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출퇴근 30분 만에”…‘3기 신도시’ 교통망이 성패 좌우

입력 2018.12.19 (21:17) 수정 2018.12.19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는 신도시에서 서울까지 30분이면 출퇴근이 가능하도록 교통망도 정비하기로 했습니다.

급행철도와 환승버스를 확충할 계획인데, 문제는 이게 신도시 입주보다 늦어질 거란 점입니다.

오대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3기 신도시 예정지 중 가장 규모가 큰 남양주 왕숙지구.

현재 편도 2차선 도로를 제외하면 별다른 교통 인프라가 없습니다.

다른 곳들도 서울과 물리적 거리는 가깝지만, 교통망이 빈약해 실제 접근성은 떨어집니다.

국토부는 신도시 조성을 계기로, 사업 진행 속도가 더뎠던 GTX와 신안산선 개통 작업에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

지하철보다 4배 빠른 광역급행철도, GTX는 3개 노선이 거론 중입니다.

A 노선의 경우 조기 착공을 추진하고, C 노선도 내년에 기본 계획에 착수할 방침입니다.

예비타당성 조사에 발목이 잡혀 있는 B 노선은 조사 면제를 검토 중입니다.

16년째 제자리 걸음인 신안산선도 내년 하반기에 착공합니다.

안산부터 광명, 여의도를 잇는 새 교통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 지하철도 연장합니다.

남양주 진접선과 별내선이 각각 4호선, 8호선과 연계되고, 하남에는 3호선이 들어오는데 서울까지 접근 시간이 평균 15분 줄어들 전망입니다.

환승센터와 연계한 급행버스 등, 서울까지 30분 안에 출퇴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김현미/국토교통부 장관 :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를 통해서 지자체간 이견으로 지연됐던 핵심 사업들에 추진력을 확보하고 제도개선을 통해 선교통 후개발 원칙을 (공고히 하겠습니다)."]

문제는 속도입니다.

현재 가장 많이 진척된 GTX A노선도 2023년부터 부분 개통을 시작해, 신도시 입주보다 수 년씩 더 늦어질 걸로 예상됩니다.

초기 입주민들의 불편을 어떻게 해소할 지와, 교통 인프라 마련에 필요한 자금 확보가 당장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출퇴근 30분 만에”…‘3기 신도시’ 교통망이 성패 좌우
    • 입력 2018-12-19 21:21:17
    • 수정2018-12-19 22:04:23
    뉴스 9
[앵커]

정부는 신도시에서 서울까지 30분이면 출퇴근이 가능하도록 교통망도 정비하기로 했습니다.

급행철도와 환승버스를 확충할 계획인데, 문제는 이게 신도시 입주보다 늦어질 거란 점입니다.

오대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3기 신도시 예정지 중 가장 규모가 큰 남양주 왕숙지구.

현재 편도 2차선 도로를 제외하면 별다른 교통 인프라가 없습니다.

다른 곳들도 서울과 물리적 거리는 가깝지만, 교통망이 빈약해 실제 접근성은 떨어집니다.

국토부는 신도시 조성을 계기로, 사업 진행 속도가 더뎠던 GTX와 신안산선 개통 작업에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

지하철보다 4배 빠른 광역급행철도, GTX는 3개 노선이 거론 중입니다.

A 노선의 경우 조기 착공을 추진하고, C 노선도 내년에 기본 계획에 착수할 방침입니다.

예비타당성 조사에 발목이 잡혀 있는 B 노선은 조사 면제를 검토 중입니다.

16년째 제자리 걸음인 신안산선도 내년 하반기에 착공합니다.

안산부터 광명, 여의도를 잇는 새 교통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 지하철도 연장합니다.

남양주 진접선과 별내선이 각각 4호선, 8호선과 연계되고, 하남에는 3호선이 들어오는데 서울까지 접근 시간이 평균 15분 줄어들 전망입니다.

환승센터와 연계한 급행버스 등, 서울까지 30분 안에 출퇴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김현미/국토교통부 장관 :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를 통해서 지자체간 이견으로 지연됐던 핵심 사업들에 추진력을 확보하고 제도개선을 통해 선교통 후개발 원칙을 (공고히 하겠습니다)."]

문제는 속도입니다.

현재 가장 많이 진척된 GTX A노선도 2023년부터 부분 개통을 시작해, 신도시 입주보다 수 년씩 더 늦어질 걸로 예상됩니다.

초기 입주민들의 불편을 어떻게 해소할 지와, 교통 인프라 마련에 필요한 자금 확보가 당장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