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경협 재개시 개성공단·금강산에 남측 결제환경 조성 추진”
입력 2019.03.17 (17:09)
수정 2019.03.17 (17: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 경제협력 사업이 재개되면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에 남측이 이용할 수 있는 결제환경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금융협력을 추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습니다.
이윤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금융브리프'에 게재된 '남북경협 재개 시 금융협력 분야와 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경협사업이 재개되면 개성공단과 금강산 지역의 금융협력 방안을 우선 고려해볼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 개성공업지구법 등에서 유통화폐의 종류를 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남북이 협의만 한다면 한국의 원화 거래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 금강산 관광의 경우 남측이 운영하는 호텔이나 편의점 등에서 신용카드, 모바일 간편 결제가 가능하도록 남북이 협력하는 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환전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도 높일 수 있으며 북측으로서는 매출을 늘릴 수 있는 장점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보고서는 북측 전문가를 대상으로 금융 관련 지식 공유를 추진하는 것도 금융협력의 한 분야가 될 수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장기적으로 북한 금융시스템 개혁과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대북 진출과 관련된 개선 과제를 정부가 사전에 점검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윤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금융브리프'에 게재된 '남북경협 재개 시 금융협력 분야와 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경협사업이 재개되면 개성공단과 금강산 지역의 금융협력 방안을 우선 고려해볼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 개성공업지구법 등에서 유통화폐의 종류를 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남북이 협의만 한다면 한국의 원화 거래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 금강산 관광의 경우 남측이 운영하는 호텔이나 편의점 등에서 신용카드, 모바일 간편 결제가 가능하도록 남북이 협력하는 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환전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도 높일 수 있으며 북측으로서는 매출을 늘릴 수 있는 장점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보고서는 북측 전문가를 대상으로 금융 관련 지식 공유를 추진하는 것도 금융협력의 한 분야가 될 수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장기적으로 북한 금융시스템 개혁과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대북 진출과 관련된 개선 과제를 정부가 사전에 점검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북경협 재개시 개성공단·금강산에 남측 결제환경 조성 추진”
-
- 입력 2019-03-17 17:09:46
- 수정2019-03-17 17:19:50

남북 경제협력 사업이 재개되면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에 남측이 이용할 수 있는 결제환경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금융협력을 추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습니다.
이윤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금융브리프'에 게재된 '남북경협 재개 시 금융협력 분야와 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경협사업이 재개되면 개성공단과 금강산 지역의 금융협력 방안을 우선 고려해볼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 개성공업지구법 등에서 유통화폐의 종류를 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남북이 협의만 한다면 한국의 원화 거래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 금강산 관광의 경우 남측이 운영하는 호텔이나 편의점 등에서 신용카드, 모바일 간편 결제가 가능하도록 남북이 협력하는 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환전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도 높일 수 있으며 북측으로서는 매출을 늘릴 수 있는 장점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보고서는 북측 전문가를 대상으로 금융 관련 지식 공유를 추진하는 것도 금융협력의 한 분야가 될 수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장기적으로 북한 금융시스템 개혁과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대북 진출과 관련된 개선 과제를 정부가 사전에 점검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윤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금융브리프'에 게재된 '남북경협 재개 시 금융협력 분야와 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경협사업이 재개되면 개성공단과 금강산 지역의 금융협력 방안을 우선 고려해볼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 개성공업지구법 등에서 유통화폐의 종류를 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남북이 협의만 한다면 한국의 원화 거래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 금강산 관광의 경우 남측이 운영하는 호텔이나 편의점 등에서 신용카드, 모바일 간편 결제가 가능하도록 남북이 협력하는 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환전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도 높일 수 있으며 북측으로서는 매출을 늘릴 수 있는 장점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보고서는 북측 전문가를 대상으로 금융 관련 지식 공유를 추진하는 것도 금융협력의 한 분야가 될 수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장기적으로 북한 금융시스템 개혁과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대북 진출과 관련된 개선 과제를 정부가 사전에 점검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박대기 기자 waiting@kbs.co.kr
박대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한반도, 평화로 가는 길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