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미세먼지 인한 경제적 손실 4조원 추정…GDP의 0.2%”

입력 2019.03.17 (11:47) 수정 2019.03.17 (11: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로 생산활동이 제약을 받아 발생한 손실이 지난해 4조원이 넘는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에서 "지난해 미세먼지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4조230억원으로 추정되며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0.2%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하루당 손실은 1천 586억원으로 추정했습니다.

연구원은 지난달 18일부터 28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천 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원은 미세먼지로 인한 산업별 체감 제약 정도를 설문조사하고, 이를 산업별 종사자 수 비율을 감안한 명목 GDP 금액으로 환산했습니다. 또, 하루당 손실에 지난해 전국 평균 주의보 발령일수(25.4일)를 곱해 연간 비용을 추정했습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세먼지로 생산 활동에 제약을 받은 정도는 전체 평균 6.7%로 나타났습니다.

산업별로는 주로 실외에서 일하는 농·임·어업이 8.4%로 체감 제약 정도가 가장 컸고 기타서비스업이 7.3%, 전기·하수·건설이 7.2%로 뒤를 이었습니다.

근무지별로는 실외 근무자의 체감 생산 활동 제약 정도가 13.6%, 실내는 5.7%였습니다.

마스크를 사는 등 미세먼지에 대처하기 위해 가계가 지출한 비용은 가구당 월평균 2만 천 260원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2017년 기준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액인 256만원의 0.83% 수준입니다.

30대와 40대 가구는 각각 월평균 2만5천780원, 2만3천720원을 써서 지출이 비교적 많았습니다.

소득수준별로는 월 소득 500만원대 가구가 2만6천40원을 지출한 반면 월 소득 200만원 미만 가구의 지출은 1만590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다고 밝힌 응답자는 55%, 없다는 45%였습니다.

지불 의사가 없는 이유는 '세금을 내도 미세먼지가 예방될 것이라는 믿음이 없음'(47.7%)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이미 납부한 세금으로 예방해야 함'(40%), '경제적 여유 없음'(8.8%)이 뒤를 이었습니다.

또,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일을 반으로 줄이기 위해 지불 가능한 금액은 가구당 월평균 4천530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응답자들은 미세먼지로 인한 가장 심각한 피해로 '건강 악화'(59.8%)를 꼽았고 '실외활동 제약'(23.5%), '스트레스 증가'(10.3%), '공기청정기·마스크 등 구매 비용 증가'(4.7%)란 응답도 있었습니다.

보고서는 미세먼지에 대해 현재 명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를 규명할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또, 취약계층을 위한 공기정화시설을 지원하고 마스크를 보급해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미세먼지 인한 경제적 손실 4조원 추정…GDP의 0.2%”
    • 입력 2019-03-17 11:47:34
    • 수정2019-03-17 11:50:33
    경제
미세먼지로 생산활동이 제약을 받아 발생한 손실이 지난해 4조원이 넘는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에서 "지난해 미세먼지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4조230억원으로 추정되며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0.2%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하루당 손실은 1천 586억원으로 추정했습니다.

연구원은 지난달 18일부터 28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천 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원은 미세먼지로 인한 산업별 체감 제약 정도를 설문조사하고, 이를 산업별 종사자 수 비율을 감안한 명목 GDP 금액으로 환산했습니다. 또, 하루당 손실에 지난해 전국 평균 주의보 발령일수(25.4일)를 곱해 연간 비용을 추정했습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세먼지로 생산 활동에 제약을 받은 정도는 전체 평균 6.7%로 나타났습니다.

산업별로는 주로 실외에서 일하는 농·임·어업이 8.4%로 체감 제약 정도가 가장 컸고 기타서비스업이 7.3%, 전기·하수·건설이 7.2%로 뒤를 이었습니다.

근무지별로는 실외 근무자의 체감 생산 활동 제약 정도가 13.6%, 실내는 5.7%였습니다.

마스크를 사는 등 미세먼지에 대처하기 위해 가계가 지출한 비용은 가구당 월평균 2만 천 260원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2017년 기준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액인 256만원의 0.83% 수준입니다.

30대와 40대 가구는 각각 월평균 2만5천780원, 2만3천720원을 써서 지출이 비교적 많았습니다.

소득수준별로는 월 소득 500만원대 가구가 2만6천40원을 지출한 반면 월 소득 200만원 미만 가구의 지출은 1만590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다고 밝힌 응답자는 55%, 없다는 45%였습니다.

지불 의사가 없는 이유는 '세금을 내도 미세먼지가 예방될 것이라는 믿음이 없음'(47.7%)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이미 납부한 세금으로 예방해야 함'(40%), '경제적 여유 없음'(8.8%)이 뒤를 이었습니다.

또,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일을 반으로 줄이기 위해 지불 가능한 금액은 가구당 월평균 4천530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응답자들은 미세먼지로 인한 가장 심각한 피해로 '건강 악화'(59.8%)를 꼽았고 '실외활동 제약'(23.5%), '스트레스 증가'(10.3%), '공기청정기·마스크 등 구매 비용 증가'(4.7%)란 응답도 있었습니다.

보고서는 미세먼지에 대해 현재 명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를 규명할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또, 취약계층을 위한 공기정화시설을 지원하고 마스크를 보급해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