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묘 때 검은 옷 피하세요”…벌 쏘임 주의

입력 2019.09.01 (21:28) 수정 2019.09.01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추석을 앞두고 벌초나 이른 성묘 계획한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요즘이 1년 중에 벌의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라 벌 쏘임 사고 위험도 큽니다.

어두운 색 옷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는데, 자세한 예방과 대처요령, 김진화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나무 위에 어른 머리만 한 벌집이 달렸습니다.

벌떼는 바위틈, 건물 지붕에도 집을 짓고 사람을 위협합니다.

산란기인 8~9월에 공격성이 가장 강합니다.

[박옥철/서울시 강서구 : "벌도 많이 쏘여 봤죠. 여기 쏘아서 눈을 못 떠요."]

실제, 최근 5년간 벌에 쏘여 병원을 찾은 환자 7만 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8월과 9월에 몰렸습니다.

최근에도 충남 금산에서 벌초에 나선 일가족이 벌에 쏘여 70대 아버지가 숨졌습니다.

[오쾌봉/서울강서소방서 소방위 : "검정색을 자기 벌집을 공격하는 천적으로 오인해가지고 공격성이 강해집니다."]

벌들이 색깔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는지 실험해 봤습니다.

밝은색 모자와 옷에는 거의 접근하지 않습니다.

반면, 어두운색 모자에는 수십 마리가 모여듭니다.

검은 머리카락에도 마찬가집니다.

벌을 피하려면 벌초나 성묘를 할 때, 밝은색 모자와 옷을 착용해야 좋습니다.

요즘은 독이 있는 뱀이나 쐐기풀류 등도 번성하는 시기여서 주의해야 합니다.

[소순구/국립공원연구원 박사 : "야외활동 시에는 긴소매와 긴 바지를 착용하여 독성을 가진 생물과 직접적인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벌을 발견하면 손을 휘두르지 말고 서둘러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피해야 합니다.

또, 말벌의 침은 피부에 박히지 않기 때문에 침을 빼려고 하지 말고 피부를 차갑게 한 상태로 병원에 빨리 가야 합니다.

뱀에 물렸을 때도 독을 빼려고 칼로 상처를 냈다가는 2차 감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묘 때 검은 옷 피하세요”…벌 쏘임 주의
    • 입력 2019-09-01 21:36:32
    • 수정2019-09-01 22:00:50
    뉴스 9
[앵커]

추석을 앞두고 벌초나 이른 성묘 계획한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요즘이 1년 중에 벌의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라 벌 쏘임 사고 위험도 큽니다.

어두운 색 옷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는데, 자세한 예방과 대처요령, 김진화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나무 위에 어른 머리만 한 벌집이 달렸습니다.

벌떼는 바위틈, 건물 지붕에도 집을 짓고 사람을 위협합니다.

산란기인 8~9월에 공격성이 가장 강합니다.

[박옥철/서울시 강서구 : "벌도 많이 쏘여 봤죠. 여기 쏘아서 눈을 못 떠요."]

실제, 최근 5년간 벌에 쏘여 병원을 찾은 환자 7만 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8월과 9월에 몰렸습니다.

최근에도 충남 금산에서 벌초에 나선 일가족이 벌에 쏘여 70대 아버지가 숨졌습니다.

[오쾌봉/서울강서소방서 소방위 : "검정색을 자기 벌집을 공격하는 천적으로 오인해가지고 공격성이 강해집니다."]

벌들이 색깔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는지 실험해 봤습니다.

밝은색 모자와 옷에는 거의 접근하지 않습니다.

반면, 어두운색 모자에는 수십 마리가 모여듭니다.

검은 머리카락에도 마찬가집니다.

벌을 피하려면 벌초나 성묘를 할 때, 밝은색 모자와 옷을 착용해야 좋습니다.

요즘은 독이 있는 뱀이나 쐐기풀류 등도 번성하는 시기여서 주의해야 합니다.

[소순구/국립공원연구원 박사 : "야외활동 시에는 긴소매와 긴 바지를 착용하여 독성을 가진 생물과 직접적인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벌을 발견하면 손을 휘두르지 말고 서둘러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피해야 합니다.

또, 말벌의 침은 피부에 박히지 않기 때문에 침을 빼려고 하지 말고 피부를 차갑게 한 상태로 병원에 빨리 가야 합니다.

뱀에 물렸을 때도 독을 빼려고 칼로 상처를 냈다가는 2차 감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