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속 작은 숲…‘마음풀 교실’ 개관
입력 2019.05.08 (07:37)
수정 2019.05.21 (15: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학교 교실에 다양한 식물로 만든 작은 숲이 생겼습니다.
학생들이 직접 식물을 키우고 일부는 먹거리로도 쓰고 있는데요, 스마트폰 그만 보고 잠시나마 자연을 느껴보라는 취지라고 합니다.
이수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학생들이 간식을 정성스레 만듭니다.
주재료는 무순과 같은 새싹 채소인데, 학생 스스로 씨앗을 심고 키웠습니다.
채소가 자란 곳은 교실 내부.
빈 교실 두 개를 터서 식물원을 만들었습니다.
이곳에는 모두 50종의 식물이 있습니다.
학생들은 직접 이 식물들을 기르면서 학교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습니다.
씨앗을 심고 분갈이도 직접 해볼 수 있는 정원은 물론, 바나나 나무와 야자 등 쉽게 보기 힘든 식물들도 있습니다.
교실 안을 가득 메운 다양한 식물들 옆에서 방과 후 수업까지 진행됩니다.
[송예현/전일중 2학년 : "들어가면 공기도 좀 더 맑은 것 같고, 초록색을 보니 눈도 좀 좋아지는 것 같고, 과학시간에 많이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이 공간의 이름은 '마음풀'입니다.
언제든지 마음을 풀어놓고, 또 새로운 마음을 가득 채우는 곳이라는 뜻으로 학생들이 직접 지었습니다.
식물을 활용해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지로 시작한 첫 시범 사례입니다.
[유승종/'마음풀' 디자이너 : "요즘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중독과 함께 관계에서 오는 왕따 문제라든지...그런 것 들을 공간으로 해결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마음풀' 교실 조성에 투입된 예산은 3억 6천만 원.
서울시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여자고등학교 두 곳에 올해 추가로 이런 식물 교실을 만들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수민입니다.
중학교 교실에 다양한 식물로 만든 작은 숲이 생겼습니다.
학생들이 직접 식물을 키우고 일부는 먹거리로도 쓰고 있는데요, 스마트폰 그만 보고 잠시나마 자연을 느껴보라는 취지라고 합니다.
이수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학생들이 간식을 정성스레 만듭니다.
주재료는 무순과 같은 새싹 채소인데, 학생 스스로 씨앗을 심고 키웠습니다.
채소가 자란 곳은 교실 내부.
빈 교실 두 개를 터서 식물원을 만들었습니다.
이곳에는 모두 50종의 식물이 있습니다.
학생들은 직접 이 식물들을 기르면서 학교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습니다.
씨앗을 심고 분갈이도 직접 해볼 수 있는 정원은 물론, 바나나 나무와 야자 등 쉽게 보기 힘든 식물들도 있습니다.
교실 안을 가득 메운 다양한 식물들 옆에서 방과 후 수업까지 진행됩니다.
[송예현/전일중 2학년 : "들어가면 공기도 좀 더 맑은 것 같고, 초록색을 보니 눈도 좀 좋아지는 것 같고, 과학시간에 많이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이 공간의 이름은 '마음풀'입니다.
언제든지 마음을 풀어놓고, 또 새로운 마음을 가득 채우는 곳이라는 뜻으로 학생들이 직접 지었습니다.
식물을 활용해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지로 시작한 첫 시범 사례입니다.
[유승종/'마음풀' 디자이너 : "요즘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중독과 함께 관계에서 오는 왕따 문제라든지...그런 것 들을 공간으로 해결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마음풀' 교실 조성에 투입된 예산은 3억 6천만 원.
서울시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여자고등학교 두 곳에 올해 추가로 이런 식물 교실을 만들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수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교실 속 작은 숲…‘마음풀 교실’ 개관
-
- 입력 2019-05-08 07:38:42
- 수정2019-05-21 15:20:39

[앵커]
중학교 교실에 다양한 식물로 만든 작은 숲이 생겼습니다.
학생들이 직접 식물을 키우고 일부는 먹거리로도 쓰고 있는데요, 스마트폰 그만 보고 잠시나마 자연을 느껴보라는 취지라고 합니다.
이수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학생들이 간식을 정성스레 만듭니다.
주재료는 무순과 같은 새싹 채소인데, 학생 스스로 씨앗을 심고 키웠습니다.
채소가 자란 곳은 교실 내부.
빈 교실 두 개를 터서 식물원을 만들었습니다.
이곳에는 모두 50종의 식물이 있습니다.
학생들은 직접 이 식물들을 기르면서 학교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습니다.
씨앗을 심고 분갈이도 직접 해볼 수 있는 정원은 물론, 바나나 나무와 야자 등 쉽게 보기 힘든 식물들도 있습니다.
교실 안을 가득 메운 다양한 식물들 옆에서 방과 후 수업까지 진행됩니다.
[송예현/전일중 2학년 : "들어가면 공기도 좀 더 맑은 것 같고, 초록색을 보니 눈도 좀 좋아지는 것 같고, 과학시간에 많이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이 공간의 이름은 '마음풀'입니다.
언제든지 마음을 풀어놓고, 또 새로운 마음을 가득 채우는 곳이라는 뜻으로 학생들이 직접 지었습니다.
식물을 활용해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지로 시작한 첫 시범 사례입니다.
[유승종/'마음풀' 디자이너 : "요즘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중독과 함께 관계에서 오는 왕따 문제라든지...그런 것 들을 공간으로 해결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마음풀' 교실 조성에 투입된 예산은 3억 6천만 원.
서울시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여자고등학교 두 곳에 올해 추가로 이런 식물 교실을 만들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수민입니다.
중학교 교실에 다양한 식물로 만든 작은 숲이 생겼습니다.
학생들이 직접 식물을 키우고 일부는 먹거리로도 쓰고 있는데요, 스마트폰 그만 보고 잠시나마 자연을 느껴보라는 취지라고 합니다.
이수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학생들이 간식을 정성스레 만듭니다.
주재료는 무순과 같은 새싹 채소인데, 학생 스스로 씨앗을 심고 키웠습니다.
채소가 자란 곳은 교실 내부.
빈 교실 두 개를 터서 식물원을 만들었습니다.
이곳에는 모두 50종의 식물이 있습니다.
학생들은 직접 이 식물들을 기르면서 학교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습니다.
씨앗을 심고 분갈이도 직접 해볼 수 있는 정원은 물론, 바나나 나무와 야자 등 쉽게 보기 힘든 식물들도 있습니다.
교실 안을 가득 메운 다양한 식물들 옆에서 방과 후 수업까지 진행됩니다.
[송예현/전일중 2학년 : "들어가면 공기도 좀 더 맑은 것 같고, 초록색을 보니 눈도 좀 좋아지는 것 같고, 과학시간에 많이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이 공간의 이름은 '마음풀'입니다.
언제든지 마음을 풀어놓고, 또 새로운 마음을 가득 채우는 곳이라는 뜻으로 학생들이 직접 지었습니다.
식물을 활용해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지로 시작한 첫 시범 사례입니다.
[유승종/'마음풀' 디자이너 : "요즘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중독과 함께 관계에서 오는 왕따 문제라든지...그런 것 들을 공간으로 해결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마음풀' 교실 조성에 투입된 예산은 3억 6천만 원.
서울시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여자고등학교 두 곳에 올해 추가로 이런 식물 교실을 만들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수민입니다.
-
-
이수민 기자 waterming@kbs.co.kr
이수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