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낮을수록 병원 덜 간다!…“경제적·시간적·공간적 제약때문”

입력 2019.09.01 (09: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 낮으면 병원 적게 가…"경제적 어려움 병원 문턱 높여"

소득이 낮을수록 병원에 적게 간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립중앙의료원이 전국 성인 남녀 1천5백 명을 조사한 결과, 소득이 낮을수록 병원 이용이 적었습니다. 응답자의 76.9%가 최근 1년 내 병원에 간 적이 있었습니다. 월평균 가구소득이 500만 원 이상인 응답자는 84.7%가, 200만 원 미만 저소득층은 68.5%가 병원을 이용했습니다.

저소득층은 여전히 여유가 없어 병원에 가기 힘든 걸 우리나라 의료 체계의 심각한 문제로 느끼고 있었습니다. 저소득층의 절반 이상인 56.4%는 "경제적·시간적·공간적 여건 제약으로 병원을 가기조차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앞으로 걱정거리로 저소득층은 '간병·치료로 인한 경제적 타격'(76.4%)과 '질병·장애로 인한 실직, 수입원 상실'(68.5%)을 가장 크게 꼽았습니다. 큰돈이 들어가는 병에 대해 저소득층이 느끼는 부담은 클 수밖에 없습니다.


저소득층·중소도시 환자에게 공공 의료기관은 대안?…"예방접종·건강검진에 그쳐"

저소득층의 경우, 다른 소득 계층보다 보건소나 국공립병원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공공 의료기관의 진료비가 민간 병원보다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병원 접근성이 떨어지는 중소도시에 사는 환자들의 국공립병원 이용률도 다소 높게 나타났습니다. 읍면리 거주자의 36.6%는 '거리가 가깝다'는 이유로 보건소나 국공립병원을 이용한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다른 지역보다 두 배 이상 거주지 밖에 있는 병원을 이용해야 했습니다. 큰 병에 걸렸을 땐 말이죠.

공공 의료기관에서 받는 진료는 주로 예방접종(37.9%)과 건강검진(32.5%)이었습니다. 일반 진료나 중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찾는 경우는 드물었습니다. 또 공공 의료기관 이용자들은 검사기기나 장비, 필요한 진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읍면리 거주자의 77.3%는 우리나라 의료 체계의 문제점으로 지역 간 의료와 건강 여건이 불평등하다는 점을 꼽았습니다.

의료·건강 문제 "국가와 개인이 절반씩 부담해야"

그렇다면 이런 의료 격차를 해결할 방법은 뭘까요? 응답자의 40% 가까이는 개인의 건강이나 의료, 간병 문제 해결에 있어 국가가 책임을 '개인과 반반 나눠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국가가 대부분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도 35.4%였습니다. 반면, 개인이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은 18.8%에 그쳤습니다.

전체 병원 중 국공립병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10% 정도입니다. 나머진 시장에 의존하고 있는 게 우리나라 의료체계의 현실입니다. 재난적 의료비 지원을 강화하고 건강보험 보장성을 높이는 등 정부는 의료의 국가책임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소득층의 의료 접근성은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의료 격차를 해소하고 '진료비 걱정 없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선 국공립 병원을 늘리고, 재난·응급 의료 상황에서의 역할을 확립하는 등 공공 의료서비스도 강화해야 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득 낮을수록 병원 덜 간다!…“경제적·시간적·공간적 제약때문”
    • 입력 2019-09-01 09:01:25
    취재K
■소득 낮으면 병원 적게 가…"경제적 어려움 병원 문턱 높여"

소득이 낮을수록 병원에 적게 간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립중앙의료원이 전국 성인 남녀 1천5백 명을 조사한 결과, 소득이 낮을수록 병원 이용이 적었습니다. 응답자의 76.9%가 최근 1년 내 병원에 간 적이 있었습니다. 월평균 가구소득이 500만 원 이상인 응답자는 84.7%가, 200만 원 미만 저소득층은 68.5%가 병원을 이용했습니다.

저소득층은 여전히 여유가 없어 병원에 가기 힘든 걸 우리나라 의료 체계의 심각한 문제로 느끼고 있었습니다. 저소득층의 절반 이상인 56.4%는 "경제적·시간적·공간적 여건 제약으로 병원을 가기조차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앞으로 걱정거리로 저소득층은 '간병·치료로 인한 경제적 타격'(76.4%)과 '질병·장애로 인한 실직, 수입원 상실'(68.5%)을 가장 크게 꼽았습니다. 큰돈이 들어가는 병에 대해 저소득층이 느끼는 부담은 클 수밖에 없습니다.


저소득층·중소도시 환자에게 공공 의료기관은 대안?…"예방접종·건강검진에 그쳐"

저소득층의 경우, 다른 소득 계층보다 보건소나 국공립병원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공공 의료기관의 진료비가 민간 병원보다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병원 접근성이 떨어지는 중소도시에 사는 환자들의 국공립병원 이용률도 다소 높게 나타났습니다. 읍면리 거주자의 36.6%는 '거리가 가깝다'는 이유로 보건소나 국공립병원을 이용한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다른 지역보다 두 배 이상 거주지 밖에 있는 병원을 이용해야 했습니다. 큰 병에 걸렸을 땐 말이죠.

공공 의료기관에서 받는 진료는 주로 예방접종(37.9%)과 건강검진(32.5%)이었습니다. 일반 진료나 중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찾는 경우는 드물었습니다. 또 공공 의료기관 이용자들은 검사기기나 장비, 필요한 진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읍면리 거주자의 77.3%는 우리나라 의료 체계의 문제점으로 지역 간 의료와 건강 여건이 불평등하다는 점을 꼽았습니다.

의료·건강 문제 "국가와 개인이 절반씩 부담해야"

그렇다면 이런 의료 격차를 해결할 방법은 뭘까요? 응답자의 40% 가까이는 개인의 건강이나 의료, 간병 문제 해결에 있어 국가가 책임을 '개인과 반반 나눠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국가가 대부분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도 35.4%였습니다. 반면, 개인이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은 18.8%에 그쳤습니다.

전체 병원 중 국공립병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10% 정도입니다. 나머진 시장에 의존하고 있는 게 우리나라 의료체계의 현실입니다. 재난적 의료비 지원을 강화하고 건강보험 보장성을 높이는 등 정부는 의료의 국가책임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소득층의 의료 접근성은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의료 격차를 해소하고 '진료비 걱정 없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선 국공립 병원을 늘리고, 재난·응급 의료 상황에서의 역할을 확립하는 등 공공 의료서비스도 강화해야 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