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검찰, ‘노조 분열 공작’ 의혹 고용노동부 압수수색
입력 2018.06.19 (21:17) 수정 2018.06.19 (22:20) 뉴스 9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의 노조 분열 공작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오늘(19일) 고용노동부를 압수수색했습니다.
양대 노총 구도를 깨기 위해 국정원과 노동부가 공조해 제 3의 노총을 설립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도에 강병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1년 11월, 국민노총이 출범했습니다.
국민노총은 생활형 노동 운동을 내세우며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양대 노총 구도를 깨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또 3년 내, 조합원 50만 명을 목표로 세웠습니다.
[정연수/국민노총 초대위원장 : "국민의 85%가 현 노동운동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검찰이 국민노총 설립 과정에 국정원이 개입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원세훈 전 원장 지시로 실행된 노조 분열 공작이란 겁니다.
작전명은 '건전 노총 설립 프로젝트'.
국민노총 설립 과정엔 국정원 예산 1억 5천만 원이 투입됐습니다.
국민노총 출범 이후 실제로 기존 노조에서 3만 명이 탈퇴하기도 했습니다.
[조태욱/KT 노동인권센터 : "(민주노총 탈퇴가) 내부적인 의견수렴절차를 통해서 결정된 사안이 아니라 뭔가 외부로부터 강제돼서 관철하려고 하는 목적이다, 이렇게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또 이 프로젝트 실행 과정에 고용노동부가 깊숙히 개입한 정황도 포착했습니다.
실질적인 기획과 실행은 노동부가 도맡았다는 겁니다.
제3노총 설립을 구상한 사람은 이채필 당시 고용노동부 장관, 이 전 장관의 보좌관 이동걸씨는 국민노총 전신인 '새희망노동연대'에서 활동했습니다.
검찰은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와 이채필 전 장관, 이동걸 전 보좌관의 집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들을 확보했습니다.
또 이 전 장관 등을 출국금지 조치하고 압수물 분석이 마무리되는 대로 관련자들을 소환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강병수입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의 노조 분열 공작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오늘(19일) 고용노동부를 압수수색했습니다.
양대 노총 구도를 깨기 위해 국정원과 노동부가 공조해 제 3의 노총을 설립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도에 강병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1년 11월, 국민노총이 출범했습니다.
국민노총은 생활형 노동 운동을 내세우며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양대 노총 구도를 깨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또 3년 내, 조합원 50만 명을 목표로 세웠습니다.
[정연수/국민노총 초대위원장 : "국민의 85%가 현 노동운동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검찰이 국민노총 설립 과정에 국정원이 개입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원세훈 전 원장 지시로 실행된 노조 분열 공작이란 겁니다.
작전명은 '건전 노총 설립 프로젝트'.
국민노총 설립 과정엔 국정원 예산 1억 5천만 원이 투입됐습니다.
국민노총 출범 이후 실제로 기존 노조에서 3만 명이 탈퇴하기도 했습니다.
[조태욱/KT 노동인권센터 : "(민주노총 탈퇴가) 내부적인 의견수렴절차를 통해서 결정된 사안이 아니라 뭔가 외부로부터 강제돼서 관철하려고 하는 목적이다, 이렇게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또 이 프로젝트 실행 과정에 고용노동부가 깊숙히 개입한 정황도 포착했습니다.
실질적인 기획과 실행은 노동부가 도맡았다는 겁니다.
제3노총 설립을 구상한 사람은 이채필 당시 고용노동부 장관, 이 전 장관의 보좌관 이동걸씨는 국민노총 전신인 '새희망노동연대'에서 활동했습니다.
검찰은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와 이채필 전 장관, 이동걸 전 보좌관의 집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들을 확보했습니다.
또 이 전 장관 등을 출국금지 조치하고 압수물 분석이 마무리되는 대로 관련자들을 소환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강병수입니다.
- 검찰, ‘노조 분열 공작’ 의혹 고용노동부 압수수색
-
- 입력 2018.06.19 (21:17)
- 수정 2018.06.19 (22:20)

[앵커]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의 노조 분열 공작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오늘(19일) 고용노동부를 압수수색했습니다.
양대 노총 구도를 깨기 위해 국정원과 노동부가 공조해 제 3의 노총을 설립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도에 강병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1년 11월, 국민노총이 출범했습니다.
국민노총은 생활형 노동 운동을 내세우며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양대 노총 구도를 깨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또 3년 내, 조합원 50만 명을 목표로 세웠습니다.
[정연수/국민노총 초대위원장 : "국민의 85%가 현 노동운동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검찰이 국민노총 설립 과정에 국정원이 개입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원세훈 전 원장 지시로 실행된 노조 분열 공작이란 겁니다.
작전명은 '건전 노총 설립 프로젝트'.
국민노총 설립 과정엔 국정원 예산 1억 5천만 원이 투입됐습니다.
국민노총 출범 이후 실제로 기존 노조에서 3만 명이 탈퇴하기도 했습니다.
[조태욱/KT 노동인권센터 : "(민주노총 탈퇴가) 내부적인 의견수렴절차를 통해서 결정된 사안이 아니라 뭔가 외부로부터 강제돼서 관철하려고 하는 목적이다, 이렇게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또 이 프로젝트 실행 과정에 고용노동부가 깊숙히 개입한 정황도 포착했습니다.
실질적인 기획과 실행은 노동부가 도맡았다는 겁니다.
제3노총 설립을 구상한 사람은 이채필 당시 고용노동부 장관, 이 전 장관의 보좌관 이동걸씨는 국민노총 전신인 '새희망노동연대'에서 활동했습니다.
검찰은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와 이채필 전 장관, 이동걸 전 보좌관의 집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들을 확보했습니다.
또 이 전 장관 등을 출국금지 조치하고 압수물 분석이 마무리되는 대로 관련자들을 소환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강병수입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의 노조 분열 공작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오늘(19일) 고용노동부를 압수수색했습니다.
양대 노총 구도를 깨기 위해 국정원과 노동부가 공조해 제 3의 노총을 설립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도에 강병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1년 11월, 국민노총이 출범했습니다.
국민노총은 생활형 노동 운동을 내세우며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양대 노총 구도를 깨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또 3년 내, 조합원 50만 명을 목표로 세웠습니다.
[정연수/국민노총 초대위원장 : "국민의 85%가 현 노동운동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검찰이 국민노총 설립 과정에 국정원이 개입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원세훈 전 원장 지시로 실행된 노조 분열 공작이란 겁니다.
작전명은 '건전 노총 설립 프로젝트'.
국민노총 설립 과정엔 국정원 예산 1억 5천만 원이 투입됐습니다.
국민노총 출범 이후 실제로 기존 노조에서 3만 명이 탈퇴하기도 했습니다.
[조태욱/KT 노동인권센터 : "(민주노총 탈퇴가) 내부적인 의견수렴절차를 통해서 결정된 사안이 아니라 뭔가 외부로부터 강제돼서 관철하려고 하는 목적이다, 이렇게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또 이 프로젝트 실행 과정에 고용노동부가 깊숙히 개입한 정황도 포착했습니다.
실질적인 기획과 실행은 노동부가 도맡았다는 겁니다.
제3노총 설립을 구상한 사람은 이채필 당시 고용노동부 장관, 이 전 장관의 보좌관 이동걸씨는 국민노총 전신인 '새희망노동연대'에서 활동했습니다.
검찰은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와 이채필 전 장관, 이동걸 전 보좌관의 집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들을 확보했습니다.
또 이 전 장관 등을 출국금지 조치하고 압수물 분석이 마무리되는 대로 관련자들을 소환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강병수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