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야생 독버섯 중독 사고 주의…함부로 섭취 안돼”

입력 2019.07.14 (14:08) 수정 2019.07.14 (14: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름철을 맞아 야생버섯을 함부로 채취해 먹으면 중독 사고의 위험이 크다며 농진청이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우리나라 자생 버섯 1천900여 종 가운데 먹을 수 있는 버섯은 400여 종으로 전체의 21%뿐"이라며 "나머지는 독성이 있거나 식용 가치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야생 독버섯 중독 사고는 덥고 습해 버섯이 잘 자라는 7월부터 산행이 많은 10월 사이에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독버섯이 식용버섯과 생김새나 서식지가 비슷하면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독버섯인 흰알광대버섯과 독우산광대버섯은 식용 흰주름버섯과 모양이 비슷합니다.

성숙한 흰주름버섯의 주름살은 독버섯인 광대버섯류와 달리 뚜렷한 암자갈색을 띠고, 대 아래쪽에 대 주머니가 발달하지 않은 특징이 있습니다.

맹독성인 개나리광대버섯도 식용인 노란달걀버섯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노란달걀버섯은 개나리광대버섯과 달리 갓 둘레에 뚜렷한 홈이 있고, 치마 모양의 턱받이가 담황색입니다.

농진청은 "색이 화려하지 않거나 세로로 잘 찢어지면 식용 가능하다는 속설은 아무런 근거가 없다"며 "민간 속설을 믿고 식용 여부를 판단하면 위험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농촌진흥청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름철 야생 독버섯 중독 사고 주의…함부로 섭취 안돼”
    • 입력 2019-07-14 14:08:15
    • 수정2019-07-14 14:11:40
    경제
여름철을 맞아 야생버섯을 함부로 채취해 먹으면 중독 사고의 위험이 크다며 농진청이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우리나라 자생 버섯 1천900여 종 가운데 먹을 수 있는 버섯은 400여 종으로 전체의 21%뿐"이라며 "나머지는 독성이 있거나 식용 가치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야생 독버섯 중독 사고는 덥고 습해 버섯이 잘 자라는 7월부터 산행이 많은 10월 사이에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독버섯이 식용버섯과 생김새나 서식지가 비슷하면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독버섯인 흰알광대버섯과 독우산광대버섯은 식용 흰주름버섯과 모양이 비슷합니다.

성숙한 흰주름버섯의 주름살은 독버섯인 광대버섯류와 달리 뚜렷한 암자갈색을 띠고, 대 아래쪽에 대 주머니가 발달하지 않은 특징이 있습니다.

맹독성인 개나리광대버섯도 식용인 노란달걀버섯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노란달걀버섯은 개나리광대버섯과 달리 갓 둘레에 뚜렷한 홈이 있고, 치마 모양의 턱받이가 담황색입니다.

농진청은 "색이 화려하지 않거나 세로로 잘 찢어지면 식용 가능하다는 속설은 아무런 근거가 없다"며 "민간 속설을 믿고 식용 여부를 판단하면 위험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농촌진흥청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