집해 있는 309곳의 정비 구역 건물을 모두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지지부진한 사업 진행 등으로 붕괴 사고 위험이 높았지만 철거를 할 수 없었던 곳입니다. 이곳 일대 3만여 평도 정비구역으로 지정되고 10년이 넘게 지났습니다. 이런 곳이 우선 점검 대상입니다. 서울에선 지난 2015년까지 7년 동안 모두 천 250건의 건축물 붕괴사고가 발생해 26명이 숨졌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