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vs. 환경부, 대안 없나?
입력 2019.04.02 (19:00)
수정 2019.04.03 (00: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방금 보신 것처럼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가
강원도민의 숙원사업이지만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대안은 없는 것인 지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얘기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심재남기자, 어서 오십시요?
[질문1]
앞서, 보도된 내용을 보니까
환경부가 열쇠를 쥐고 있는 셈인데요.
도 출신 국회의원들이
오늘 환경부 장관을 불러서
이 문제를 논의했다면서요?
[답변1]
강원도 국회의원 협의회가 오늘 의원회관에서 환경부 장관을 불러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의원들은 동서고속화 철도의필요성을 설명했습니다.
---- VCR 1 in!! ---
특히, 30년 숙원사업인 이 사업에 대해 환경부가 왜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지따져 물었습니다.
또, 강원도와 국토부가 제시하고 있는 노선을 받아들여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환경부 장관은 도출신 의원들의 요구를 경청하고 나서, 실무 부서와 검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에앞서, 강원도와 국토부는 최근 철도 노선이 미시령터널 직하부가 타당하다는 보완서를 환경부에 접수한 상태입니다.
---- VCR 1 out!!!----
[질문2]
이 밖에도
환경부와 관련된 강원도의 현안이 많은 것 같습니다.
설악산 오색삭도 사업도
마찬가지인데요.
대안이 없는 것인가요?
[답변2]
설악산 오색삭도도 환경부에 장기간 발목이 잡힌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정부가 2015년에 시범으로 결정하면서 추진됐습니다.
---- VCR 2 in!!! ---
강원도와 양양군은 그 해에 환경영향평가서를 제출했는데요.
환경청은 멸종위기종 보호 등 30여 항에 대해 보완을 요청했습니다.
2년 반이나 지난 지금, 보완서 작성이 마무리되고 제출만 남았는데요
환경단체의 반대도 여전한 상황입니다.
환경청의 보완서 검토가 빠르게 진행되고, 환경단체에 대한 설득이 과제로 남았습니다.
---- VCR 2 out!!! ---
[질문3]
횡성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문제도 역시 환경부 주관입니다.
이 문제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답변3]
이 문제는 2년 전 표면화됐습니다.
그 해에 횡성의 군부대가 이전했는데, 땅이 상수원 보호구역이어서, 개발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 VCR 3 in!!! ---
여기에, 개발에 제약을 받아온 주민들도 강력 반발하고 있습니다.
원인은 아래 쪽에 원주시 취수장이 있기 때문인데요.
강원도와 횡성군은 취수장을 공업용수로 전환하거나, 광역상수도 등 새로운 수원으로 대체할 것을 건의하고 있습니다.
---- VCR 3 out!!! ---
그러나, 환경부는 지방상수도 폐지나 광역 상수도 공급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환경부가 강원도의 주요 현안에 대해 사사건건 제동을 걸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끝)
방금 보신 것처럼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가
강원도민의 숙원사업이지만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대안은 없는 것인 지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얘기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심재남기자, 어서 오십시요?
[질문1]
앞서, 보도된 내용을 보니까
환경부가 열쇠를 쥐고 있는 셈인데요.
도 출신 국회의원들이
오늘 환경부 장관을 불러서
이 문제를 논의했다면서요?
[답변1]
강원도 국회의원 협의회가 오늘 의원회관에서 환경부 장관을 불러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의원들은 동서고속화 철도의필요성을 설명했습니다.
---- VCR 1 in!! ---
특히, 30년 숙원사업인 이 사업에 대해 환경부가 왜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지따져 물었습니다.
또, 강원도와 국토부가 제시하고 있는 노선을 받아들여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환경부 장관은 도출신 의원들의 요구를 경청하고 나서, 실무 부서와 검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에앞서, 강원도와 국토부는 최근 철도 노선이 미시령터널 직하부가 타당하다는 보완서를 환경부에 접수한 상태입니다.
---- VCR 1 out!!!----
[질문2]
이 밖에도
환경부와 관련된 강원도의 현안이 많은 것 같습니다.
설악산 오색삭도 사업도
마찬가지인데요.
대안이 없는 것인가요?
[답변2]
설악산 오색삭도도 환경부에 장기간 발목이 잡힌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정부가 2015년에 시범으로 결정하면서 추진됐습니다.
---- VCR 2 in!!! ---
강원도와 양양군은 그 해에 환경영향평가서를 제출했는데요.
환경청은 멸종위기종 보호 등 30여 항에 대해 보완을 요청했습니다.
2년 반이나 지난 지금, 보완서 작성이 마무리되고 제출만 남았는데요
환경단체의 반대도 여전한 상황입니다.
환경청의 보완서 검토가 빠르게 진행되고, 환경단체에 대한 설득이 과제로 남았습니다.
---- VCR 2 out!!! ---
[질문3]
횡성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문제도 역시 환경부 주관입니다.
이 문제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답변3]
이 문제는 2년 전 표면화됐습니다.
그 해에 횡성의 군부대가 이전했는데, 땅이 상수원 보호구역이어서, 개발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 VCR 3 in!!! ---
여기에, 개발에 제약을 받아온 주민들도 강력 반발하고 있습니다.
원인은 아래 쪽에 원주시 취수장이 있기 때문인데요.
강원도와 횡성군은 취수장을 공업용수로 전환하거나, 광역상수도 등 새로운 수원으로 대체할 것을 건의하고 있습니다.
---- VCR 3 out!!! ---
그러나, 환경부는 지방상수도 폐지나 광역 상수도 공급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환경부가 강원도의 주요 현안에 대해 사사건건 제동을 걸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원도 vs. 환경부, 대안 없나?
-
- 입력 2019-04-03 00:47:30
- 수정2019-04-03 00:47:58

[앵커멘트]
방금 보신 것처럼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가
강원도민의 숙원사업이지만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대안은 없는 것인 지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얘기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심재남기자, 어서 오십시요?
[질문1]
앞서, 보도된 내용을 보니까
환경부가 열쇠를 쥐고 있는 셈인데요.
도 출신 국회의원들이
오늘 환경부 장관을 불러서
이 문제를 논의했다면서요?
[답변1]
강원도 국회의원 협의회가 오늘 의원회관에서 환경부 장관을 불러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의원들은 동서고속화 철도의필요성을 설명했습니다.
---- VCR 1 in!! ---
특히, 30년 숙원사업인 이 사업에 대해 환경부가 왜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지따져 물었습니다.
또, 강원도와 국토부가 제시하고 있는 노선을 받아들여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환경부 장관은 도출신 의원들의 요구를 경청하고 나서, 실무 부서와 검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에앞서, 강원도와 국토부는 최근 철도 노선이 미시령터널 직하부가 타당하다는 보완서를 환경부에 접수한 상태입니다.
---- VCR 1 out!!!----
[질문2]
이 밖에도
환경부와 관련된 강원도의 현안이 많은 것 같습니다.
설악산 오색삭도 사업도
마찬가지인데요.
대안이 없는 것인가요?
[답변2]
설악산 오색삭도도 환경부에 장기간 발목이 잡힌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정부가 2015년에 시범으로 결정하면서 추진됐습니다.
---- VCR 2 in!!! ---
강원도와 양양군은 그 해에 환경영향평가서를 제출했는데요.
환경청은 멸종위기종 보호 등 30여 항에 대해 보완을 요청했습니다.
2년 반이나 지난 지금, 보완서 작성이 마무리되고 제출만 남았는데요
환경단체의 반대도 여전한 상황입니다.
환경청의 보완서 검토가 빠르게 진행되고, 환경단체에 대한 설득이 과제로 남았습니다.
---- VCR 2 out!!! ---
[질문3]
횡성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문제도 역시 환경부 주관입니다.
이 문제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답변3]
이 문제는 2년 전 표면화됐습니다.
그 해에 횡성의 군부대가 이전했는데, 땅이 상수원 보호구역이어서, 개발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 VCR 3 in!!! ---
여기에, 개발에 제약을 받아온 주민들도 강력 반발하고 있습니다.
원인은 아래 쪽에 원주시 취수장이 있기 때문인데요.
강원도와 횡성군은 취수장을 공업용수로 전환하거나, 광역상수도 등 새로운 수원으로 대체할 것을 건의하고 있습니다.
---- VCR 3 out!!! ---
그러나, 환경부는 지방상수도 폐지나 광역 상수도 공급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환경부가 강원도의 주요 현안에 대해 사사건건 제동을 걸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끝)
-
-
심재남 기자 jnshim@kbs.co.kr
심재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