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재해 예방하는 ‘스마트 도로조명 가로등’ 개발 착수

입력 2019.01.14 (08:45) 수정 2019.01.14 (08: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로등이 도로나 터널 안의 사고 상황을 감지하고 주변의 행인과 차량에 전파하는 안전 타워로 기능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토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 등 4개 부처는 올해부터 합동으로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에 착수합니다.

이는 가로등의 기능을 단순한 조명을 넘어 도로 안전사고의 추가 발생을 막는 사회 안전망으로 바꾸는 것으로, 2019∼2024년까지 4개 부처가 260억 원을 투입해 개발하게 됩니다.

이 시스템은 가로등 등 도로 조명에 센서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교통사고 등 정보를 수집하고 위험 상황을 판단해, '디지털 사인'을 통해 도로 표면에 정보를 비추거나 I2X(Infra to things) 기술로 인근을 지나는 차량과 행인의 스마트폰 등에 전달합니다.

횡단보도나 교차로 등지나 터널 안에서 갑작스러운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인근을 지나는 차량과 보행자가 즉각 정보를 접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한다는 구상입니다.

정부는 추돌사고, 측면, 직각, 횡단중 보행자 사고, 공작물 충돌 사고 등 5대 교통사고가 잦은 곳을 선별해 이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터널이나 결빙지역, 교차로, 횡단보도, 스쿨존 등 특별히 높은 수준의 안전이 요구되는 지역도 새로운 가로등 시스템의 후보지입니다.

4개 부처는 다음달 중 각각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과 관련해 담당 분야별 연구개발 공모를 내고 3년간 연구를 진행하게 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고·재해 예방하는 ‘스마트 도로조명 가로등’ 개발 착수
    • 입력 2019-01-14 08:45:42
    • 수정2019-01-14 08:47:17
    경제
가로등이 도로나 터널 안의 사고 상황을 감지하고 주변의 행인과 차량에 전파하는 안전 타워로 기능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토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 등 4개 부처는 올해부터 합동으로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에 착수합니다.

이는 가로등의 기능을 단순한 조명을 넘어 도로 안전사고의 추가 발생을 막는 사회 안전망으로 바꾸는 것으로, 2019∼2024년까지 4개 부처가 260억 원을 투입해 개발하게 됩니다.

이 시스템은 가로등 등 도로 조명에 센서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교통사고 등 정보를 수집하고 위험 상황을 판단해, '디지털 사인'을 통해 도로 표면에 정보를 비추거나 I2X(Infra to things) 기술로 인근을 지나는 차량과 행인의 스마트폰 등에 전달합니다.

횡단보도나 교차로 등지나 터널 안에서 갑작스러운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인근을 지나는 차량과 보행자가 즉각 정보를 접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한다는 구상입니다.

정부는 추돌사고, 측면, 직각, 횡단중 보행자 사고, 공작물 충돌 사고 등 5대 교통사고가 잦은 곳을 선별해 이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터널이나 결빙지역, 교차로, 횡단보도, 스쿨존 등 특별히 높은 수준의 안전이 요구되는 지역도 새로운 가로등 시스템의 후보지입니다.

4개 부처는 다음달 중 각각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과 관련해 담당 분야별 연구개발 공모를 내고 3년간 연구를 진행하게 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