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장벽 붕괴 30주년…옛 동독 수감자 “장벽 붕괴에 큰 두려움”

입력 2019.11.08 (19:29) 수정 2019.11.08 (1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내일은 베를린장벽 붕괴 30주년이 되는 날인데요.

분단시절 악명 높았던 동독의 비밀경찰 슈타지가 운영하던 감옥의 수감자는 당시 장벽 붕괴가 기쁨이 아닌 큰 두려움으로 다가왔다고 합니다.

그 사연을 베를린 유광석 특파원이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지금은 기념관으로 변한 옛 동독 슈타지의 정치범 수감소.

가이드로서 당시 상황을 증언하는 코이프 씨는 수감자였습니다.

사회주의자였던 아버지를 따라 서독에서 동독으로 이주했던 가족.

하지만 자유가 억압된 생활을 견디다 못해 다시 서독으로 이주허가신청을 낸 뒤로 비극이 시작됐습니다.

[페터 코이프/옛 슈타지 감옥 수감자 : "저는 학교에서 퇴학을 당했고 대학교를 갈 수 없었고, 하고 싶은 일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자유를 갈망했던 청년은 급기야 22살 때이던 1981년 동독 탈출을 감행하다 기차역에서 붙잡혔습니다.

수감생활은 감시와 억압의 연속이었습니다.

[페터 코이프/옛 슈타지 감옥 수감자 : "어떤 정보도 얻지 못하고 질문을 하면 안 되고 가족과 연락할 수 없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동독의 정치범을 돈을 주고 빼오는 서독의 '프라이카우프' 제도 덕에 아홉 달 만에 풀려난 코이프 씨는 곧장 조부모가 계신 서독지역 에센에 정착했습니다.

그러던 중 1989년 들려온 장벽 붕괴 소식은 기쁨이 아닌 크나큰 두려움이었습니다.

출감하던 날 "우리는 당신을 어디든 추적할 수 있다"고 말하던 교도관들이 떠올랐습니다.

[페터 코이프/옛 슈타지 감옥 수감자 : "굉장히 두려웠습니다. 동독은 제게 국경 뒤에 있는, 철의 커튼 뒤에 있는 것이었는데 '이 사람들이 다시 나에게 접근할 수 있겠구나'라는 공포를 느꼈습니다."]

지금도 옛 동독지역을 방문하면 사흘 이상을 머무르지 못한다는 코이프 씨.

사상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핵심이라고 힘줘 말합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베를린장벽 붕괴 30주년…옛 동독 수감자 “장벽 붕괴에 큰 두려움”
    • 입력 2019-11-08 19:32:06
    • 수정2019-11-08 19:51:20
    뉴스 7
[앵커]

내일은 베를린장벽 붕괴 30주년이 되는 날인데요.

분단시절 악명 높았던 동독의 비밀경찰 슈타지가 운영하던 감옥의 수감자는 당시 장벽 붕괴가 기쁨이 아닌 큰 두려움으로 다가왔다고 합니다.

그 사연을 베를린 유광석 특파원이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지금은 기념관으로 변한 옛 동독 슈타지의 정치범 수감소.

가이드로서 당시 상황을 증언하는 코이프 씨는 수감자였습니다.

사회주의자였던 아버지를 따라 서독에서 동독으로 이주했던 가족.

하지만 자유가 억압된 생활을 견디다 못해 다시 서독으로 이주허가신청을 낸 뒤로 비극이 시작됐습니다.

[페터 코이프/옛 슈타지 감옥 수감자 : "저는 학교에서 퇴학을 당했고 대학교를 갈 수 없었고, 하고 싶은 일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자유를 갈망했던 청년은 급기야 22살 때이던 1981년 동독 탈출을 감행하다 기차역에서 붙잡혔습니다.

수감생활은 감시와 억압의 연속이었습니다.

[페터 코이프/옛 슈타지 감옥 수감자 : "어떤 정보도 얻지 못하고 질문을 하면 안 되고 가족과 연락할 수 없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동독의 정치범을 돈을 주고 빼오는 서독의 '프라이카우프' 제도 덕에 아홉 달 만에 풀려난 코이프 씨는 곧장 조부모가 계신 서독지역 에센에 정착했습니다.

그러던 중 1989년 들려온 장벽 붕괴 소식은 기쁨이 아닌 크나큰 두려움이었습니다.

출감하던 날 "우리는 당신을 어디든 추적할 수 있다"고 말하던 교도관들이 떠올랐습니다.

[페터 코이프/옛 슈타지 감옥 수감자 : "굉장히 두려웠습니다. 동독은 제게 국경 뒤에 있는, 철의 커튼 뒤에 있는 것이었는데 '이 사람들이 다시 나에게 접근할 수 있겠구나'라는 공포를 느꼈습니다."]

지금도 옛 동독지역을 방문하면 사흘 이상을 머무르지 못한다는 코이프 씨.

사상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핵심이라고 힘줘 말합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