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등 수도권 부동산 매매 소비심리지수 지난달 반등
입력 2018.08.16 (15:36)
수정 2018.08.16 (15: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락세를 보이던 서울 등 수도권의 부동산 매매시장 소비 심리지수가 지난달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7월 서울시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지수는 전달 121.6에서 130.3으로 8.7포인트 올랐습니다.
지수는 연구원이 전국 2천240개 중개업소와 일반인 6천400가구를 상대로 설문해 산출한 것으로 0∼95는 하강, 95∼114는 보합, 115∼200은 상승 국면으로 구분됩니다.
서울의 심리지수는 상승 국면이 유지됐으나 5월 128.1에서 부동산 세금 관련 이슈가 있었던 6월 121.6으로 내렸다가 7월 반등한 것입니다.
지난달 수도권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전달 110.6에서 지난달 115.1로 4.5포인트 오르면서 보합에서 상승 국면으로 전환됐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매매 심리지수가 지난달 오른 것은 서울시의 여의도·용산 개발 방안 발표 등으로 투자 수요가 급격히 회복됐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지방은 소비심리지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난달 지방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98.8로 전달의 99.5보다 0.7포인트 내려갔습니다.
지방의 심리지수는 2월 109.3에서 3월 108.8, 4월 102.1, 5월 100.4 등으로 5개월 연속 내려가고 있습니다.
지난달 지방 중에서 지수가 가장 낮은 곳은 울산으로, 77.4를 기록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7월 서울시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지수는 전달 121.6에서 130.3으로 8.7포인트 올랐습니다.
지수는 연구원이 전국 2천240개 중개업소와 일반인 6천400가구를 상대로 설문해 산출한 것으로 0∼95는 하강, 95∼114는 보합, 115∼200은 상승 국면으로 구분됩니다.
서울의 심리지수는 상승 국면이 유지됐으나 5월 128.1에서 부동산 세금 관련 이슈가 있었던 6월 121.6으로 내렸다가 7월 반등한 것입니다.
지난달 수도권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전달 110.6에서 지난달 115.1로 4.5포인트 오르면서 보합에서 상승 국면으로 전환됐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매매 심리지수가 지난달 오른 것은 서울시의 여의도·용산 개발 방안 발표 등으로 투자 수요가 급격히 회복됐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지방은 소비심리지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난달 지방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98.8로 전달의 99.5보다 0.7포인트 내려갔습니다.
지방의 심리지수는 2월 109.3에서 3월 108.8, 4월 102.1, 5월 100.4 등으로 5개월 연속 내려가고 있습니다.
지난달 지방 중에서 지수가 가장 낮은 곳은 울산으로, 77.4를 기록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등 수도권 부동산 매매 소비심리지수 지난달 반등
-
- 입력 2018-08-16 15:36:32
- 수정2018-08-16 15:37:11

하락세를 보이던 서울 등 수도권의 부동산 매매시장 소비 심리지수가 지난달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7월 서울시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지수는 전달 121.6에서 130.3으로 8.7포인트 올랐습니다.
지수는 연구원이 전국 2천240개 중개업소와 일반인 6천400가구를 상대로 설문해 산출한 것으로 0∼95는 하강, 95∼114는 보합, 115∼200은 상승 국면으로 구분됩니다.
서울의 심리지수는 상승 국면이 유지됐으나 5월 128.1에서 부동산 세금 관련 이슈가 있었던 6월 121.6으로 내렸다가 7월 반등한 것입니다.
지난달 수도권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전달 110.6에서 지난달 115.1로 4.5포인트 오르면서 보합에서 상승 국면으로 전환됐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매매 심리지수가 지난달 오른 것은 서울시의 여의도·용산 개발 방안 발표 등으로 투자 수요가 급격히 회복됐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지방은 소비심리지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난달 지방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98.8로 전달의 99.5보다 0.7포인트 내려갔습니다.
지방의 심리지수는 2월 109.3에서 3월 108.8, 4월 102.1, 5월 100.4 등으로 5개월 연속 내려가고 있습니다.
지난달 지방 중에서 지수가 가장 낮은 곳은 울산으로, 77.4를 기록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7월 서울시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지수는 전달 121.6에서 130.3으로 8.7포인트 올랐습니다.
지수는 연구원이 전국 2천240개 중개업소와 일반인 6천400가구를 상대로 설문해 산출한 것으로 0∼95는 하강, 95∼114는 보합, 115∼200은 상승 국면으로 구분됩니다.
서울의 심리지수는 상승 국면이 유지됐으나 5월 128.1에서 부동산 세금 관련 이슈가 있었던 6월 121.6으로 내렸다가 7월 반등한 것입니다.
지난달 수도권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전달 110.6에서 지난달 115.1로 4.5포인트 오르면서 보합에서 상승 국면으로 전환됐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매매 심리지수가 지난달 오른 것은 서울시의 여의도·용산 개발 방안 발표 등으로 투자 수요가 급격히 회복됐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지방은 소비심리지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난달 지방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98.8로 전달의 99.5보다 0.7포인트 내려갔습니다.
지방의 심리지수는 2월 109.3에서 3월 108.8, 4월 102.1, 5월 100.4 등으로 5개월 연속 내려가고 있습니다.
지난달 지방 중에서 지수가 가장 낮은 곳은 울산으로, 77.4를 기록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
신선민 기자 freshmin@kbs.co.kr
신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