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분단 후 남북간 언어 간극 심각…단어 70%만 공유”

입력 2018.08.11 (06:48) 수정 2018.08.11 (07: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남북 간 협력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분단 후 오랜 시간이 지나 생긴 남북한 언어의 이질감이 관계 개선의 장애가 될 수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남북한 사람들이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단어가 70% 정도에 그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뉴욕 김철우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컨테이너'란 단어를 썼을 때 북한 노동자들이 이해를 못하고 물끄러미 쳐다보기만 했다.

로이터 통신은 2016년 개성공단 폐쇄 직전까지 사업을 했던 김용태씨의 말을 인용하며 남북 간 언어의 차이가 심각하다고 전했습니다.

남한 언어에 비해, 북한은 영어 등 외래어를 거의 쓰지 않기 때문입니다.

평창 동계 올림픽 기간 중 남북한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 선수들이 공유한 단어도 '스케이트'와 '퍽' 등 두단어 뿐이었다고 전했습니다.

[박종아/선수/2018년 2월 4일 : "운동 중에 저희도 모르게 나오는 그런 얘기 들이 그 선수들이 알아듣지 못하고 또 그 선수들이 저희 한테 애기 하는걸 알아 듣지 못해서 그런 면에서 조금 어려움이..."]

언어 문화의 이질감도 커져 '살찌다'란 단어를 북한 주민들에게 쓰면 모욕적으로 받아들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농장 동물에게만 사용하는 말이기 때문이란 겁니다.

주식 등 경제 용어나 월세나 연 임대료 등 주거 관련 단어들도 북한에선 사용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남북국어사전을 준비해온 김완서 겨레말큰사전 책임연구원은 수십 년 간의 분열 때문에 남북한 사람들이 단어의 70%만을 상호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남북 간 관계 개선을 위해 여러 분야의 협력이 있어야 하겠지만, 남북한 언어의 간극을 좁히는 것도 중요한 노력 중 하나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로이터 “분단 후 남북간 언어 간극 심각…단어 70%만 공유”
    • 입력 2018-08-11 06:50:16
    • 수정2018-08-11 07:26:07
    뉴스광장 1부
[앵커]

남북 간 협력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분단 후 오랜 시간이 지나 생긴 남북한 언어의 이질감이 관계 개선의 장애가 될 수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남북한 사람들이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단어가 70% 정도에 그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뉴욕 김철우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컨테이너'란 단어를 썼을 때 북한 노동자들이 이해를 못하고 물끄러미 쳐다보기만 했다.

로이터 통신은 2016년 개성공단 폐쇄 직전까지 사업을 했던 김용태씨의 말을 인용하며 남북 간 언어의 차이가 심각하다고 전했습니다.

남한 언어에 비해, 북한은 영어 등 외래어를 거의 쓰지 않기 때문입니다.

평창 동계 올림픽 기간 중 남북한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 선수들이 공유한 단어도 '스케이트'와 '퍽' 등 두단어 뿐이었다고 전했습니다.

[박종아/선수/2018년 2월 4일 : "운동 중에 저희도 모르게 나오는 그런 얘기 들이 그 선수들이 알아듣지 못하고 또 그 선수들이 저희 한테 애기 하는걸 알아 듣지 못해서 그런 면에서 조금 어려움이..."]

언어 문화의 이질감도 커져 '살찌다'란 단어를 북한 주민들에게 쓰면 모욕적으로 받아들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농장 동물에게만 사용하는 말이기 때문이란 겁니다.

주식 등 경제 용어나 월세나 연 임대료 등 주거 관련 단어들도 북한에선 사용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남북국어사전을 준비해온 김완서 겨레말큰사전 책임연구원은 수십 년 간의 분열 때문에 남북한 사람들이 단어의 70%만을 상호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남북 간 관계 개선을 위해 여러 분야의 협력이 있어야 하겠지만, 남북한 언어의 간극을 좁히는 것도 중요한 노력 중 하나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