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미국산 농식품 수입액 첫 10조 원 돌파…전년 대비 19.7↑

입력 2019.03.28 (08:49) 수정 2019.03.28 (09: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미국산 농식품 수입액이 처음으로 10조 원을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7년, 농식품 교역 변화'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미국산 농식품 수입액은 93억 7천만 달러로, 한화 환산 시 10조 6,400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는 전년도 78억 3천만 달러(약 8조 9천억 원)보다 19.7%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기록입니다.

수입 농식품 중 미국산의 점유율도 지난해 24.3%에서 26.6%로 2.3%포인트 높아졌습니다.

보고서는 2012년 발효한 한미 FTA가 이행 7년 차에 접어들면서 관세가 줄어든 것과 국내 육류 소비 증가,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수출선 전환 등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미국산 육류 수입량은 쇠고기 22만t, 돼지고기 23만t 등으로 역대 가장 많았습니다.

쇠고기는 대형유통업체의 수입고기 매장 확대와 판매식당 증가 등이 수입 증가 원인으로 꼽혔습니다. 특히 미국산 쇠고기 중 냉장육의 수입 비중이 2012년 8.5%에서 지난해 24.4%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돼지고기는 햄과 캔 등 가공용 식품 원료육의 수입량이 크게 늘었습니다.

지난해 미국산 농식품 품목별 수입액은 쇠고기가 16억 3,500만 달러(약 1조 8,600억 원)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옥수수 14억 1,500만 달러(약 1조 6,100억 원), 돼지고기 6억 200만 달러(약 6,800억 원), 밀 3억 6,900만 달러(약 4,200억 원), 대두 3억 1,600만 달러(약 3,600억 원), 오렌지 2억 3,400만 달러(약 2,700억 원), 치즈 2억 2,300만 달러(약 2,500억 원) 등의 순이었습니다.

이들 품목 모두 전년보다 수입액이 증가했는데, 증가율은 쇠고기 30%, 옥수수 66%, 돼지고기 32%, 밀 12%, 대두 13%, 오렌지 12%, 치즈 7% 등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농식품의 대(對)미국 수출액은 8억 달러(약 9,100억 원)로 전년보다 7.6% 증가했습니다.

품목별 대미 수출액은 혼합조제식료품이 7천만 달러(약 800억 원)로 가장 많았고, 커피와 주류 등을 제외한 기타 음료 6,660만 달러(약 760억 원), 담배 6,050만 달러(약 690억 원), 라면 5,030만 달러(약 570억 원) 등의 순이었습니다.

혼합조제식료품과 궐련의 수출액은 각각 1%, 36% 감소했지만, 기타 음료와 라면, 신선 배의 수출액은 각각 9%, 23%, 17% 증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미국산 농식품 수입액 첫 10조 원 돌파…전년 대비 19.7↑
    • 입력 2019-03-28 08:49:10
    • 수정2019-03-28 09:07:23
    경제
지난해 미국산 농식품 수입액이 처음으로 10조 원을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7년, 농식품 교역 변화'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미국산 농식품 수입액은 93억 7천만 달러로, 한화 환산 시 10조 6,400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는 전년도 78억 3천만 달러(약 8조 9천억 원)보다 19.7%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기록입니다.

수입 농식품 중 미국산의 점유율도 지난해 24.3%에서 26.6%로 2.3%포인트 높아졌습니다.

보고서는 2012년 발효한 한미 FTA가 이행 7년 차에 접어들면서 관세가 줄어든 것과 국내 육류 소비 증가,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수출선 전환 등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미국산 육류 수입량은 쇠고기 22만t, 돼지고기 23만t 등으로 역대 가장 많았습니다.

쇠고기는 대형유통업체의 수입고기 매장 확대와 판매식당 증가 등이 수입 증가 원인으로 꼽혔습니다. 특히 미국산 쇠고기 중 냉장육의 수입 비중이 2012년 8.5%에서 지난해 24.4%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돼지고기는 햄과 캔 등 가공용 식품 원료육의 수입량이 크게 늘었습니다.

지난해 미국산 농식품 품목별 수입액은 쇠고기가 16억 3,500만 달러(약 1조 8,600억 원)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옥수수 14억 1,500만 달러(약 1조 6,100억 원), 돼지고기 6억 200만 달러(약 6,800억 원), 밀 3억 6,900만 달러(약 4,200억 원), 대두 3억 1,600만 달러(약 3,600억 원), 오렌지 2억 3,400만 달러(약 2,700억 원), 치즈 2억 2,300만 달러(약 2,500억 원) 등의 순이었습니다.

이들 품목 모두 전년보다 수입액이 증가했는데, 증가율은 쇠고기 30%, 옥수수 66%, 돼지고기 32%, 밀 12%, 대두 13%, 오렌지 12%, 치즈 7% 등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농식품의 대(對)미국 수출액은 8억 달러(약 9,100억 원)로 전년보다 7.6% 증가했습니다.

품목별 대미 수출액은 혼합조제식료품이 7천만 달러(약 800억 원)로 가장 많았고, 커피와 주류 등을 제외한 기타 음료 6,660만 달러(약 760억 원), 담배 6,050만 달러(약 690억 원), 라면 5,030만 달러(약 570억 원) 등의 순이었습니다.

혼합조제식료품과 궐련의 수출액은 각각 1%, 36% 감소했지만, 기타 음료와 라면, 신선 배의 수출액은 각각 9%, 23%, 17% 증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