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가동률 장기하락 원인은 교역 부진과 저금리”
입력 2018.06.10 (11:40)
수정 2018.06.10 (1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제조업의 가동률 저하가 계속된 원인은 글로벌 교역 부진과 저금리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산업연구원이 오늘(10일) 발표한 '제조업 가동률 장기 하락의 원인' 보고서를 보면, 2010년 이후 국내 제조업 가동률이 장기간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최근에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에 근접한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통계청의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올해 1분기 71.0%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제조업 생산도 작년 말과 올해 초 두 분기 연속으로 감소했습니다.
보고서는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교역 부진 등으로 국내 제조업 성장세가 현저히 둔화했지만 설비투자가 저금리 기조 등을 바탕으로 비교적 빠르게 증가한 게 가동률 하락의 한 원인이라고 추정했습니다.
제조업 성장률은 2010년대 들어서 연평균 3.5%에 그쳤지만, 설비투자는 연평균 4.0%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특히 2017년 이후 반도체 주도로 크게 확대됐습니다.
2010년 이전에는 생산 증가율이 생산능력 증가율을 대체로 웃돌았지만 2010년 이후에는 그 관계가 역전됐습니다.
보고서는 생산능력이 더 빠르게 증가한 배경에는 저금리가 있다고 봤습니다. 또 저금리 덕분에 한계기업의 생존이 가능했고, 이들 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연되면서 생산능력이 유지됐다고 분석했습니다.
국내 제조업 중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 비중은 2011년 7.1%에서 2015년 9.3%로 상승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와 화학은 생산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생산능력도 크게 늘어 가동률이 미미하지만 상승했습니다. 섬유, 조선, 자동차 등 생산 부진 업종은 구조조정 지연 등으로 생산능력 감소가 더디게 이뤄지면서 가동률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보고서는 가동률 지표와 실제 가동률의 괴리 등 통계상 한계도 가동률 장기 하락의 원인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산업연구원이 오늘(10일) 발표한 '제조업 가동률 장기 하락의 원인' 보고서를 보면, 2010년 이후 국내 제조업 가동률이 장기간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최근에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에 근접한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통계청의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올해 1분기 71.0%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제조업 생산도 작년 말과 올해 초 두 분기 연속으로 감소했습니다.
보고서는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교역 부진 등으로 국내 제조업 성장세가 현저히 둔화했지만 설비투자가 저금리 기조 등을 바탕으로 비교적 빠르게 증가한 게 가동률 하락의 한 원인이라고 추정했습니다.
제조업 성장률은 2010년대 들어서 연평균 3.5%에 그쳤지만, 설비투자는 연평균 4.0%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특히 2017년 이후 반도체 주도로 크게 확대됐습니다.
2010년 이전에는 생산 증가율이 생산능력 증가율을 대체로 웃돌았지만 2010년 이후에는 그 관계가 역전됐습니다.
보고서는 생산능력이 더 빠르게 증가한 배경에는 저금리가 있다고 봤습니다. 또 저금리 덕분에 한계기업의 생존이 가능했고, 이들 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연되면서 생산능력이 유지됐다고 분석했습니다.
국내 제조업 중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 비중은 2011년 7.1%에서 2015년 9.3%로 상승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와 화학은 생산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생산능력도 크게 늘어 가동률이 미미하지만 상승했습니다. 섬유, 조선, 자동차 등 생산 부진 업종은 구조조정 지연 등으로 생산능력 감소가 더디게 이뤄지면서 가동률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보고서는 가동률 지표와 실제 가동률의 괴리 등 통계상 한계도 가동률 장기 하락의 원인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조업 가동률 장기하락 원인은 교역 부진과 저금리”
-
- 입력 2018-06-10 11:40:29
- 수정2018-06-10 11:53:58
국내 제조업의 가동률 저하가 계속된 원인은 글로벌 교역 부진과 저금리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산업연구원이 오늘(10일) 발표한 '제조업 가동률 장기 하락의 원인' 보고서를 보면, 2010년 이후 국내 제조업 가동률이 장기간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최근에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에 근접한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통계청의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올해 1분기 71.0%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제조업 생산도 작년 말과 올해 초 두 분기 연속으로 감소했습니다.
보고서는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교역 부진 등으로 국내 제조업 성장세가 현저히 둔화했지만 설비투자가 저금리 기조 등을 바탕으로 비교적 빠르게 증가한 게 가동률 하락의 한 원인이라고 추정했습니다.
제조업 성장률은 2010년대 들어서 연평균 3.5%에 그쳤지만, 설비투자는 연평균 4.0%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특히 2017년 이후 반도체 주도로 크게 확대됐습니다.
2010년 이전에는 생산 증가율이 생산능력 증가율을 대체로 웃돌았지만 2010년 이후에는 그 관계가 역전됐습니다.
보고서는 생산능력이 더 빠르게 증가한 배경에는 저금리가 있다고 봤습니다. 또 저금리 덕분에 한계기업의 생존이 가능했고, 이들 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연되면서 생산능력이 유지됐다고 분석했습니다.
국내 제조업 중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 비중은 2011년 7.1%에서 2015년 9.3%로 상승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와 화학은 생산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생산능력도 크게 늘어 가동률이 미미하지만 상승했습니다. 섬유, 조선, 자동차 등 생산 부진 업종은 구조조정 지연 등으로 생산능력 감소가 더디게 이뤄지면서 가동률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보고서는 가동률 지표와 실제 가동률의 괴리 등 통계상 한계도 가동률 장기 하락의 원인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산업연구원이 오늘(10일) 발표한 '제조업 가동률 장기 하락의 원인' 보고서를 보면, 2010년 이후 국내 제조업 가동률이 장기간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최근에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에 근접한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통계청의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올해 1분기 71.0%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제조업 생산도 작년 말과 올해 초 두 분기 연속으로 감소했습니다.
보고서는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교역 부진 등으로 국내 제조업 성장세가 현저히 둔화했지만 설비투자가 저금리 기조 등을 바탕으로 비교적 빠르게 증가한 게 가동률 하락의 한 원인이라고 추정했습니다.
제조업 성장률은 2010년대 들어서 연평균 3.5%에 그쳤지만, 설비투자는 연평균 4.0%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특히 2017년 이후 반도체 주도로 크게 확대됐습니다.
2010년 이전에는 생산 증가율이 생산능력 증가율을 대체로 웃돌았지만 2010년 이후에는 그 관계가 역전됐습니다.
보고서는 생산능력이 더 빠르게 증가한 배경에는 저금리가 있다고 봤습니다. 또 저금리 덕분에 한계기업의 생존이 가능했고, 이들 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연되면서 생산능력이 유지됐다고 분석했습니다.
국내 제조업 중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 비중은 2011년 7.1%에서 2015년 9.3%로 상승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와 화학은 생산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생산능력도 크게 늘어 가동률이 미미하지만 상승했습니다. 섬유, 조선, 자동차 등 생산 부진 업종은 구조조정 지연 등으로 생산능력 감소가 더디게 이뤄지면서 가동률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보고서는 가동률 지표와 실제 가동률의 괴리 등 통계상 한계도 가동률 장기 하락의 원인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