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인사이드] 새해 첫 달 ‘고용 부진’…원인은?

입력 2019.02.14 (18:15) 수정 2019.02.15 (08: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 올해 첫 고용 성적표가 나왔는데요, 썩 좋지 않습니다.

취업자 증가 규모는 목표에 턱없이 모자라고 실업률도 1월 기준으로 9년 만에 가장 높습니다.

고용 한파가 풀릴 기미가 보이질 않는데, 일자리 문제 해법이 있을지 LG경제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지난달 취업한 사람을 조사했더니 1년 전보다 만 9천 명이 늘어났습니다.

마이너스는 아니지만, 좋은 상황도 아니죠?

[답변]

1년 전보다 경제활동인구는 22만 3천 명이나 증가했는데요.

이 중 취업자 증가가 만 9천 명, 실업자 증가가 20만 4천 명.

늘어난 경제활동인구의 100명 중 8명 정도만이 취업자가 되고 나머지는 실업자가 된 셈입니다.

전년동월대비 취업자 수 증가 만 9천 명은 지난해 8월 3천 명 이후 5개월 만에 최저 정부 올해 취업자 증가 수 목표인 15만 명에도 한참 부족합니다.

[앵커]

정부는 지난해 1월 취업자 증가폭이 컸기 때문에 그로 인한 기저효과라는 건데요.

그런데 기저효과로만 보기엔 주력업종의 일자리 감소가 뚜렷하거든요.

어떻게 보십니까, 기저효과 맞나요?

[답변]

비교 대상인 지난해 같은 달, 2018년 1월에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33만 4천 명이나 증가했습니다.

그렇다 보니 전년동월대비로 계산할 때 올해 1월의 취업자 증가 수가 적게 계산된다는 건데요.

그러나 지난해 12월에도 취업자 증가 수는 3만 4천 명에 불과했고 이번에는 더욱 줄어든 것입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급여 수준이 높아 질 좋은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 일자리 감소 폭이 큽니다.

1년 전보다 취업자가 17만 명이나 감소했거든요.

과거에는 제조업 고용이 부진하면 서비스업에서 고용이 늘면서 충격을 완화해 줬는데요.

도소매업, 음식숙박업에서도 큰 폭으로 일자리가 줄면서 충격이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앵커]

일자리 상황이 악화함에도 상용직 근로자 증가했고 청년고용 부분이 개선되는 등 질은 개선되고 있다는 게 정부 입장인데요.

이 부분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세요?

[답변]

1년 전보다 상용근로자는 27만 9천 명 늘었지만, 임시근로자는 21만 2천 명 감소했습니다.

자영업자 및 무급가족종사자 같은 비임금근로자도 7만 3천 명이나 감소했고요.

특히, 36시간 미만 근로자는 42만 명 늘었지만, 36시간 이상 근로자는 33만 8천 명 줄어 늘어나는 상용근로자가 오랜 시간 일하며 많은 소득을 받고 있는가 우려하게 되는데요.

정부의 청년고용지원 정책으로 20대 취업자는 3만 4천 명 늘었지만 30대와 40대는 12만 6천 명, 16만 6천 명 취업자가 줄어 기존 취업자들 상황은 악화하는 중입니다.

[앵커]

20대 취업자가 늘었다곤 하지만, 청년들이 체감하는 취업 시장은 여전히 어렵지 않나요?

[답변]

20대의 공식적인 실업률은 8.7%로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에 그쳤지만 '시간 관련 추가취업가능자'와 잠재경제활동인구까지 포함한 확장실업률은 23.2%에 달하고 전년동월대비 1.4%나 상승했습니다.

넓은 범위로 측정하면 일하고자 하는 청년 약 4명 중 1명은 실업 상태라는 셈이죠.

[앵커]

실업률도 4.5%로 1월 기준으로 9년 만에 가장 높습니다.

정부에서는 지난달 시작된 노인 일자리 사업의 영향이 컸다는 건데, 어떤 연관이 있는 겁니까?

[답변]

실업자는 1년 전보다 20만 4천 명 증가 이 중 50대 증가 폭은 4만 8천 명, 60세대 증가 폭은 13만 9천 명에 달했습니다.

정부는 최근 노인 일자리 사업을 활발하게 벌이면서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신청자, 즉 구직자는 많이 늘었는데 지난달까지 미처 채용이 완료되지 않다 보니 통계 집계 상 실업자로 분류되는 중장년층이 많아져 실업률이 높아졌다는 것인데요.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 이후 10~11만 명대 수준이던 60대 실업자는 올해 1월 31만 9천 명으로 급증했습니다.

[앵커]

그러면 다음 달 노인 일자리 요인이 사라지면 실업 지표가 개선될까요?

[답변]

앞서 언급한 요인은 정부가 채용을 완료하거나 구직 신청이 줄면 사라질 일시적 요인인데요.

그러나 더 우려되는 점은 상대적으로 상황이 어려운 계층의 고용 상황이 더욱 악화하고 있다는 점이 우려되는 대목입니다.

관리자, 전문가 직군은 취업자가 7만 4천 명, 7만 6천 명 늘었지만 노년층, 소득 하위 계층이 많이 종사하는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단순 노무 종사자는 18만 4천 명, 11만 8천 명 감소했습니다.

대졸 이상 실업자는 3.4% 증가에 그쳤지만, 중졸 이하 실업자는 59.2%, 고졸 실업자는 20.6%나 증가했습니다.

[앵커]

고용 전망은 어떻습니까?

제조업 등에서 부진이 이어지면 2월 고용 지표도 지금과 크게 달라지지 않겠죠?

[답변]

최근 고용시장의 특징은 제조업, 건설업 등 민간 부문의 고용 증가는 부진하지만, 정부 재정지출 증가의 영향을 받는 공적 부문의 고용은 크게 늘고 있다는 점, 1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17만 9천 명이나 증가했습니다.

수출 경기가 악화하고 있고 기업 설비 투자, SOC 등 건설 투자가 부진한 상황에서 민간 부문 일자리가 크게 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민간 부문이 아닌 공적 부문 주도의 일자리 증가는 경제 활력 제고 효과가 작을 수 있고 정부의 세수 호조세가 지속하지 않는다면 계속 이어지기도 어려울 전망입니다.

[앵커]

이 상황에서 정부가 다시 공공기관 채용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효과가 있을까요?

[답변]

정부 세수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재정지출을 늘리고 공적 부문 주도로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제 인사이드] 새해 첫 달 ‘고용 부진’…원인은?
    • 입력 2019-02-14 18:22:57
    • 수정2019-02-15 08:21:04
    통합뉴스룸ET
[앵커]

어제, 올해 첫 고용 성적표가 나왔는데요, 썩 좋지 않습니다.

취업자 증가 규모는 목표에 턱없이 모자라고 실업률도 1월 기준으로 9년 만에 가장 높습니다.

고용 한파가 풀릴 기미가 보이질 않는데, 일자리 문제 해법이 있을지 LG경제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지난달 취업한 사람을 조사했더니 1년 전보다 만 9천 명이 늘어났습니다.

마이너스는 아니지만, 좋은 상황도 아니죠?

[답변]

1년 전보다 경제활동인구는 22만 3천 명이나 증가했는데요.

이 중 취업자 증가가 만 9천 명, 실업자 증가가 20만 4천 명.

늘어난 경제활동인구의 100명 중 8명 정도만이 취업자가 되고 나머지는 실업자가 된 셈입니다.

전년동월대비 취업자 수 증가 만 9천 명은 지난해 8월 3천 명 이후 5개월 만에 최저 정부 올해 취업자 증가 수 목표인 15만 명에도 한참 부족합니다.

[앵커]

정부는 지난해 1월 취업자 증가폭이 컸기 때문에 그로 인한 기저효과라는 건데요.

그런데 기저효과로만 보기엔 주력업종의 일자리 감소가 뚜렷하거든요.

어떻게 보십니까, 기저효과 맞나요?

[답변]

비교 대상인 지난해 같은 달, 2018년 1월에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33만 4천 명이나 증가했습니다.

그렇다 보니 전년동월대비로 계산할 때 올해 1월의 취업자 증가 수가 적게 계산된다는 건데요.

그러나 지난해 12월에도 취업자 증가 수는 3만 4천 명에 불과했고 이번에는 더욱 줄어든 것입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급여 수준이 높아 질 좋은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 일자리 감소 폭이 큽니다.

1년 전보다 취업자가 17만 명이나 감소했거든요.

과거에는 제조업 고용이 부진하면 서비스업에서 고용이 늘면서 충격을 완화해 줬는데요.

도소매업, 음식숙박업에서도 큰 폭으로 일자리가 줄면서 충격이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앵커]

일자리 상황이 악화함에도 상용직 근로자 증가했고 청년고용 부분이 개선되는 등 질은 개선되고 있다는 게 정부 입장인데요.

이 부분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세요?

[답변]

1년 전보다 상용근로자는 27만 9천 명 늘었지만, 임시근로자는 21만 2천 명 감소했습니다.

자영업자 및 무급가족종사자 같은 비임금근로자도 7만 3천 명이나 감소했고요.

특히, 36시간 미만 근로자는 42만 명 늘었지만, 36시간 이상 근로자는 33만 8천 명 줄어 늘어나는 상용근로자가 오랜 시간 일하며 많은 소득을 받고 있는가 우려하게 되는데요.

정부의 청년고용지원 정책으로 20대 취업자는 3만 4천 명 늘었지만 30대와 40대는 12만 6천 명, 16만 6천 명 취업자가 줄어 기존 취업자들 상황은 악화하는 중입니다.

[앵커]

20대 취업자가 늘었다곤 하지만, 청년들이 체감하는 취업 시장은 여전히 어렵지 않나요?

[답변]

20대의 공식적인 실업률은 8.7%로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에 그쳤지만 '시간 관련 추가취업가능자'와 잠재경제활동인구까지 포함한 확장실업률은 23.2%에 달하고 전년동월대비 1.4%나 상승했습니다.

넓은 범위로 측정하면 일하고자 하는 청년 약 4명 중 1명은 실업 상태라는 셈이죠.

[앵커]

실업률도 4.5%로 1월 기준으로 9년 만에 가장 높습니다.

정부에서는 지난달 시작된 노인 일자리 사업의 영향이 컸다는 건데, 어떤 연관이 있는 겁니까?

[답변]

실업자는 1년 전보다 20만 4천 명 증가 이 중 50대 증가 폭은 4만 8천 명, 60세대 증가 폭은 13만 9천 명에 달했습니다.

정부는 최근 노인 일자리 사업을 활발하게 벌이면서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신청자, 즉 구직자는 많이 늘었는데 지난달까지 미처 채용이 완료되지 않다 보니 통계 집계 상 실업자로 분류되는 중장년층이 많아져 실업률이 높아졌다는 것인데요.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 이후 10~11만 명대 수준이던 60대 실업자는 올해 1월 31만 9천 명으로 급증했습니다.

[앵커]

그러면 다음 달 노인 일자리 요인이 사라지면 실업 지표가 개선될까요?

[답변]

앞서 언급한 요인은 정부가 채용을 완료하거나 구직 신청이 줄면 사라질 일시적 요인인데요.

그러나 더 우려되는 점은 상대적으로 상황이 어려운 계층의 고용 상황이 더욱 악화하고 있다는 점이 우려되는 대목입니다.

관리자, 전문가 직군은 취업자가 7만 4천 명, 7만 6천 명 늘었지만 노년층, 소득 하위 계층이 많이 종사하는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단순 노무 종사자는 18만 4천 명, 11만 8천 명 감소했습니다.

대졸 이상 실업자는 3.4% 증가에 그쳤지만, 중졸 이하 실업자는 59.2%, 고졸 실업자는 20.6%나 증가했습니다.

[앵커]

고용 전망은 어떻습니까?

제조업 등에서 부진이 이어지면 2월 고용 지표도 지금과 크게 달라지지 않겠죠?

[답변]

최근 고용시장의 특징은 제조업, 건설업 등 민간 부문의 고용 증가는 부진하지만, 정부 재정지출 증가의 영향을 받는 공적 부문의 고용은 크게 늘고 있다는 점, 1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17만 9천 명이나 증가했습니다.

수출 경기가 악화하고 있고 기업 설비 투자, SOC 등 건설 투자가 부진한 상황에서 민간 부문 일자리가 크게 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민간 부문이 아닌 공적 부문 주도의 일자리 증가는 경제 활력 제고 효과가 작을 수 있고 정부의 세수 호조세가 지속하지 않는다면 계속 이어지기도 어려울 전망입니다.

[앵커]

이 상황에서 정부가 다시 공공기관 채용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효과가 있을까요?

[답변]

정부 세수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재정지출을 늘리고 공적 부문 주도로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