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노동자 절반은 하루 휴게시간 1시간도 안 돼”
입력 2019.11.08 (17:46)
수정 2019.11.08 (17: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IT 업계 노동자의 절반은 점심시간을 포함한 휴게시간이 일과 중 1시간도 안 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노총은 오늘(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의원과 공동 주최한 토론회에서, 지난 4∼10월 IT 노동자 1천3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루 휴게시간이 1시간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은 46.4%에 달했습니다. 근로기준법은 하루 노동시간이 8시간 이상이면 1시간 이상 휴게시간을 줘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루 노동시간은 8∼10시간이라고 답한 사람이 80.4%로 가장 많았습니다. 야근도 주당 5시간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이 52.9%로 절반을 넘겼습니다.
주 52시간제 시행 등의 영향으로 IT 업계에서도 과거와 같은 장시간 노동 사례는 발견되지 않지만, 휴게시간을 줄이는 등 업무 강도는 높아지고 있다고 한국노총은 설명했습니다.
IT 노동자의 업무 스트레스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무량이 많고 높은 수준의 요구에 쫓기며 작업한다'는 응답은 74.2%에 달했습니다. '현재 가진 기술보다 높은 수준의 요구를 받는다'는 응답도 78.7%나 됐습니다.
조사 대상자의 40.1%는 '피로감으로 업무 수행에 차질이 있다'고 답했고 47.8%는 퇴근 이후 스트레스에 따른 탈진 등을 의미하는 '번아웃'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하거나 목격했다는 응답은 19.4%로 나타났고,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해 극단적 선택을 고민해봤다는 응답은 13.6%였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한국노총은 오늘(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의원과 공동 주최한 토론회에서, 지난 4∼10월 IT 노동자 1천3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루 휴게시간이 1시간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은 46.4%에 달했습니다. 근로기준법은 하루 노동시간이 8시간 이상이면 1시간 이상 휴게시간을 줘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루 노동시간은 8∼10시간이라고 답한 사람이 80.4%로 가장 많았습니다. 야근도 주당 5시간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이 52.9%로 절반을 넘겼습니다.
주 52시간제 시행 등의 영향으로 IT 업계에서도 과거와 같은 장시간 노동 사례는 발견되지 않지만, 휴게시간을 줄이는 등 업무 강도는 높아지고 있다고 한국노총은 설명했습니다.
IT 노동자의 업무 스트레스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무량이 많고 높은 수준의 요구에 쫓기며 작업한다'는 응답은 74.2%에 달했습니다. '현재 가진 기술보다 높은 수준의 요구를 받는다'는 응답도 78.7%나 됐습니다.
조사 대상자의 40.1%는 '피로감으로 업무 수행에 차질이 있다'고 답했고 47.8%는 퇴근 이후 스트레스에 따른 탈진 등을 의미하는 '번아웃'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하거나 목격했다는 응답은 19.4%로 나타났고,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해 극단적 선택을 고민해봤다는 응답은 13.6%였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IT 노동자 절반은 하루 휴게시간 1시간도 안 돼”
-
- 입력 2019-11-08 17:46:53
- 수정2019-11-08 17:56:23

IT 업계 노동자의 절반은 점심시간을 포함한 휴게시간이 일과 중 1시간도 안 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노총은 오늘(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의원과 공동 주최한 토론회에서, 지난 4∼10월 IT 노동자 1천3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루 휴게시간이 1시간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은 46.4%에 달했습니다. 근로기준법은 하루 노동시간이 8시간 이상이면 1시간 이상 휴게시간을 줘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루 노동시간은 8∼10시간이라고 답한 사람이 80.4%로 가장 많았습니다. 야근도 주당 5시간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이 52.9%로 절반을 넘겼습니다.
주 52시간제 시행 등의 영향으로 IT 업계에서도 과거와 같은 장시간 노동 사례는 발견되지 않지만, 휴게시간을 줄이는 등 업무 강도는 높아지고 있다고 한국노총은 설명했습니다.
IT 노동자의 업무 스트레스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무량이 많고 높은 수준의 요구에 쫓기며 작업한다'는 응답은 74.2%에 달했습니다. '현재 가진 기술보다 높은 수준의 요구를 받는다'는 응답도 78.7%나 됐습니다.
조사 대상자의 40.1%는 '피로감으로 업무 수행에 차질이 있다'고 답했고 47.8%는 퇴근 이후 스트레스에 따른 탈진 등을 의미하는 '번아웃'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하거나 목격했다는 응답은 19.4%로 나타났고,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해 극단적 선택을 고민해봤다는 응답은 13.6%였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한국노총은 오늘(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의원과 공동 주최한 토론회에서, 지난 4∼10월 IT 노동자 1천3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루 휴게시간이 1시간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은 46.4%에 달했습니다. 근로기준법은 하루 노동시간이 8시간 이상이면 1시간 이상 휴게시간을 줘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루 노동시간은 8∼10시간이라고 답한 사람이 80.4%로 가장 많았습니다. 야근도 주당 5시간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이 52.9%로 절반을 넘겼습니다.
주 52시간제 시행 등의 영향으로 IT 업계에서도 과거와 같은 장시간 노동 사례는 발견되지 않지만, 휴게시간을 줄이는 등 업무 강도는 높아지고 있다고 한국노총은 설명했습니다.
IT 노동자의 업무 스트레스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무량이 많고 높은 수준의 요구에 쫓기며 작업한다'는 응답은 74.2%에 달했습니다. '현재 가진 기술보다 높은 수준의 요구를 받는다'는 응답도 78.7%나 됐습니다.
조사 대상자의 40.1%는 '피로감으로 업무 수행에 차질이 있다'고 답했고 47.8%는 퇴근 이후 스트레스에 따른 탈진 등을 의미하는 '번아웃'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하거나 목격했다는 응답은 19.4%로 나타났고,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해 극단적 선택을 고민해봤다는 응답은 13.6%였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
-
변진석 기자 brick@kbs.co.kr
변진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