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리포트] 중국 공산당 ‘점점 세지는 발언’…‘홍콩 무력개입’ 추진할까?

입력 2019.08.13 (15: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인민일보 동영상

위 영상은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13일 게시한 동영상이다. 중국 광둥성 선전으로 이동하는 무장경찰 부대 모습이다. 선전은 홍콩을 마주하고 있는 곳으로 50km 거리에 있다. 차로 1시간이면 충분하다. 선전으로 이동한 무장경찰이 어디로 갈 것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사실 인민일보가 이 영상을 왜 올렸는지를 모두 알고 있다. 장중한 군가 풍의 음악이 홍콩 사태를 바라보는 중국 정부의 인식을 엿보게 한다.


이 동영상은 또 어떤가? 중국 국영 통신사 신화사가 역시 13일 게시한 동영상이다. 12,000명의 무장경찰이 광둥성 선전에서 폭동진압 훈련을 했다며 공개했다. 동원된 장비가 장갑차 50대, 경찰 기동대차 200대, 오토바이 1,200대, 헬기 5대와 수륙양용차 등이다. 어디라고 말하지는 않았지만, 보트를 앞세우고 진격해 가는 모습이 당연히 홍콩을 떠오르게 한다.


점점 세지는 발언.. 무력개입 명분 쌓기?

두 달을 넘긴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갈등으로 화염병에 경찰이 상처를 입고, 홍콩 국제공항마저 95년 만에 처음으로 폐쇄되는 사태가 빚어지자, 중국 당국과 관영매체의 발언 수위도 점점 강경해지고 있다. 2주 사이 벌써 세 번째 기자회견을 연 중국 국무원 홍콩·마카오 사무국은 "홍콩은 중대한 순간에 이르렀다"면서 "홍콩 앞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단호히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국 중앙정부 홍콩 주재 연락판공실도 "세계 어느 곳도 이런 극악무도하고, 극단적인 잔혹 행위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급기야 중국 국영 방송사 CCTV는 '테러'라는 단어를 꺼냈다. CCTV는 13일 아침 뉴스에서 "홍콩 당국은 일부 시위대가 경찰을 공격하고, 불법 무기를 이용해 시위하는 것을 테러리즘으로 규정하고, 법에 따라 이런 행위를 엄격히 처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테러리즘을 엄격히 처벌한다?. 그것은 무엇일까? 결국은 무력진압이다. 점점 세지는 중국 당국과 관영매체의 발언 수위가 결국 중국 무장경찰의 홍콩 진입을 위한 명분 쌓기로 읽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송환법' 반대로 시작한 저항…이제는 민주화 시위로!

홍콩 사태가 두 달을 넘기면서 시민들의 구호도 달라졌다. 홍콩 범죄인 중국 송환 반대로 시작했던 행진이 홍콩 경찰의 폭력진압 진상 규명, 그리고 캐리 람 행정장관 사퇴로 이어지더니 지금은 反 중국, 민주화 시위로 발전했다. 그 이면에는 폭등한 부동산값과 청년 취업난, 중국 주요 도시에 역전당하기 시작한 홍콩 경제...그리고 일국양제가 끝나고 중국에 홍콩 주권이 완전히 반완됐을 때 일어나게 될 권위적이고 획일적인 중국 체제에 대한 두려움이 자리하고 있다.

그런데 중국 정부는 이번 사태를 오로지 외부 세력, 특히 미국의 조종 때문으로 여기는 듯하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 정부와 외교관이 반중국·반홍콩 분자와 만나고 중국 정부를 이유 없이 비난하며 폭력을 부추겨 홍콩의 번영을 해치려 하고 있다"면서 "이는 명백한 사실로 미국은 홍콩을 통해 어떤 목적을 달성하려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가뜩이나 무역전쟁으로 미국과 한판 붙고 있는 와중에 뜻하지 않게 홍콩 사태까지 터졌으니, 중국 정부 입장에선 심사가 꼬일 만하다.

집회 결사·정치적 의사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와 같은 서구 민주주의 가치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중국 특색 사회주의 체제도 이번 사태를 키운 원인이다. 100년 영국 통치를 경험한 홍콩인들의 DNA에 뿌리내린 자유와 민주주의를 이해하지 못한 탓이다. 이런 와중에 중국 본토 푸젠성과 폭력단체 삼합회 인물로 추정되는 무뢰배들의 백색테러도 성난 민심에 기름을 끼얹었다. 6월 이후 이번 사태로 체포된 사람이 이미 700명을 넘었지만, 홍콩 민심은 가라앉을 기미가 없다.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 곧 끝! ... 중국 최고 지도부의 선택은?

지난주 시작된 베이다이허 회의가 이주에는 끝날 것으로 보인다. 베이다이허 회의는 중국 국가 원로와 현재 최고 지도부가 여름 피서를 겸해 만나, 국가 대사의 방향을 결정하는 자리다. 미·중 무역전쟁과 함께 지금 홍콩 사태도 중요 현안이었을 게 뻔하다. 더구나 올해는 신중국 70주년을 맞는 해 아닌가?

개혁개방과 경제성장의 성과를 마음껏 자랑해야 할 중국 지도부가 뜻하지 않은 난관에 어떤 방침을 정했을지가 최대 관심거리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대로 점점 세지는 중국 당국과 관영매체의 발언으로 보면 '강경 진압' 가능성도 없지 않아 보인다. 중국 정부의 강경 진압은 1989년 천안문 사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중국 지도부 역시 선택하고 싶지 않은 방법일 것이다. 홍콩 경제 파탄과 외국 자본의 이탈, 아시아 금융 허브의 붕괴, 그리고 전 세계적인 여론의 질타를 감수해야 한다.

그러나 이른바 최고 존엄, 시진핑 주석으로 향하는 화살에 중국의 입지가 계속 좁아지고 있다는 게 문제다. 아무리 부작용이 크다손 치더라도 중국 정부는 시 주석이 다치는 것만 못하다는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선택지는 간단해진다. 최근 중국이 미국을 배후세력으로 지목하고, 시위 장기화에 따른 피해를 집중적으로 부각하는 것도 이런 연유로 보인다. 책임을 돌리려는거다. 중국은 과연 홍콩을 버릴 수 있을까? 곧 끝나는 베이다이허 회의. 홍콩의 운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특파원리포트] 중국 공산당 ‘점점 세지는 발언’…‘홍콩 무력개입’ 추진할까?
    • 입력 2019-08-13 15:02:24
    특파원 리포트
중국 인민일보 동영상

위 영상은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13일 게시한 동영상이다. 중국 광둥성 선전으로 이동하는 무장경찰 부대 모습이다. 선전은 홍콩을 마주하고 있는 곳으로 50km 거리에 있다. 차로 1시간이면 충분하다. 선전으로 이동한 무장경찰이 어디로 갈 것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사실 인민일보가 이 영상을 왜 올렸는지를 모두 알고 있다. 장중한 군가 풍의 음악이 홍콩 사태를 바라보는 중국 정부의 인식을 엿보게 한다.


이 동영상은 또 어떤가? 중국 국영 통신사 신화사가 역시 13일 게시한 동영상이다. 12,000명의 무장경찰이 광둥성 선전에서 폭동진압 훈련을 했다며 공개했다. 동원된 장비가 장갑차 50대, 경찰 기동대차 200대, 오토바이 1,200대, 헬기 5대와 수륙양용차 등이다. 어디라고 말하지는 않았지만, 보트를 앞세우고 진격해 가는 모습이 당연히 홍콩을 떠오르게 한다.


점점 세지는 발언.. 무력개입 명분 쌓기?

두 달을 넘긴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갈등으로 화염병에 경찰이 상처를 입고, 홍콩 국제공항마저 95년 만에 처음으로 폐쇄되는 사태가 빚어지자, 중국 당국과 관영매체의 발언 수위도 점점 강경해지고 있다. 2주 사이 벌써 세 번째 기자회견을 연 중국 국무원 홍콩·마카오 사무국은 "홍콩은 중대한 순간에 이르렀다"면서 "홍콩 앞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단호히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국 중앙정부 홍콩 주재 연락판공실도 "세계 어느 곳도 이런 극악무도하고, 극단적인 잔혹 행위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급기야 중국 국영 방송사 CCTV는 '테러'라는 단어를 꺼냈다. CCTV는 13일 아침 뉴스에서 "홍콩 당국은 일부 시위대가 경찰을 공격하고, 불법 무기를 이용해 시위하는 것을 테러리즘으로 규정하고, 법에 따라 이런 행위를 엄격히 처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테러리즘을 엄격히 처벌한다?. 그것은 무엇일까? 결국은 무력진압이다. 점점 세지는 중국 당국과 관영매체의 발언 수위가 결국 중국 무장경찰의 홍콩 진입을 위한 명분 쌓기로 읽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송환법' 반대로 시작한 저항…이제는 민주화 시위로!

홍콩 사태가 두 달을 넘기면서 시민들의 구호도 달라졌다. 홍콩 범죄인 중국 송환 반대로 시작했던 행진이 홍콩 경찰의 폭력진압 진상 규명, 그리고 캐리 람 행정장관 사퇴로 이어지더니 지금은 反 중국, 민주화 시위로 발전했다. 그 이면에는 폭등한 부동산값과 청년 취업난, 중국 주요 도시에 역전당하기 시작한 홍콩 경제...그리고 일국양제가 끝나고 중국에 홍콩 주권이 완전히 반완됐을 때 일어나게 될 권위적이고 획일적인 중국 체제에 대한 두려움이 자리하고 있다.

그런데 중국 정부는 이번 사태를 오로지 외부 세력, 특히 미국의 조종 때문으로 여기는 듯하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 정부와 외교관이 반중국·반홍콩 분자와 만나고 중국 정부를 이유 없이 비난하며 폭력을 부추겨 홍콩의 번영을 해치려 하고 있다"면서 "이는 명백한 사실로 미국은 홍콩을 통해 어떤 목적을 달성하려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가뜩이나 무역전쟁으로 미국과 한판 붙고 있는 와중에 뜻하지 않게 홍콩 사태까지 터졌으니, 중국 정부 입장에선 심사가 꼬일 만하다.

집회 결사·정치적 의사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와 같은 서구 민주주의 가치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중국 특색 사회주의 체제도 이번 사태를 키운 원인이다. 100년 영국 통치를 경험한 홍콩인들의 DNA에 뿌리내린 자유와 민주주의를 이해하지 못한 탓이다. 이런 와중에 중국 본토 푸젠성과 폭력단체 삼합회 인물로 추정되는 무뢰배들의 백색테러도 성난 민심에 기름을 끼얹었다. 6월 이후 이번 사태로 체포된 사람이 이미 700명을 넘었지만, 홍콩 민심은 가라앉을 기미가 없다.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 곧 끝! ... 중국 최고 지도부의 선택은?

지난주 시작된 베이다이허 회의가 이주에는 끝날 것으로 보인다. 베이다이허 회의는 중국 국가 원로와 현재 최고 지도부가 여름 피서를 겸해 만나, 국가 대사의 방향을 결정하는 자리다. 미·중 무역전쟁과 함께 지금 홍콩 사태도 중요 현안이었을 게 뻔하다. 더구나 올해는 신중국 70주년을 맞는 해 아닌가?

개혁개방과 경제성장의 성과를 마음껏 자랑해야 할 중국 지도부가 뜻하지 않은 난관에 어떤 방침을 정했을지가 최대 관심거리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대로 점점 세지는 중국 당국과 관영매체의 발언으로 보면 '강경 진압' 가능성도 없지 않아 보인다. 중국 정부의 강경 진압은 1989년 천안문 사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중국 지도부 역시 선택하고 싶지 않은 방법일 것이다. 홍콩 경제 파탄과 외국 자본의 이탈, 아시아 금융 허브의 붕괴, 그리고 전 세계적인 여론의 질타를 감수해야 한다.

그러나 이른바 최고 존엄, 시진핑 주석으로 향하는 화살에 중국의 입지가 계속 좁아지고 있다는 게 문제다. 아무리 부작용이 크다손 치더라도 중국 정부는 시 주석이 다치는 것만 못하다는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선택지는 간단해진다. 최근 중국이 미국을 배후세력으로 지목하고, 시위 장기화에 따른 피해를 집중적으로 부각하는 것도 이런 연유로 보인다. 책임을 돌리려는거다. 중국은 과연 홍콩을 버릴 수 있을까? 곧 끝나는 베이다이허 회의. 홍콩의 운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