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K] 야생동물 밀렵에 불법 벌목까지…백두대간 ‘몸살’

입력 2019.02.01 (21:19) 수정 2019.02.01 (21: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반도 생태계의 보고인 백두대간이 신음하고 있습니다.

야생동물 밀렵꾼이 기승을 부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약용 식물을 채취하려고 수십 년 된 나무들을​ 마구 베내는 불법 벌목도 심각합니다.

현장K, 정면구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발 750미터, 백두대간 자락의 야산입니다.

등산로조차 없는 깊은 산 속을 오른 지 1시간여, 심하게 훼손된 고라니 사체가 눈에 띕니다.

밀렵꾼이 설치한 올무에 걸려 죽은 겁니다.

굵은 쇠줄의 올무는 심하게 꼬여 있습니다.

[김성호/한반도생태계연구소 조사팀장 : "(올무가) 꼬일 정도면 (고라니가) 엄청 힘들고 고통스럽게 죽은 것 같습니다."]

죽은 지 얼마 되지 않아 보이는 너구리도 발견됩니다.

올무에 걸린 너구리가 쓸모 없다고 판단해 버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주변을 살펴보니 누군가 만든 기다란 나무 막대 2개가 보입니다.

올무에 걸린 멧돼지가 살아있을 때 쓰는 이른바 '돼지창'입니다.

[김성호/한반도생태계연구소 조사팀장 : "창을 꽂아야 해요. 창을 꽂고 (멧돼지가) 걸렸으면 이런 식으로 찌르죠. 이렇게."]

피가 묻어있는 점으로 미뤄 여러 차례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밀렵 뿐만이 아닙니다.

높이 20미터가 넘는 아름드리 나무가 넘어져 있습니다.

어림잡아 수십 년이 된 이 나무는 바람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쓰러진 게 아닙니다.

나무를 자세히 보면 예리하게 잘린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누군가 톱 같은 장비를 이용해 잘라낸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름 50센티미터 정도의 나무엔 겨우살이를 뜯은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나무 높은 곳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는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강선/동북아생태환경연합 회장 : "나무를 다 벤단 말이야. 왜냐하면 (겨우살이가) 높은 데 자생하기 때문에 위험하잖아. 올라가기는."]

이렇게 쓰러져 있는 나무가 한두 그루가 아닙니다.

["활엽수, 이런 참나무류에 많이 서식하기 때문에 이렇게 훼손하는 건 생태적으로도 굉장히 심각하죠."]

돼지창을 동원한 야생 동물 밀렵부터 겨우살이 불법 채취를 위한 난벌까지, 백두대간 곳곳이 멍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K] 야생동물 밀렵에 불법 벌목까지…백두대간 ‘몸살’
    • 입력 2019-02-01 21:21:46
    • 수정2019-02-01 21:48:37
    뉴스 9
[앵커]

한반도 생태계의 보고인 백두대간이 신음하고 있습니다.

야생동물 밀렵꾼이 기승을 부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약용 식물을 채취하려고 수십 년 된 나무들을​ 마구 베내는 불법 벌목도 심각합니다.

현장K, 정면구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발 750미터, 백두대간 자락의 야산입니다.

등산로조차 없는 깊은 산 속을 오른 지 1시간여, 심하게 훼손된 고라니 사체가 눈에 띕니다.

밀렵꾼이 설치한 올무에 걸려 죽은 겁니다.

굵은 쇠줄의 올무는 심하게 꼬여 있습니다.

[김성호/한반도생태계연구소 조사팀장 : "(올무가) 꼬일 정도면 (고라니가) 엄청 힘들고 고통스럽게 죽은 것 같습니다."]

죽은 지 얼마 되지 않아 보이는 너구리도 발견됩니다.

올무에 걸린 너구리가 쓸모 없다고 판단해 버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주변을 살펴보니 누군가 만든 기다란 나무 막대 2개가 보입니다.

올무에 걸린 멧돼지가 살아있을 때 쓰는 이른바 '돼지창'입니다.

[김성호/한반도생태계연구소 조사팀장 : "창을 꽂아야 해요. 창을 꽂고 (멧돼지가) 걸렸으면 이런 식으로 찌르죠. 이렇게."]

피가 묻어있는 점으로 미뤄 여러 차례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밀렵 뿐만이 아닙니다.

높이 20미터가 넘는 아름드리 나무가 넘어져 있습니다.

어림잡아 수십 년이 된 이 나무는 바람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쓰러진 게 아닙니다.

나무를 자세히 보면 예리하게 잘린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누군가 톱 같은 장비를 이용해 잘라낸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름 50센티미터 정도의 나무엔 겨우살이를 뜯은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나무 높은 곳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는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강선/동북아생태환경연합 회장 : "나무를 다 벤단 말이야. 왜냐하면 (겨우살이가) 높은 데 자생하기 때문에 위험하잖아. 올라가기는."]

이렇게 쓰러져 있는 나무가 한두 그루가 아닙니다.

["활엽수, 이런 참나무류에 많이 서식하기 때문에 이렇게 훼손하는 건 생태적으로도 굉장히 심각하죠."]

돼지창을 동원한 야생 동물 밀렵부터 겨우살이 불법 채취를 위한 난벌까지, 백두대간 곳곳이 멍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