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수주 7년 만에 1위 눈앞…실적 개선까지 ‘먼 길’
입력 2018.11.01 (21:21)
수정 2018.11.02 (08: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때 세계 최강이었던 한국의 조선업이 중국의 저가공세에 밀리면서 1 위 자리를 뺏긴 지 오랩니다.
그런데 올해는 선박 수주 물량이 대폭 늘어나 7 년 만에 다시 1 위 자리를 탈환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조선업계 불황이 끝나지 않은데다 구조조정 작업도 진행되고 있어서 장밋빛 전망을 내놓기는 이르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박원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액화천연가스, LNG를 운반하는 대형 쇄빙선입니다.
친환경 에너지 수요가 늘며 전 세계 LNG선 발주량도 지난해 17척에서 올해 44척으로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39척을 국내 조선업체 3곳이 따냈습니다.
[이중남/삼성중공업 기술기획팀장 : "(친환경 선박 기술은) 중국 조선소 대비 조금 차별화된 포인트이기 때문에 그런 관점에서 우리나라가 수주에서 조금 당분간 우위를 가지고 있지 않느냐 그렇게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런 회복세에 힘입어 올해 국내 조선업체의 세계 선박 수주 점유율은 45%를 차지했습니다.
이대로라면 2011년 이후 중국에 뺏긴 1위 자리를 7년 만에 되찾게 됩니다.
하지만 2016년 최악의 '수주 절벽'에 따른 불황의 그늘이 여전히 짙습니다.
경남 거제시만 해도 조선업계 직원이 3년 전 9만 2천 명에서 현재 5만 명 아래로 급감했습니다.
조선업 구조조정도 현재 진행형이어서, 현대중공업은 유휴 인력 2천명의 활용 여부를 놓고 노사가 대립하고 있습니다.
각 사가 채권단에 제출한 자구계획안대로라면, 대우조선해양은 천 명, 삼성중공업은 2천 명을 올해 안에 감원해야 합니다.
올해 수주가 늘었다지만 선박을 인도해야 대금을 완전히 받을 수 있는 업종 특성상, 곧바로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도 어렵습니다.
[김선민/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수주 효과가 수출 효과로 이어지기까지는 한 2년 정도 소요되는데 그동안 조금 수주들이 좋아서 내년 한 중반기부터는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집니다."]
지난달 수출 실적을 봐도 자동차 등 주요 품목은 일년전보다 늘었지만, 선박은 55% 감소했습니다.
여덟달째 마이너스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금융 지원 강화를 주 내용으로 하는 조선업 활성화 대책을 이달 중순에 내놓을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한때 세계 최강이었던 한국의 조선업이 중국의 저가공세에 밀리면서 1 위 자리를 뺏긴 지 오랩니다.
그런데 올해는 선박 수주 물량이 대폭 늘어나 7 년 만에 다시 1 위 자리를 탈환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조선업계 불황이 끝나지 않은데다 구조조정 작업도 진행되고 있어서 장밋빛 전망을 내놓기는 이르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박원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액화천연가스, LNG를 운반하는 대형 쇄빙선입니다.
친환경 에너지 수요가 늘며 전 세계 LNG선 발주량도 지난해 17척에서 올해 44척으로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39척을 국내 조선업체 3곳이 따냈습니다.
[이중남/삼성중공업 기술기획팀장 : "(친환경 선박 기술은) 중국 조선소 대비 조금 차별화된 포인트이기 때문에 그런 관점에서 우리나라가 수주에서 조금 당분간 우위를 가지고 있지 않느냐 그렇게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런 회복세에 힘입어 올해 국내 조선업체의 세계 선박 수주 점유율은 45%를 차지했습니다.
이대로라면 2011년 이후 중국에 뺏긴 1위 자리를 7년 만에 되찾게 됩니다.
하지만 2016년 최악의 '수주 절벽'에 따른 불황의 그늘이 여전히 짙습니다.
경남 거제시만 해도 조선업계 직원이 3년 전 9만 2천 명에서 현재 5만 명 아래로 급감했습니다.
조선업 구조조정도 현재 진행형이어서, 현대중공업은 유휴 인력 2천명의 활용 여부를 놓고 노사가 대립하고 있습니다.
각 사가 채권단에 제출한 자구계획안대로라면, 대우조선해양은 천 명, 삼성중공업은 2천 명을 올해 안에 감원해야 합니다.
올해 수주가 늘었다지만 선박을 인도해야 대금을 완전히 받을 수 있는 업종 특성상, 곧바로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도 어렵습니다.
[김선민/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수주 효과가 수출 효과로 이어지기까지는 한 2년 정도 소요되는데 그동안 조금 수주들이 좋아서 내년 한 중반기부터는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집니다."]
지난달 수출 실적을 봐도 자동차 등 주요 품목은 일년전보다 늘었지만, 선박은 55% 감소했습니다.
여덟달째 마이너스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금융 지원 강화를 주 내용으로 하는 조선업 활성화 대책을 이달 중순에 내놓을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조선업, 수주 7년 만에 1위 눈앞…실적 개선까지 ‘먼 길’
-
- 입력 2018-11-01 21:23:21
- 수정2018-11-02 08:07:34
![](/data/news/2018/11/01/4064580_100.jpg)
[앵커]
한때 세계 최강이었던 한국의 조선업이 중국의 저가공세에 밀리면서 1 위 자리를 뺏긴 지 오랩니다.
그런데 올해는 선박 수주 물량이 대폭 늘어나 7 년 만에 다시 1 위 자리를 탈환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조선업계 불황이 끝나지 않은데다 구조조정 작업도 진행되고 있어서 장밋빛 전망을 내놓기는 이르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박원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액화천연가스, LNG를 운반하는 대형 쇄빙선입니다.
친환경 에너지 수요가 늘며 전 세계 LNG선 발주량도 지난해 17척에서 올해 44척으로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39척을 국내 조선업체 3곳이 따냈습니다.
[이중남/삼성중공업 기술기획팀장 : "(친환경 선박 기술은) 중국 조선소 대비 조금 차별화된 포인트이기 때문에 그런 관점에서 우리나라가 수주에서 조금 당분간 우위를 가지고 있지 않느냐 그렇게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런 회복세에 힘입어 올해 국내 조선업체의 세계 선박 수주 점유율은 45%를 차지했습니다.
이대로라면 2011년 이후 중국에 뺏긴 1위 자리를 7년 만에 되찾게 됩니다.
하지만 2016년 최악의 '수주 절벽'에 따른 불황의 그늘이 여전히 짙습니다.
경남 거제시만 해도 조선업계 직원이 3년 전 9만 2천 명에서 현재 5만 명 아래로 급감했습니다.
조선업 구조조정도 현재 진행형이어서, 현대중공업은 유휴 인력 2천명의 활용 여부를 놓고 노사가 대립하고 있습니다.
각 사가 채권단에 제출한 자구계획안대로라면, 대우조선해양은 천 명, 삼성중공업은 2천 명을 올해 안에 감원해야 합니다.
올해 수주가 늘었다지만 선박을 인도해야 대금을 완전히 받을 수 있는 업종 특성상, 곧바로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도 어렵습니다.
[김선민/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수주 효과가 수출 효과로 이어지기까지는 한 2년 정도 소요되는데 그동안 조금 수주들이 좋아서 내년 한 중반기부터는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집니다."]
지난달 수출 실적을 봐도 자동차 등 주요 품목은 일년전보다 늘었지만, 선박은 55% 감소했습니다.
여덟달째 마이너스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금융 지원 강화를 주 내용으로 하는 조선업 활성화 대책을 이달 중순에 내놓을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한때 세계 최강이었던 한국의 조선업이 중국의 저가공세에 밀리면서 1 위 자리를 뺏긴 지 오랩니다.
그런데 올해는 선박 수주 물량이 대폭 늘어나 7 년 만에 다시 1 위 자리를 탈환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조선업계 불황이 끝나지 않은데다 구조조정 작업도 진행되고 있어서 장밋빛 전망을 내놓기는 이르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박원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액화천연가스, LNG를 운반하는 대형 쇄빙선입니다.
친환경 에너지 수요가 늘며 전 세계 LNG선 발주량도 지난해 17척에서 올해 44척으로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39척을 국내 조선업체 3곳이 따냈습니다.
[이중남/삼성중공업 기술기획팀장 : "(친환경 선박 기술은) 중국 조선소 대비 조금 차별화된 포인트이기 때문에 그런 관점에서 우리나라가 수주에서 조금 당분간 우위를 가지고 있지 않느냐 그렇게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런 회복세에 힘입어 올해 국내 조선업체의 세계 선박 수주 점유율은 45%를 차지했습니다.
이대로라면 2011년 이후 중국에 뺏긴 1위 자리를 7년 만에 되찾게 됩니다.
하지만 2016년 최악의 '수주 절벽'에 따른 불황의 그늘이 여전히 짙습니다.
경남 거제시만 해도 조선업계 직원이 3년 전 9만 2천 명에서 현재 5만 명 아래로 급감했습니다.
조선업 구조조정도 현재 진행형이어서, 현대중공업은 유휴 인력 2천명의 활용 여부를 놓고 노사가 대립하고 있습니다.
각 사가 채권단에 제출한 자구계획안대로라면, 대우조선해양은 천 명, 삼성중공업은 2천 명을 올해 안에 감원해야 합니다.
올해 수주가 늘었다지만 선박을 인도해야 대금을 완전히 받을 수 있는 업종 특성상, 곧바로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도 어렵습니다.
[김선민/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수주 효과가 수출 효과로 이어지기까지는 한 2년 정도 소요되는데 그동안 조금 수주들이 좋아서 내년 한 중반기부터는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집니다."]
지난달 수출 실적을 봐도 자동차 등 주요 품목은 일년전보다 늘었지만, 선박은 55% 감소했습니다.
여덟달째 마이너스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금융 지원 강화를 주 내용으로 하는 조선업 활성화 대책을 이달 중순에 내놓을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
-
박원기 기자 remember@kbs.co.kr
박원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