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시민 전자투표 확대…“블록체인 도입으로 신뢰성 올릴 것”
입력 2018.10.05 (09:05)
수정 2018.10.05 (09: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주요 정책 결정 때 온라인으로 시민들의 의견을 묻는 전자투표를 확대할 전망입니다.
위조·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전자투표에 도입해 신뢰성을 끌어올리고, 서울시 정책 결정 때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입니다.
스페인·스위스·에스토니아 순방에 나선 박원순 서울시장은 현지시간 지난 3일 '블록체인 마스터플랜'을 발표하며 전자투표를 통한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서울시와 지역사회의 중요한 의사 결정 때 시민들이 온라인 투표를 통해 참여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시스템을 내년까지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미세먼지와 관련한 대중교통 무료 정책이나 청년수단 수혜 대상 확대 여부 등 주요 정책 결정 전에 시민들에게 전자투표로 의견을 물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시는 지금도 '엠보팅'이라는 온라인 투표 제도를 도입하고 있지만 주민제안사업 투표, 공공시설 이용자 만족도 등의 조사에 그치고 있습니다.
박원순 시장은 현지시간 지난 4일에는 스위스 취리히주 청사를 찾아 국민투표·국민제안 등 스위스의 직접민주주의가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시민 전자투표 확대와 관련한 일정을
이어갔습니다.
스위스는 국가적인 사안뿐 아니라 지역 현안도 주민 직접투표를 통해 결정합니다. 취리히주의 경우 600만 스위스프랑 이상의 세금을 지출해야 할 경우 3천명 이상이 서명하면 주민투표를 시행하도록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위조·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전자투표에 도입해 신뢰성을 끌어올리고, 서울시 정책 결정 때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입니다.
스페인·스위스·에스토니아 순방에 나선 박원순 서울시장은 현지시간 지난 3일 '블록체인 마스터플랜'을 발표하며 전자투표를 통한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서울시와 지역사회의 중요한 의사 결정 때 시민들이 온라인 투표를 통해 참여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시스템을 내년까지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미세먼지와 관련한 대중교통 무료 정책이나 청년수단 수혜 대상 확대 여부 등 주요 정책 결정 전에 시민들에게 전자투표로 의견을 물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시는 지금도 '엠보팅'이라는 온라인 투표 제도를 도입하고 있지만 주민제안사업 투표, 공공시설 이용자 만족도 등의 조사에 그치고 있습니다.
박원순 시장은 현지시간 지난 4일에는 스위스 취리히주 청사를 찾아 국민투표·국민제안 등 스위스의 직접민주주의가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시민 전자투표 확대와 관련한 일정을
이어갔습니다.
스위스는 국가적인 사안뿐 아니라 지역 현안도 주민 직접투표를 통해 결정합니다. 취리히주의 경우 600만 스위스프랑 이상의 세금을 지출해야 할 경우 3천명 이상이 서명하면 주민투표를 시행하도록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시,시민 전자투표 확대…“블록체인 도입으로 신뢰성 올릴 것”
-
- 입력 2018-10-05 09:05:25
- 수정2018-10-05 09:06:00

서울시가 주요 정책 결정 때 온라인으로 시민들의 의견을 묻는 전자투표를 확대할 전망입니다.
위조·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전자투표에 도입해 신뢰성을 끌어올리고, 서울시 정책 결정 때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입니다.
스페인·스위스·에스토니아 순방에 나선 박원순 서울시장은 현지시간 지난 3일 '블록체인 마스터플랜'을 발표하며 전자투표를 통한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서울시와 지역사회의 중요한 의사 결정 때 시민들이 온라인 투표를 통해 참여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시스템을 내년까지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미세먼지와 관련한 대중교통 무료 정책이나 청년수단 수혜 대상 확대 여부 등 주요 정책 결정 전에 시민들에게 전자투표로 의견을 물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시는 지금도 '엠보팅'이라는 온라인 투표 제도를 도입하고 있지만 주민제안사업 투표, 공공시설 이용자 만족도 등의 조사에 그치고 있습니다.
박원순 시장은 현지시간 지난 4일에는 스위스 취리히주 청사를 찾아 국민투표·국민제안 등 스위스의 직접민주주의가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시민 전자투표 확대와 관련한 일정을
이어갔습니다.
스위스는 국가적인 사안뿐 아니라 지역 현안도 주민 직접투표를 통해 결정합니다. 취리히주의 경우 600만 스위스프랑 이상의 세금을 지출해야 할 경우 3천명 이상이 서명하면 주민투표를 시행하도록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위조·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전자투표에 도입해 신뢰성을 끌어올리고, 서울시 정책 결정 때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입니다.
스페인·스위스·에스토니아 순방에 나선 박원순 서울시장은 현지시간 지난 3일 '블록체인 마스터플랜'을 발표하며 전자투표를 통한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서울시와 지역사회의 중요한 의사 결정 때 시민들이 온라인 투표를 통해 참여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시스템을 내년까지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미세먼지와 관련한 대중교통 무료 정책이나 청년수단 수혜 대상 확대 여부 등 주요 정책 결정 전에 시민들에게 전자투표로 의견을 물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시는 지금도 '엠보팅'이라는 온라인 투표 제도를 도입하고 있지만 주민제안사업 투표, 공공시설 이용자 만족도 등의 조사에 그치고 있습니다.
박원순 시장은 현지시간 지난 4일에는 스위스 취리히주 청사를 찾아 국민투표·국민제안 등 스위스의 직접민주주의가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시민 전자투표 확대와 관련한 일정을
이어갔습니다.
스위스는 국가적인 사안뿐 아니라 지역 현안도 주민 직접투표를 통해 결정합니다. 취리히주의 경우 600만 스위스프랑 이상의 세금을 지출해야 할 경우 3천명 이상이 서명하면 주민투표를 시행하도록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홍수진 기자 nodance@kbs.co.kr
홍수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